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서울 지역의 음식
1) 서울 지역의 음식의 특징
2) 대표적인 서울 음식의 종류와 특징
2. 경기도 음식
1) 경기도 음식의 특징
2) 대표적인 경기도 음식의 종류와 특징
3. 강원도 음식
1) 강원도 음식의 특징
2) 대표적인 강원도 음식의 종류와 특징
4. 충청도 음식
1) 충청도 음식의 특징
2) 대표적인 충청도 음식의 종류와 특징
5. 전라도 음식
1) 전라도 음식의 특징
2) 대표적인 전라도 음식의 종류와 특징
6. 경상도 음식
1) 경상도 음식의 특징
2) 대표적인 경상도 음식의 종류와 특징
7. 제주도 음식
1) 제주도 음식의 특징
2) 대표적인 제주도 음식의 종류와 특징
8. 황해도 음식
1) 황해도 음식의 특징
2) 대표적인 황해도 음식의 종류와 특징
9. 평안도 음식
1) 평안도 음식의 특징
2) 대표적인 평안도 음식의 종류와 특징
10. 함경도 음식
1) 함경도 음식의 특징
2) 대표적인 함경도 음식의 종류와 특징
Ⅲ. 결 론
Ⅱ. 본 론
1. 서울 지역의 음식
1) 서울 지역의 음식의 특징
2) 대표적인 서울 음식의 종류와 특징
2. 경기도 음식
1) 경기도 음식의 특징
2) 대표적인 경기도 음식의 종류와 특징
3. 강원도 음식
1) 강원도 음식의 특징
2) 대표적인 강원도 음식의 종류와 특징
4. 충청도 음식
1) 충청도 음식의 특징
2) 대표적인 충청도 음식의 종류와 특징
5. 전라도 음식
1) 전라도 음식의 특징
2) 대표적인 전라도 음식의 종류와 특징
6. 경상도 음식
1) 경상도 음식의 특징
2) 대표적인 경상도 음식의 종류와 특징
7. 제주도 음식
1) 제주도 음식의 특징
2) 대표적인 제주도 음식의 종류와 특징
8. 황해도 음식
1) 황해도 음식의 특징
2) 대표적인 황해도 음식의 종류와 특징
9. 평안도 음식
1) 평안도 음식의 특징
2) 대표적인 평안도 음식의 종류와 특징
10. 함경도 음식
1) 함경도 음식의 특징
2) 대표적인 함경도 음식의 종류와 특징
Ⅲ. 결 론
본문내용
동치미도 담가 땅에 묻어 넣고 살얼음이 생길 때쯤 혀가 시리도록 시원한 맛을 즐긴다. 이 동치미 국물로는 냉면을 말기도 한다. 콩이 좋은 지방이라 콩나물을 데쳐서 물김치도 담근다.
2) 대표적인 함경도 음식의 종류와 특징
(1) 가릿국
쇠고기의 사골과 양지머리를 푹 고아 육수를 만들고, 선지는 따로 끓는 물에 삶아 내어 찬물에 헹군다. 쇠고기 우둔을 가늘게 채 썰어 육회로 양념한다. 대접에 밥을 담고 삶은 고기 썬 것, 선지를 납작하게 썬 것, 육회를 얹는다. 끓는 육수에 두부를 한 모씩 넣어 다 익어서 떠오른 것을 건져 고기 위에 얹어 낸다. 먹을 때에는 육수를 마신 다음 매운 다대기를 넣어 밥과 건더기와 비벼 먹고 나서 다시 그 대접에 육수를 말아 마신다.
(2) 강냉이밥
맷돌에 옥수수를 쌀알 크기로 타서 팥을 넣고 지은 밥이다.
(3) 회냉면
함경도의 산간과 고원 지방에서 나는 감자녹말을 반죽한 국수로 냉면을 만든다. 물냉면과 함흥에서는 손바닥만한 크기의 가자미 날 것을 매운 고추장으로 무쳐서 국수에 얹어 먹었다고 한다. 지금은 홍어를 구하기 쉬워 초에 재였다가 맵게 무쳐서 얹는다.
(4) 가자미식해
싱싱한 참가자미에 소금을 뿌려 절인다. 무는 굵게 채 썰어 절이고 좁쌀로 밥을 지어 식힌 다음, 위의 재료를 섞어 고춧가루, 파, 마늘, 생강 같은 양념과 엿기름을 체에 쳐 거기에서 나온 흰 가루만을 한데 버무린다. 김치를 담그듯이 항아리에 꼭꼭 눌러 담아 3, 4일 삭히는데, 점차 익으면서 물이 생기고 새큼한 맛이 난다. 식해란 음료가 아니라 곡류로 만든 일종의 젓갈이다. 가자미뿐 아니라 도루묵이나 마른 명태로도 만든다. 맵지만 생선이 익어서 내는 독특한 맛이 별미이다. 생선을 삭힌 다음 무 절인 것을 나중에 넣기도 한다.
(5) 동태순대
함경도는 명태가 많이 잡히는 곳으로 다른 지방같이 돼지 창자에 소를 채워서 만드는 순대도 있지만 특히 동태로 만든 순대가 유명하다. 동태를 절인 후에 아가미 쪽에서 내장을 빼내어 깨끗이 씻어 물기를 거둔다. 동태 내장과 두부, 삶은 숙주와 배추 따위를 한데 섞어 다진 파, 마늘, 된장, 소금, 후추로 간을 잘 맞춘다. 이렇게 만든 소를 아가미 쪽에서부터 동태의 뱃속까지 꼭꼭 채워 넣고 입을 아무린다. 김장철에 한꺼번에 많이 만들어 꾸덕꾸덕하게 말리거나 꽁꽁 얼려 두었다가 겨울 동안 찌거나 구워서 보기 좋게 썰어 양념장에 찍어 먹는다.
(6) 감자국수
감자를 강판에 갈아 체에 밭쳐 건더기는 따로 두고 붉은 물이 없어 질 때까지 여러 번 물을 갈아 녹말을 가라앉힌다. 체에 거른 건더기와 감자녹말 양금을 섞어 손바닥만한 크기로 빚이 찜통에 쪄서 국수틀에 넣고 눌러 뺀다. 국물은 찬 동치미국물이나 육수로 하고 웃기로 파김치를 얹는데, 때로는 돼지고기편육, 숙나물, 무김치를 얹기도 한다.
(7) 콩부침
함경도에서는 품질이 좋은 콩이 많이 나므로 콩을 이용한 음식이 많다. 콩을 불려서 맷돌로 곱게 갈고 불린 쌀도 함께 갈아 섞는다, 돼지 고기와 풋고추, 파, 마을 같은 양념을 넣어 국자로 잘 섞어서 빈대떡처럼 부친다. 콩을 간 것에 간을 하면 쉽게 삭으므로 조금씩 간을 하여 부친다. 잡곡전이라 하여 찰수숫가루나 녹두가루를 섞어 부치기도 한다.
(8) 닭비빔밥
닭고기를 통째로 푹 무르게 삶아서 고기를 가늘게 찢어 맵게 양념하고 콩나물은 데쳐서 양념한다. 뜨거운 밥에 닭고기와 나물을 얹고 닭국물을 따로 탕그릇에 담아 내면 제각기 더운 닭국을 조금씩 넣어서 맵게 비벼 먹는다.
(9) 태석
옥수수로 만든 된 조청을 좁쌀가루 고물에 묻힌 엿이다.
(10) 섭죽
섭조게 닭을 넣고 끓인 쌀죽이다.
(11) 가랍떡
빻은 수수를 옥수수잎이나 가랍잎으로 싸서 찐 떡이다. 다 쪄지면 옥수수잎이나 가랍잎을 뗀 다음 콩고물을 묻힌다.
(12) 보리감주
보리쌀을 엿기름에 삭혀 끓여서 식힌 음료이다.
(13) 콩떡
쌀가루에 불린 콩을 갈아서 소금을 넣고 반죽하여 둥글게 빚어 찐 떡이다. 콩가루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불린 콩을 이용하는 것이 더 고소하다. 단맛이 없어서 단백하며 오래 씹을수록 깊은 맛이 난다.
(14) 오그랑떡
쌀가루를 반죽하여 경단을 빚듯이 하여 둥글둥글하게 빚어 푹 삶는 데, 익힌 후 설탕과 소금을 넣고 간을 맞춰서 팥과 떡을 고루 버무려 만든 떡이다. 떡의 모양이 둥글게 오그라든 모양이라 오그랑떡이라 부른 듯하다. 이 떡은 팥물이 경단에 고루 스며들어 팥의 향기가 진하며 구수하다.
Ⅲ. 결 론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각 지역별 향토음식에 대해 그 특징과 종류를 자세히 알아보았다.
서울지역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설렁탕, 장국밥, 비빔국수, 떡국, 잣죽, 흑임자죽, 신선로 등이 있으며 경기도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개성편수, 조랭이떡국, 제물칼국수, 팥밥, 오곡밥 등이 있고, 강원도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강냉이밥, 감자송편, 북어식해, 오징어순대, 충청도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호박범벅, 곤떡, 다슬기국, 청국장, 굴냉국, 그리고 전라도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전주비빔밥, 공나물국밥, 추어탕, 두루치기, 경상도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진주비빔밥, 무밥, 아구찜, 안동식혜, 동래파전 등이 있다. 제주도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전복죽, 옥돔죽, 메밀만두, 토계탕, 닭엿 등이 있고 황해도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김치밥, 남매죽, 되지비탕, 냉콩국, 평안도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닭죽, 온면, 평안만두국, 굴만두, 평양냉면, 녹두지짐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함경도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옥수수죽, 가릿국, 강냉이밥, 회냉면, 통태순대, 태석, 보리감주 등이 있다.
이렇듯, 우리나라의 지역별 향토음식은 각 지역의 지형적인 특색으로 인하여 생산되는 농·수산물 등에 따라 각각의 특징을 나타내며, 각 지방의 기후에 따라 맛에 대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
1. 식생활과 문화, 김광호 외 5명, 광문각, 2000.
2. 식생활의 문화적 이해, 김숙희 외 5명, 신광출판사, 1998.
3. 음식과 식생활문화, 김기숙, 한경선, 대한교과서, 1997.
4. 문화와 식생활, 효일문화사, 김혜영 외 4명, 1998.
5. 식생활 관리학, 현기순 외 3명, 교문사, 1998.
2) 대표적인 함경도 음식의 종류와 특징
(1) 가릿국
쇠고기의 사골과 양지머리를 푹 고아 육수를 만들고, 선지는 따로 끓는 물에 삶아 내어 찬물에 헹군다. 쇠고기 우둔을 가늘게 채 썰어 육회로 양념한다. 대접에 밥을 담고 삶은 고기 썬 것, 선지를 납작하게 썬 것, 육회를 얹는다. 끓는 육수에 두부를 한 모씩 넣어 다 익어서 떠오른 것을 건져 고기 위에 얹어 낸다. 먹을 때에는 육수를 마신 다음 매운 다대기를 넣어 밥과 건더기와 비벼 먹고 나서 다시 그 대접에 육수를 말아 마신다.
(2) 강냉이밥
맷돌에 옥수수를 쌀알 크기로 타서 팥을 넣고 지은 밥이다.
(3) 회냉면
함경도의 산간과 고원 지방에서 나는 감자녹말을 반죽한 국수로 냉면을 만든다. 물냉면과 함흥에서는 손바닥만한 크기의 가자미 날 것을 매운 고추장으로 무쳐서 국수에 얹어 먹었다고 한다. 지금은 홍어를 구하기 쉬워 초에 재였다가 맵게 무쳐서 얹는다.
(4) 가자미식해
싱싱한 참가자미에 소금을 뿌려 절인다. 무는 굵게 채 썰어 절이고 좁쌀로 밥을 지어 식힌 다음, 위의 재료를 섞어 고춧가루, 파, 마늘, 생강 같은 양념과 엿기름을 체에 쳐 거기에서 나온 흰 가루만을 한데 버무린다. 김치를 담그듯이 항아리에 꼭꼭 눌러 담아 3, 4일 삭히는데, 점차 익으면서 물이 생기고 새큼한 맛이 난다. 식해란 음료가 아니라 곡류로 만든 일종의 젓갈이다. 가자미뿐 아니라 도루묵이나 마른 명태로도 만든다. 맵지만 생선이 익어서 내는 독특한 맛이 별미이다. 생선을 삭힌 다음 무 절인 것을 나중에 넣기도 한다.
(5) 동태순대
함경도는 명태가 많이 잡히는 곳으로 다른 지방같이 돼지 창자에 소를 채워서 만드는 순대도 있지만 특히 동태로 만든 순대가 유명하다. 동태를 절인 후에 아가미 쪽에서 내장을 빼내어 깨끗이 씻어 물기를 거둔다. 동태 내장과 두부, 삶은 숙주와 배추 따위를 한데 섞어 다진 파, 마늘, 된장, 소금, 후추로 간을 잘 맞춘다. 이렇게 만든 소를 아가미 쪽에서부터 동태의 뱃속까지 꼭꼭 채워 넣고 입을 아무린다. 김장철에 한꺼번에 많이 만들어 꾸덕꾸덕하게 말리거나 꽁꽁 얼려 두었다가 겨울 동안 찌거나 구워서 보기 좋게 썰어 양념장에 찍어 먹는다.
(6) 감자국수
감자를 강판에 갈아 체에 밭쳐 건더기는 따로 두고 붉은 물이 없어 질 때까지 여러 번 물을 갈아 녹말을 가라앉힌다. 체에 거른 건더기와 감자녹말 양금을 섞어 손바닥만한 크기로 빚이 찜통에 쪄서 국수틀에 넣고 눌러 뺀다. 국물은 찬 동치미국물이나 육수로 하고 웃기로 파김치를 얹는데, 때로는 돼지고기편육, 숙나물, 무김치를 얹기도 한다.
(7) 콩부침
함경도에서는 품질이 좋은 콩이 많이 나므로 콩을 이용한 음식이 많다. 콩을 불려서 맷돌로 곱게 갈고 불린 쌀도 함께 갈아 섞는다, 돼지 고기와 풋고추, 파, 마을 같은 양념을 넣어 국자로 잘 섞어서 빈대떡처럼 부친다. 콩을 간 것에 간을 하면 쉽게 삭으므로 조금씩 간을 하여 부친다. 잡곡전이라 하여 찰수숫가루나 녹두가루를 섞어 부치기도 한다.
(8) 닭비빔밥
닭고기를 통째로 푹 무르게 삶아서 고기를 가늘게 찢어 맵게 양념하고 콩나물은 데쳐서 양념한다. 뜨거운 밥에 닭고기와 나물을 얹고 닭국물을 따로 탕그릇에 담아 내면 제각기 더운 닭국을 조금씩 넣어서 맵게 비벼 먹는다.
(9) 태석
옥수수로 만든 된 조청을 좁쌀가루 고물에 묻힌 엿이다.
(10) 섭죽
섭조게 닭을 넣고 끓인 쌀죽이다.
(11) 가랍떡
빻은 수수를 옥수수잎이나 가랍잎으로 싸서 찐 떡이다. 다 쪄지면 옥수수잎이나 가랍잎을 뗀 다음 콩고물을 묻힌다.
(12) 보리감주
보리쌀을 엿기름에 삭혀 끓여서 식힌 음료이다.
(13) 콩떡
쌀가루에 불린 콩을 갈아서 소금을 넣고 반죽하여 둥글게 빚어 찐 떡이다. 콩가루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불린 콩을 이용하는 것이 더 고소하다. 단맛이 없어서 단백하며 오래 씹을수록 깊은 맛이 난다.
(14) 오그랑떡
쌀가루를 반죽하여 경단을 빚듯이 하여 둥글둥글하게 빚어 푹 삶는 데, 익힌 후 설탕과 소금을 넣고 간을 맞춰서 팥과 떡을 고루 버무려 만든 떡이다. 떡의 모양이 둥글게 오그라든 모양이라 오그랑떡이라 부른 듯하다. 이 떡은 팥물이 경단에 고루 스며들어 팥의 향기가 진하며 구수하다.
Ⅲ. 결 론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각 지역별 향토음식에 대해 그 특징과 종류를 자세히 알아보았다.
서울지역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설렁탕, 장국밥, 비빔국수, 떡국, 잣죽, 흑임자죽, 신선로 등이 있으며 경기도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개성편수, 조랭이떡국, 제물칼국수, 팥밥, 오곡밥 등이 있고, 강원도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강냉이밥, 감자송편, 북어식해, 오징어순대, 충청도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호박범벅, 곤떡, 다슬기국, 청국장, 굴냉국, 그리고 전라도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전주비빔밥, 공나물국밥, 추어탕, 두루치기, 경상도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진주비빔밥, 무밥, 아구찜, 안동식혜, 동래파전 등이 있다. 제주도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전복죽, 옥돔죽, 메밀만두, 토계탕, 닭엿 등이 있고 황해도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김치밥, 남매죽, 되지비탕, 냉콩국, 평안도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닭죽, 온면, 평안만두국, 굴만두, 평양냉면, 녹두지짐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함경도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옥수수죽, 가릿국, 강냉이밥, 회냉면, 통태순대, 태석, 보리감주 등이 있다.
이렇듯, 우리나라의 지역별 향토음식은 각 지역의 지형적인 특색으로 인하여 생산되는 농·수산물 등에 따라 각각의 특징을 나타내며, 각 지방의 기후에 따라 맛에 대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
1. 식생활과 문화, 김광호 외 5명, 광문각, 2000.
2. 식생활의 문화적 이해, 김숙희 외 5명, 신광출판사, 1998.
3. 음식과 식생활문화, 김기숙, 한경선, 대한교과서, 1997.
4. 문화와 식생활, 효일문화사, 김혜영 외 4명, 1998.
5. 식생활 관리학, 현기순 외 3명, 교문사, 1998.
키워드
추천자료
캐나다,미국,멕시코의 음식문화의 이해
프랑스 식생활 문화
문화의 개념, 문화의 특성과 문화의 역사적 발전 및 독일의 음식문화, 한국의 음식문화, 북한...
[음식][요리][건강][질병]식생활의 변화와 질병증가, 아토피에 좋은 음식(요리), 증상에 따라...
[건강][요리][음식][건강요리][건강식][건강에 좋은 음식][음식궁합][바람직한 식생활]건강요...
[한국전통음식][전통요리][각 지방 대표적 음식][요리][보양식][바람직한 식사예절][바람직한...
태국의 식생활과 문화
영국의 식생활 문화
식생활과 문화
식생활과 식문화 및 문화
조선의 식생활과 놀이문화
식생활과 문화
[일본음식문화][음식문화 특징][식사예절][라면][우동][초밥(스시)]일본음식문화의 특징, 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