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론
Ⅲ. 결론
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dl이상은 되어야 한다. 질 내부의 세균배양 검사를 통해 알맞는 항생제를 선택하여 투여한다. 도뇨관을 이용하여 방광을 비워주면 질 내부는 antiseptic solution으로 세척한다.
2. 방법
(1) 복부절개
20번 mess로 하복부에 longitudinal incision 또는 transverse incision을 한 후 10번 mess로 subcutaneous tissue를 incision하며 mosquito나 kelly로 bleeding point를 잡은 후 bovie로 coagulation하고 3호 silk로 kelly tie하여 bleeding control를 한다.
(2) 근막절개
20번 mess로 fascia에 약간 incision을 넣은 후 kelly나 kocher로 절개된 fascia 양쪽을 잡아 벌린 후 mayo scissor로 길게 절개하여 이때 army retractor로 견인한다.
(3) 복막절개
Toothed forcep 2개로 peritoneum을 살짝 들어 올린 후 10번 mess로 incision을 조금 넣어 kelly로 복막을 잡고 mayo scissor로 계속 복막을 절개한다. 절개된 복막은 모두 kelly로 잡아두고 소방 2개를 절개된 복막 양쪽에 대고 복막과 소방을 함께 kelly로 잡고 abdominal self retaining retractor를 걸어 operative field를 넓혀 준다. 소장은 wet pad로 2번 싸서 상복부 쪽으로 밀어올리고 scapula retractor를 걸어둔다. 아래로는 방광구를 걸어 방광을 아래로 견인시킨 후 각침에 7호 silk를 꿰어 소방과 복막을 몇군데 interrupted suture해둔다.
(4) 원인대 박리
Kocher\'s clamp 2개로 uterus 양쪽을 잡은 후 wet 4×4 gauze로 kocher 2개의 손잡이를 함께 묶는다. 원인대를 7호 silk로 suture하여 tagging하고 또 한번은 7호 silk로 suture하여 매듭끝은 잘라낸 후 suture한 양쪽을 kelly로 잡은 후 mayo scissor로 cutting한다. 반대쪽 원인대도 같은 방법으로 박리해간다.
(5) 골반누두인대 박리
Kelly 2개로 imfundibulopelvic ligament를 잡은 후 mayo scissor로 cutting한 후 안쪽의 ligament는 7호 silk로 suture tie하여 tagging하고 uterus쪽 ligament는 7호 silk로 kelly tie하여 매듭끝은 cutting하지않고 남겨둔다.
uterus쪽의 kelly tie하고 남겨둔 7호 silk와 round ligament를 tie하고 남겨둔 7호 silk를 서로 tie한 후 uterus를 잡은 kocher에 붙들어 매며 uterus의 반대편 ligament도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한다.
(6) 광인대와 방광박리
광인대는 mayo scissor로 cutting하고 7호 silk로 tie하여 박리해가고 large stick sponge 등으로 bladder을 박리해간다.
(7) 자궁 천골인대 박리
heancy\'s clamp와 long kelly로 uterosacral ligament를 clamp하고 mayo scissor로 cutting한 다음 heancy\'s clamp와 long kelly로 잡아 cutting된 ligament 양쪽을 7호로 silk로 suture한다.
(8) 기본인대 박리
heancy\'s clamp로 cardinal ligament를 잡고 10번 mess로 cutting한 다음 7호 silk로 suture하는 과정을 2~3회 반복하여 cardinal ligament가 완전히 박리되며 반대쪽 cardinal ligament도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한다.
(9) 자궁 절제
2개의 allis tssue clamp로 cervix 전면의 중앙부를 자고 10번 mess로 incision한 다음 betadine 또는 0.1% hygine을 묻힌 4×4 gause와 dry 4×4 gause를 uterine packing forcep로 잡아 절개된 cervix를 통해 질로 차례로 packing한다. 이어서 mayo scissor로 cervix stump를 cutting하면 자궁을 비롯한 주위 기관이 모두 절제된다.
(10) 경관 절단부 봉합
cervix stump는 1-0 chromic cutgut 또는 1-0 dexon으로 interrupted suture, continuous suture하며 bleeding point는 3~5호 silk로 kelly tie하거나 suture tie한다.
(11) 후복막 피복술
tagging해 두었던 원인대쪽 7호 silk와 골반누두 인대쪽 7호 silk를 서로 묶은 후 2-0 chromic catgut 또는 2-0 dexon으로 suture하여 후복막을 닫으며 이때 gause, needle, instrument count를 해야 한다.
난소절제를 하게 되는 경우는 babcock으로 난소를 잡은 후 10번 mess로 절제해 낸 후에 3-0 dexon 또는 3-0 chromic catgut으로 연속봉합한다. 때에 따라 충수돌기 절제술을 하기도 한다.
(12) 복부봉합
복막봉합을 하기 전에 gause, needle, instrument count를 또 다시 한다. abdominal self retaining retractor를 빼고 복강내의 bleeding 유무를 확인한 후 복막을 몇개의 kelly로 잡아 나란히 놓고 1-0 dexon 또는 chromic catgut으로 연속봉합한다.
근막은 5호 silk로 결절봉합, 피하조직은 3-0 chromic catgut으로 결절 봉합한다. 피부의 세로절개인 경우 3호 silk로 결절봉합하나 가로절개인 경우에는 3-0 nylon으로 함몰봉합한다.
3. 수술후 간호
수술직후 수시간 동안에는 질 절단면에 있던 혈관 끝에서 출혈이 될수도 있으므로 주의깊게 관찰한다. 수술후 2~3일 동안에 배뇨곤란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때는 도뇨를 해야 한다. 수술 후 48시간 경과했을 때 나타나는 고열은 수술절개상처나 골반내 혈종의 회복과정
2. 방법
(1) 복부절개
20번 mess로 하복부에 longitudinal incision 또는 transverse incision을 한 후 10번 mess로 subcutaneous tissue를 incision하며 mosquito나 kelly로 bleeding point를 잡은 후 bovie로 coagulation하고 3호 silk로 kelly tie하여 bleeding control를 한다.
(2) 근막절개
20번 mess로 fascia에 약간 incision을 넣은 후 kelly나 kocher로 절개된 fascia 양쪽을 잡아 벌린 후 mayo scissor로 길게 절개하여 이때 army retractor로 견인한다.
(3) 복막절개
Toothed forcep 2개로 peritoneum을 살짝 들어 올린 후 10번 mess로 incision을 조금 넣어 kelly로 복막을 잡고 mayo scissor로 계속 복막을 절개한다. 절개된 복막은 모두 kelly로 잡아두고 소방 2개를 절개된 복막 양쪽에 대고 복막과 소방을 함께 kelly로 잡고 abdominal self retaining retractor를 걸어 operative field를 넓혀 준다. 소장은 wet pad로 2번 싸서 상복부 쪽으로 밀어올리고 scapula retractor를 걸어둔다. 아래로는 방광구를 걸어 방광을 아래로 견인시킨 후 각침에 7호 silk를 꿰어 소방과 복막을 몇군데 interrupted suture해둔다.
(4) 원인대 박리
Kocher\'s clamp 2개로 uterus 양쪽을 잡은 후 wet 4×4 gauze로 kocher 2개의 손잡이를 함께 묶는다. 원인대를 7호 silk로 suture하여 tagging하고 또 한번은 7호 silk로 suture하여 매듭끝은 잘라낸 후 suture한 양쪽을 kelly로 잡은 후 mayo scissor로 cutting한다. 반대쪽 원인대도 같은 방법으로 박리해간다.
(5) 골반누두인대 박리
Kelly 2개로 imfundibulopelvic ligament를 잡은 후 mayo scissor로 cutting한 후 안쪽의 ligament는 7호 silk로 suture tie하여 tagging하고 uterus쪽 ligament는 7호 silk로 kelly tie하여 매듭끝은 cutting하지않고 남겨둔다.
uterus쪽의 kelly tie하고 남겨둔 7호 silk와 round ligament를 tie하고 남겨둔 7호 silk를 서로 tie한 후 uterus를 잡은 kocher에 붙들어 매며 uterus의 반대편 ligament도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한다.
(6) 광인대와 방광박리
광인대는 mayo scissor로 cutting하고 7호 silk로 tie하여 박리해가고 large stick sponge 등으로 bladder을 박리해간다.
(7) 자궁 천골인대 박리
heancy\'s clamp와 long kelly로 uterosacral ligament를 clamp하고 mayo scissor로 cutting한 다음 heancy\'s clamp와 long kelly로 잡아 cutting된 ligament 양쪽을 7호로 silk로 suture한다.
(8) 기본인대 박리
heancy\'s clamp로 cardinal ligament를 잡고 10번 mess로 cutting한 다음 7호 silk로 suture하는 과정을 2~3회 반복하여 cardinal ligament가 완전히 박리되며 반대쪽 cardinal ligament도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한다.
(9) 자궁 절제
2개의 allis tssue clamp로 cervix 전면의 중앙부를 자고 10번 mess로 incision한 다음 betadine 또는 0.1% hygine을 묻힌 4×4 gause와 dry 4×4 gause를 uterine packing forcep로 잡아 절개된 cervix를 통해 질로 차례로 packing한다. 이어서 mayo scissor로 cervix stump를 cutting하면 자궁을 비롯한 주위 기관이 모두 절제된다.
(10) 경관 절단부 봉합
cervix stump는 1-0 chromic cutgut 또는 1-0 dexon으로 interrupted suture, continuous suture하며 bleeding point는 3~5호 silk로 kelly tie하거나 suture tie한다.
(11) 후복막 피복술
tagging해 두었던 원인대쪽 7호 silk와 골반누두 인대쪽 7호 silk를 서로 묶은 후 2-0 chromic catgut 또는 2-0 dexon으로 suture하여 후복막을 닫으며 이때 gause, needle, instrument count를 해야 한다.
난소절제를 하게 되는 경우는 babcock으로 난소를 잡은 후 10번 mess로 절제해 낸 후에 3-0 dexon 또는 3-0 chromic catgut으로 연속봉합한다. 때에 따라 충수돌기 절제술을 하기도 한다.
(12) 복부봉합
복막봉합을 하기 전에 gause, needle, instrument count를 또 다시 한다. abdominal self retaining retractor를 빼고 복강내의 bleeding 유무를 확인한 후 복막을 몇개의 kelly로 잡아 나란히 놓고 1-0 dexon 또는 chromic catgut으로 연속봉합한다.
근막은 5호 silk로 결절봉합, 피하조직은 3-0 chromic catgut으로 결절 봉합한다. 피부의 세로절개인 경우 3호 silk로 결절봉합하나 가로절개인 경우에는 3-0 nylon으로 함몰봉합한다.
3. 수술후 간호
수술직후 수시간 동안에는 질 절단면에 있던 혈관 끝에서 출혈이 될수도 있으므로 주의깊게 관찰한다. 수술후 2~3일 동안에 배뇨곤란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때는 도뇨를 해야 한다. 수술 후 48시간 경과했을 때 나타나는 고열은 수술절개상처나 골반내 혈종의 회복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