- 에너지의 모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에너지의 모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 기구 및 장치

3. 배경이론

4. 실험 방법

5. 실험 결과

6. 결과 토의

본문내용

손실이 없도록 만든다는 것은 이론상으로도 불가능하므로 열손실을 되도록 줄이는 것이 정확한 실험결과를 내는데 도움이 된다 하겠다.
(3) 홈페이지의 배경이론에서 보면 열의 일해당량을 먼저 구하고 열 손실율을 구한다음에 이를 다시 원래의 식에 대입하여 일해당량을 구하게 되어있다. 즉, 먼저 열 손실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열용량과 열의 일해당량을 구한 다음에 의 식에 대입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위의 식은 하나의 식에 미지수가 q와 C 두 개 이므로 이를 풀기위한 방법을 생각해본다. 위 식에 아까 구한 C = 26.10(cal/K)을 넣는다. 그렇게 하고 q의 값을 구하면 4.17J 이 나온다. 열 손실율을 포함하지 않고 계산하였던 5.06J보다 4.2J의 값에 가까이 간 것을 볼 수 있다. 이 방법의 문제점은 C =26.10 (cal/K) 의 값이 열손실율을 생각하지 않고 구한 값이라는데 있다. 더 좋은 방법을 생각해보려 했지만 떠오르지 않았다. 이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번에는 위의식은 거의 오차가 없다고 가정하고 q=4.2J를 대입해본다. 그럴 경우 C = 25.24 (cal/K) 가 나온다. 이 값이 26.10(cal/K) 보다 작게 나온 이유는 열 손실율을 포함하고 구해서 일 것이다. 처음 배경이론에서 이 가정을 읽었을 때 이식의 타당성에 대해 의문이 들었었다. 그러나 직접 값을 구해보니 이 식을 통해 오차를 줄일 수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추의 비열을 구하는 것에서도 많은 오차가 났다. 실험이 끝나고 다른 조 친구들과 추의 비열을 비교해보았을 때 많은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추의 온도가 올라갈 때 추 전체의 온도가 올라가지 않고 겉의 온도만 올라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물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추의 온도에도 영향을 미치도록 되어있는데 이 과정이 잘 행해지지 않았을 경우가 있다.
(5) 이번 실험은 열에 의한 계의 내부에너지 변화를 측정하여 내부에너지를 변화시키는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열의 일 해당량과 물체의 비열을 구해보는 것이었다. 내부에너지를 변화시키는 것은 그 계를 그것보다 내부에너지가 큰 (즉 온도가 더 높은) 다른 계와 접촉시키는 방법이 있다. 또한 우리의 실험방법처럼 전류를 공급하여 물의 온도를 높이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전기 에너지를 공급해준 만큼 물의 온도는 올라가게 되고 이를 통해 우리는 열과 역학적 에너지 보존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4.03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23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