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이 론
3. 실 험
(1) 실험 시약
(2) 실험 기구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4. 고 찰
2. 이 론
3. 실 험
(1) 실험 시약
(2) 실험 기구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4. 고 찰
본문내용
0.659로 주어지기로 한다.
그 결과,
d (HDPE) = 0.659
[ 1 - (70.3968 - 70.1398)]
(40.3442 - 39.3683)
= 0.8945
d (LDPE) = 0.659
[ 1 - (70.3445 - 70.1282)]
(40.3398 - 39.2929)
= 0.8306
d (PP) = 0.659
[ 1 - (76.5609 - 76.3214)]
(35.0805 - 34.0851)
= 0.8678
d (PE) = 0.659
[ 1 - (70.5940 - 70.2200)]
(40.3900 - 39.3860)
= 1.0502
가 나왔고, 각 밀도들을 아래와 같이 도표화 시켰다.
HDPE
LDPE
PP
PS
d
0.8945
0.8306
0.8678
1.0502
4. 결론 및 고찰
실험결과가 PP나 PS를 제외한 HDPE나 LDPE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밀도보다 더 작게 측
정됐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인 값으로는, HDPE는 0.94~0.98, LDPE는 0.89~0.93, PP는 0.85~0.92, PS는
1.04~1.08 로 나타난다. 이 값들이 절대적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이렇게 오차가 생긴 이
유를 아래와 같이 생각해보았다.
첫째, 용제의 순수도가 100%가 아니었기 때문일 것이다.
둘째, 용제의 밀도측정에서 물의 온도가 4℃가 아니었을 경우도 있다.
셋째, 시료 무게 측정에 따른 오차(계량된 시료의 유실)때문일 것이다.
오차는 시료의 실제 측정값(1g 근사치)과 (M1-M0)값의 차이를 보면 알 수 있다. 위를
근거로 예를 들면 HDPE의 무게 m은 0.9955로 측정
그 결과,
d (HDPE) = 0.659
[ 1 - (70.3968 - 70.1398)]
(40.3442 - 39.3683)
= 0.8945
d (LDPE) = 0.659
[ 1 - (70.3445 - 70.1282)]
(40.3398 - 39.2929)
= 0.8306
d (PP) = 0.659
[ 1 - (76.5609 - 76.3214)]
(35.0805 - 34.0851)
= 0.8678
d (PE) = 0.659
[ 1 - (70.5940 - 70.2200)]
(40.3900 - 39.3860)
= 1.0502
가 나왔고, 각 밀도들을 아래와 같이 도표화 시켰다.
HDPE
LDPE
PP
PS
d
0.8945
0.8306
0.8678
1.0502
4. 결론 및 고찰
실험결과가 PP나 PS를 제외한 HDPE나 LDPE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밀도보다 더 작게 측
정됐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인 값으로는, HDPE는 0.94~0.98, LDPE는 0.89~0.93, PP는 0.85~0.92, PS는
1.04~1.08 로 나타난다. 이 값들이 절대적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이렇게 오차가 생긴 이
유를 아래와 같이 생각해보았다.
첫째, 용제의 순수도가 100%가 아니었기 때문일 것이다.
둘째, 용제의 밀도측정에서 물의 온도가 4℃가 아니었을 경우도 있다.
셋째, 시료 무게 측정에 따른 오차(계량된 시료의 유실)때문일 것이다.
오차는 시료의 실제 측정값(1g 근사치)과 (M1-M0)값의 차이를 보면 알 수 있다. 위를
근거로 예를 들면 HDPE의 무게 m은 0.9955로 측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