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기흉(pneumothorax) case study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기흉(pneumothorax)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1) 기 흉
(2) 흉관삽입

< 본 론 >
3. 자료 수집
4. 간호 과정

< 결 론 >
5. 결론
6. 느낀점

< 참고문헌 >

본문내용

<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
늑막은 폐를 둘러싸고 있는 장측 늑막과 가슴벽(흉벽) 안쪽을 둘러싸고 있는 벽측 늑막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이 두 늑막 사이의 공간을 늑막강이라 부른다. 정상적으로 양측 늑막 사이에는 얇은 액체막만이 존재하여 두 늑막은 서로 거의 붙어 있다. 늑막은 흉막으로도 불리며 이중 흉막이 좀 더 자주 쓰이는 표현이다.
기흉이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늑막강 내에 공기가 찬 것을 말한다.
정상인은 늑막강 내의 압력이 폐포(허파꽈리)나 대기압보다 항상 낮은 상태로 유지된다. 왜냐하면 폐는 항상 작아지려고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흉곽벽은 바깥쪽으로 커지려는 탄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폐포와 늑막강 사이에 장측 흉막을 뚫고 서로 통할 수 있는 통로가 있게 되면 폐포로부터 늑막강 내로 공기가 흐르게 되어 늑막강 내에 공기가 차게 된다. 또는 흉벽을 통하여 벽측 흉막을 뚫고 늑막강이 외부와 통로를 가지게 되어도 마찬가지로 늑막강 내에 공기가 차게 되어 기흉이 발생한다.
이런 기흉으로 인해 신생아는 호흡부전을 나타내고 호흡부전증후군은 다른 어떤질병보다도 신생아의 당알 사망률로는 최고 일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폐와 신경계에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의 예방과 적절한 관리는 주산기학 및 신생아학의 범위 중 가장 중요한 분야의 하나이다.
이번 case study 를 통해 신생아의 대표적 질환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직접 환자를 통해 문헌에 나타나는 양상을 비교해 보고, 간호사가 되어서 탐구해야할 질환들에 관한 탐구능력을 기르고 알맞은 간호 중재를 세워 신생아에 대해 더 이해하며 훌륭한 간호를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2. 문헌고찰
(1) 기 흉
1)정의 : 흉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고여 폐의 일부 혹은 전체가 허탈된 상태이다.
흉막외상이 있는 환자에게 기흉은 폐실질조직이나 기관, 기관지 또는 식도열상의 결과로 종종 일어난다.
2)정상해부생리
흉곽(thoracic cavity)은 폐쪽흉막과 벽쪽 흉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4개의 하부조직으로 나뉘어진다. 오른폐 공간, 왼폐공간, 심장과 심낭을 포함하는 심낭공간, 심장, 식도 및 기관(trachea)과 큰 혈관들을 포함하는 흉곽의 중심 부위인 종격동으로 나뉜다. 흉막(pleura)은 폐와 흉곽을 싸고 있는 막으로 2층(벽쪽흉막, 페쪽흉막)으로 구성되어 있음.
정상적으로 이들 막사이에는 잠재적인 공간이 있는데 이것을 흉막강(pleural cavity)라고 하며 약간의 장액성 액체가 있어 윤활제 역할을 하고 흡기시에 폐가 팽창되어 잇는 상태를 유지 하도록 도와준다.
흉막강은 항상 대기압(760mmhg) 낮은 음압 상태에 있고, 쉬고 있을 때 흉막강내 압은 755mmhg 이며 흡기 바로 전에는 751mmhg까지 떨어진다. 이 음압으로 호흡운동이 일어나고 폐가 위축되지 않고 팽창된다.
3) 발생기전에 따른 분류
① 자연기흉(spontaneous pneumothorax)
외상이외의 다른 원인으로 흉막강 내로 공기가 누출되어 축적되는 상태로 폐가 허탈 된다. 큰 수포가 파열되거나 결핵성 병변이 흉막강 내로 침식해서 발생
증상 - 급작스럽고 날카로운 통증, 기침, 힘이 많이 드는 가쁜 숨, 혈압하강, 약하고 빠른맥박, 병소흉부의 과공명음, 불안, 초조, 불안정, 발한, 창백함 또는 청색증, 기절, 흉부압박감, 허탈된 폐, 호흡음 감소 또는 소실, 병소 있는 흉부의 움직임 소실
치료 및 약물요법 - 작은 기흉은 활동을 제한하고 산소를 투여하면 흉막강내의 공기가 점차 흡수되고, 큰 기흉은 천자나(18gauze)카테터를 삽입하여 흡인하거나 밀봉배액병 에 연결하여 공기를 빼주고 재팽창 시킨다.
약물요법으로 vibramycin이나 tetracyclin과 같은 항생제 또는 talcum powder를 식염수에 녹여 주입한다.
이 치료는 매우 심한 통증을 유발하여 발열이 있으므로 이에 다른 간호가 필요하다.
반복기흉을 완전히 치료하기 위해 개흉하여 op하기도 한다.
검사 및 간호 - 기흉이 발생하면 얼마동안 안정하도록 권고 한다. 기흉에서 회복될 때까지 정기적으로 X-선 검사를 하여 폐의 재팽창이 잘 되는지 관찰하며 동맥혈액 가스분석을 실시한다.
산소를 투여하여 호흡곤란을 완화시키고 (COPD 대상자인 경우 CO2 마취를 방지하기 위해 주의해서 투여) 앉은 자세로 조용히 쉬게 한다
② 긴장성 기흉(tension pneumothorax)
손상된 폐조직(기관지, 폐포등의 파열)을 통하여 흡기 시 매 번 흉막강 내로 공기가 들어가지만 호기시에 나 오지 못하는 매우 심한 밸브 타입의 기흉.
공기 양이 축적되어 늑막강내압이 상승되기 때문에 심장과 폐의 충만이 방해된다.
증상 - 심한 호흡곤란, 피하기종, 청색증, 급성흉부 통증, 기관변위, 타진시 고음(북치는 소리), 높은 공명음, 병소 부위의 호흡음 감소 또는 소실, 맥박과 호흡증가, 흉부압박감, 흡기 시 병소 부위의 운동 감소등.
긴장성 기흉은 심각한 순환 및 폐손상을 유발하여 신속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을 잃는다.
치료 및 약물요법 - 흉막강내에 공기가 나가는 개방성 기흉으로 만들어 치료한다. 흉막강 내로 주사바늘을 찔러넣어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때 주사바늘에 끝을 절개한 finger tip을 묶어 flutter valve의 역할을 하게 한다.
흉곽천자를 할 수 있으면 즉시 시행한다. 이는 가장 빠른 치료법이다.
합병증으로 농흉이 되기 쉬우므로 항생제를 투여한다.
③ 개방성 기흉(open pneumothorax)
흉벽상처로 인해 대기의 공기가 흉곽 안으로 빨려들어가 발생한 기흉이다. 공기가 호흡운동에 따라 상처를 통해 흉곽 안팎으로 들어갔다 나왔다 할 수 있을 만큼 크다.
개방성 기흉은 사고로도 생기지만 밀봉배액병의 연결관이 빠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7.04.12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37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