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태국의 자연 환경
2. 태국음식의 역사
3.태국의 식생활
4. 태국 음식 문화의 특징
5. 태국 음식의 일반적 특징
6. 지역별 음식의 특징
7. 태국의 음식 이름으로 종류 구별 하는 법
8. 명절과 음식
9. 태국의 식사예절
2. 태국음식의 역사
3.태국의 식생활
4. 태국 음식 문화의 특징
5. 태국 음식의 일반적 특징
6. 지역별 음식의 특징
7. 태국의 음식 이름으로 종류 구별 하는 법
8. 명절과 음식
9. 태국의 식사예절
본문내용
한반도의 2.3배
- 열대기후 - 연평균 28.7℃, 습도 34.8%
- 계절-건기, 우기, 여름의 세계절/몬순(5-6월에 비가 많고 11-4월은 비가 적다.)
- 반도 : 삼면이 바다(해산물 풍부)/중부는 강(곡창지대)
2. 태국음식의 역사
- 역사적으로 타이족의 이동과정에서 이민족의 동화와 통합을 거듭한 복합 민족국 가이다.
- 타이족은 7세기경 중국의 운남성 지방에 ‘난짜오’라는 나라를 세웠다가 13세 기경 한민족이 팽창함으로써 밀려나 남부의 인도차이나 반도로 이동하였다.
- 선주민족이었던 몬(mon)족, 크메르(khmer)족들의 문화를 흡수, 이들이 온르날의 짜오프라야강과 메콩 강 유역에서 거주하고 있는 타이족과 라오스족의 직접 조 상이 된 것이다.
- 쑤코타이 왕국을 세우고 인도 및 중국과 활발하게 문화 교류를 전개했으며 이러 한 과정에서 그들 두 나라 음식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 쑤코타이 왕조가 멸망하고 아유타야 왕조가 발흥하여 그 세력이 씨리비챠야 왕 국이었던 오늘날 태국 남단의 반도부까지 팽창했다. 뒤이어 이어진 현 랏따나꼬 씬 왕조의 라마 4, 5, 6세 때인 19세기말에 중국으로부터 ‘쿨리(coolie)’들의 이민을 받아들였다.
- 그 후 태국 내 화교의 수가 급증하고 또 한 차례 중국의 서민 음식문화가 유입 되었다.
- 쫄라롱껀 대황(재위 1868~1910) 때에 이르러서는 태국의 근대화와 함께 서양과 의 관계가 증대됨에 따라 서구 문화가 유입되기도 했으나 주로 궁전과 귀족 계 층에 영향을 주었을 뿐 서민들에게는 별로 영향을 주지 못함.
- 이렇듯 태국의 음식문화는 태국 고유의 음식문화에 몬, 크메르, 인도, 중국, 말레이, 서양의 음식문화 요소가 융합되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 그 예로 각종 향신료와 야자 크림을 사용한 국물이 진한 커리(curry)의 일종인 ‘깽’ 종류의 일부가 인도의 영향을 받은 음식, ‘꾸어이띠여우’, ’바미’ 등의 국수류, ‘끼요우’, ‘싸라빠오’, ‘카놈찝’ 등의 만두류, 맵지 않은 각 종 볶음 음식과 담백한 각종 탕류, ‘쪽’, 그리고 ‘뺏양’, ‘무댕’등의 오리 고기 구이와 돼지고기 구이 등은 중국 음식의 영향을 받은 태국음식이며,
훠이텅’, ‘텅입’, ‘텅엿’, ‘쌍카야’ 등 계란을 재료로 조리한 달고 촉촉한 맛의 단 과자류는 아유타야의 나라이 왕(1657~1688) 시대에 포르투갈 음식에서 전 래된 것이라고 한다.
3.태국의 식생활
- 자극적인 매운맛 짠맛 신맛 단 맛들이 모여 조화를 이루는게 태국음식의 가장 큰 특징이다.
- 고수(코리엔터)나 레몬 그래스 등의 다양한 향신료와 소스가 이 맛을 내는 주 인공으로 이들은 더운 날씨에 음식이 상하지 않도록 하는 데도 큰 역할을 한다.
- 태국의 문화처럼 음식 또한 말레이 반도의 중앙에 위치한 지정학적 환경의 영 향으로 주변 국가들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했다.
- 그 중 국수류와 기름진 요리를 전파한 중국, 카레의 맛을 알려준 인도, 태국어 로 \'프릭\'이라고 부르는 작고 매운 고추를 전파한 포르투갈의 영향을 받았다.
4. 태국 음식 문화의 특징
- 세계의 맛있는 음식으로 꼽힌다.
- 인도 포르투갈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나름의 독특한 음식문화 발달)
- 중국의 젓가락문화, 인도의 커리, 포루투갈의 칠리를 받아 태국음식으로 정착
- 매달 4일에는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팔지 않고 대신 닭, 생선, 조류, 개구리 등을 판매한다.
5. 태국 음식의 일반적 특징
- 주식과 부식의 분리한다.
- 쌀을 주식으로 하며 한꺼번에 차려 먹는다.
- 음식이 짜거나 맵지만 양념, 소스가 맵거나 짜다.
- 생선, 닭고기, 채소가 주재료로 사용(기름은 적게)한다.
- 시각적인 요소를 중요시하고 맛은 자극적이다.
- 향기를 내고 단맛, 신맛, 톡쏘는 매운맛의 복합적 맛이다.
- 코코넛 밀크와 남플라(nampla:생선간장)을 사용한다.
- 마늘, 생강, 갈랑가, 고수, 고추, 라임, 레몬그라스, 박하 등
6. 지역별 음식의 특징
1) 북부지역 음식
- 우리나라와 유사한 식문화를 나타낸다.
- 버마, 라오스와 국경을 이루며 협곡이 많은 산악 지형이다.
- 치앙마이가 그 중심지역으로, 타 지역과는 다른 문화적 특징을 드러낸다.
- 찹쌀이 주식, 북부지역 사람들은 우리처럼 점성이 강한 쪄낸 밥을 좋아한다.
- 음식에 소금을 즐겨 사용, 맛은 맵고, 짜고, 시지만 그렇다고 달지 않다.
- 대부분의 음식에 국물이 들어간다.
- 전통적인 요리로 손님에게 대접할 때 내놓는 칸토크(Khantoke)가 있는데, 이는 밥, 카레, 칠리(작은 고추)로 맛을 낸 고기, 샐러드, 튀긴 돼지고기 껍질 등 을 각각 작은 그릇에 담아낸다.
2) 북동부 음식
- 메콩 강을 향해 완만하게 경사진 평탄한 토지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코라트 고 원지대를 말한다.
- 찹쌀이 주식이고 코코넛 밀크보다는 주로 민물고기로 담근 젓갈인 쁠라라을 조 미료로 사용한다.
- 닭과 돼지고기를 숯불에 구워 먹는 바비큐(태국어로 ‘양’이라고 부름)문화와 태국 대표 음식 중에 하나가 된 쏨 땀이 유명하다.
- 닭고기 바비큐는 ‘까이양’, 돼지고기 바베큐는 ‘무양’으로 쏨 땀은 입안이 얼얼해질 정도로 매운 태국 식 샐러드로 태국 식 김치다.
3) 중부지역 음식
- 태국의 젖줄인 차오프라야 강을 따라 형성돼 있는 세계적인 규모의 곡창지대이 다.
- 방콕이 중심이 되고 멥쌀을 주식으로 하며, 코코넛밀크, 고추, 박하를 사용한 걸쭉한 음식과 중국식 음식이 많다.
- 칠리, 고수, 코코넛유, 라임, 남플라(생선간장)를 많이 사용하는 게 특징.
- 톰 얌 꿍이 유명하다.
4) 남부지역 음식
- 남부 타이만(싸이암만) 연안은 하천의 침식으로 만들어진 평야지대이다.
- 극히 매운 맛, 짠 맛, 신맛이 두드러지는 편이다.
- 아만다 해에서 풍부하고 신선한 해산물을 어렵지 않게 조달할 수 있어 해산물 요리가 발달했다.
- 코코넛이 사용되는 음식이 많고, 향신료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인도음식에 가깝다.
7. 태국의 음식 이름으로 종류 구별 하는 법
- 볶음류 : 팟(Phat)
- 샐러드류 : 얌(Yam)
- 찌개류 :
- 열대기후 - 연평균 28.7℃, 습도 34.8%
- 계절-건기, 우기, 여름의 세계절/몬순(5-6월에 비가 많고 11-4월은 비가 적다.)
- 반도 : 삼면이 바다(해산물 풍부)/중부는 강(곡창지대)
2. 태국음식의 역사
- 역사적으로 타이족의 이동과정에서 이민족의 동화와 통합을 거듭한 복합 민족국 가이다.
- 타이족은 7세기경 중국의 운남성 지방에 ‘난짜오’라는 나라를 세웠다가 13세 기경 한민족이 팽창함으로써 밀려나 남부의 인도차이나 반도로 이동하였다.
- 선주민족이었던 몬(mon)족, 크메르(khmer)족들의 문화를 흡수, 이들이 온르날의 짜오프라야강과 메콩 강 유역에서 거주하고 있는 타이족과 라오스족의 직접 조 상이 된 것이다.
- 쑤코타이 왕국을 세우고 인도 및 중국과 활발하게 문화 교류를 전개했으며 이러 한 과정에서 그들 두 나라 음식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 쑤코타이 왕조가 멸망하고 아유타야 왕조가 발흥하여 그 세력이 씨리비챠야 왕 국이었던 오늘날 태국 남단의 반도부까지 팽창했다. 뒤이어 이어진 현 랏따나꼬 씬 왕조의 라마 4, 5, 6세 때인 19세기말에 중국으로부터 ‘쿨리(coolie)’들의 이민을 받아들였다.
- 그 후 태국 내 화교의 수가 급증하고 또 한 차례 중국의 서민 음식문화가 유입 되었다.
- 쫄라롱껀 대황(재위 1868~1910) 때에 이르러서는 태국의 근대화와 함께 서양과 의 관계가 증대됨에 따라 서구 문화가 유입되기도 했으나 주로 궁전과 귀족 계 층에 영향을 주었을 뿐 서민들에게는 별로 영향을 주지 못함.
- 이렇듯 태국의 음식문화는 태국 고유의 음식문화에 몬, 크메르, 인도, 중국, 말레이, 서양의 음식문화 요소가 융합되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 그 예로 각종 향신료와 야자 크림을 사용한 국물이 진한 커리(curry)의 일종인 ‘깽’ 종류의 일부가 인도의 영향을 받은 음식, ‘꾸어이띠여우’, ’바미’ 등의 국수류, ‘끼요우’, ‘싸라빠오’, ‘카놈찝’ 등의 만두류, 맵지 않은 각 종 볶음 음식과 담백한 각종 탕류, ‘쪽’, 그리고 ‘뺏양’, ‘무댕’등의 오리 고기 구이와 돼지고기 구이 등은 중국 음식의 영향을 받은 태국음식이며,
훠이텅’, ‘텅입’, ‘텅엿’, ‘쌍카야’ 등 계란을 재료로 조리한 달고 촉촉한 맛의 단 과자류는 아유타야의 나라이 왕(1657~1688) 시대에 포르투갈 음식에서 전 래된 것이라고 한다.
3.태국의 식생활
- 자극적인 매운맛 짠맛 신맛 단 맛들이 모여 조화를 이루는게 태국음식의 가장 큰 특징이다.
- 고수(코리엔터)나 레몬 그래스 등의 다양한 향신료와 소스가 이 맛을 내는 주 인공으로 이들은 더운 날씨에 음식이 상하지 않도록 하는 데도 큰 역할을 한다.
- 태국의 문화처럼 음식 또한 말레이 반도의 중앙에 위치한 지정학적 환경의 영 향으로 주변 국가들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했다.
- 그 중 국수류와 기름진 요리를 전파한 중국, 카레의 맛을 알려준 인도, 태국어 로 \'프릭\'이라고 부르는 작고 매운 고추를 전파한 포르투갈의 영향을 받았다.
4. 태국 음식 문화의 특징
- 세계의 맛있는 음식으로 꼽힌다.
- 인도 포르투갈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나름의 독특한 음식문화 발달)
- 중국의 젓가락문화, 인도의 커리, 포루투갈의 칠리를 받아 태국음식으로 정착
- 매달 4일에는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팔지 않고 대신 닭, 생선, 조류, 개구리 등을 판매한다.
5. 태국 음식의 일반적 특징
- 주식과 부식의 분리한다.
- 쌀을 주식으로 하며 한꺼번에 차려 먹는다.
- 음식이 짜거나 맵지만 양념, 소스가 맵거나 짜다.
- 생선, 닭고기, 채소가 주재료로 사용(기름은 적게)한다.
- 시각적인 요소를 중요시하고 맛은 자극적이다.
- 향기를 내고 단맛, 신맛, 톡쏘는 매운맛의 복합적 맛이다.
- 코코넛 밀크와 남플라(nampla:생선간장)을 사용한다.
- 마늘, 생강, 갈랑가, 고수, 고추, 라임, 레몬그라스, 박하 등
6. 지역별 음식의 특징
1) 북부지역 음식
- 우리나라와 유사한 식문화를 나타낸다.
- 버마, 라오스와 국경을 이루며 협곡이 많은 산악 지형이다.
- 치앙마이가 그 중심지역으로, 타 지역과는 다른 문화적 특징을 드러낸다.
- 찹쌀이 주식, 북부지역 사람들은 우리처럼 점성이 강한 쪄낸 밥을 좋아한다.
- 음식에 소금을 즐겨 사용, 맛은 맵고, 짜고, 시지만 그렇다고 달지 않다.
- 대부분의 음식에 국물이 들어간다.
- 전통적인 요리로 손님에게 대접할 때 내놓는 칸토크(Khantoke)가 있는데, 이는 밥, 카레, 칠리(작은 고추)로 맛을 낸 고기, 샐러드, 튀긴 돼지고기 껍질 등 을 각각 작은 그릇에 담아낸다.
2) 북동부 음식
- 메콩 강을 향해 완만하게 경사진 평탄한 토지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코라트 고 원지대를 말한다.
- 찹쌀이 주식이고 코코넛 밀크보다는 주로 민물고기로 담근 젓갈인 쁠라라을 조 미료로 사용한다.
- 닭과 돼지고기를 숯불에 구워 먹는 바비큐(태국어로 ‘양’이라고 부름)문화와 태국 대표 음식 중에 하나가 된 쏨 땀이 유명하다.
- 닭고기 바비큐는 ‘까이양’, 돼지고기 바베큐는 ‘무양’으로 쏨 땀은 입안이 얼얼해질 정도로 매운 태국 식 샐러드로 태국 식 김치다.
3) 중부지역 음식
- 태국의 젖줄인 차오프라야 강을 따라 형성돼 있는 세계적인 규모의 곡창지대이 다.
- 방콕이 중심이 되고 멥쌀을 주식으로 하며, 코코넛밀크, 고추, 박하를 사용한 걸쭉한 음식과 중국식 음식이 많다.
- 칠리, 고수, 코코넛유, 라임, 남플라(생선간장)를 많이 사용하는 게 특징.
- 톰 얌 꿍이 유명하다.
4) 남부지역 음식
- 남부 타이만(싸이암만) 연안은 하천의 침식으로 만들어진 평야지대이다.
- 극히 매운 맛, 짠 맛, 신맛이 두드러지는 편이다.
- 아만다 해에서 풍부하고 신선한 해산물을 어렵지 않게 조달할 수 있어 해산물 요리가 발달했다.
- 코코넛이 사용되는 음식이 많고, 향신료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인도음식에 가깝다.
7. 태국의 음식 이름으로 종류 구별 하는 법
- 볶음류 : 팟(Phat)
- 샐러드류 : 얌(Yam)
- 찌개류 :
추천자료
(식생활과문화)영국에서 차문화가 발달하게 된 역사적 배경과 동양의 차문화 속에 담긴 철학...
일본 스시문화(스시란, 스시 역사, 스시 종류, 생활속 스시), 일본 의복문화(기모노), 일본 ...
[터키][터키문화][터키의 문화][터키 식생활][터키 고대도시][터키 대표음식][케밥][터키 민...
[북한][북한문화][의복문화][음식문화][주거문화][스포츠][애국가]북한의 의생활(의복문화), ...
[신세대 발생조건][신세대 특성과 가치관][신세대 결혼관][신세대와 컴퓨터문화][신세대 식생...
[중국문화, 중국전통, 경극] 중국의 식생활(식사습관), 중국의 술(음주문화), 중국의 요리(음...
[식생활문화] 밥의 종류와 한국 음식문화의 개선점
남유럽의 식생활문화) 이탈리아, 스페인 음식 문화
아메리카의 식생활문화)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의 음식문화 및 식생활 문화
외국의 음식문화-독일의 식생활문화
식생활과 식문화 및 문화
일본의 식생활문화(음식문화)
러시아의 식생활문화) 러시아 음식문화
한국 식생활문화의 변천과정(우리나라 식생활문화 발전과정, 역사, 발달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