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온조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체온조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체온조절기전

2. 고체온과 저체온

3. 발열단계에 따른 증상과 간호

4. 열의 종류와 양상

5. 체온유지문제에 따른 간호중재

6. 열요법의 효과 및 금지증

7. 열요법의 종류에 따른 적용

8. 냉요법의 효과 및 금지증

9. 냉요법의 종류에 따른 적용

본문내용

1. 체온조절기전
- 체온은 건강상태를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를 질병의 진행정도를 나타내는 민감한 지표
- 체내에서 생산되는 양과 소실되는 열의 양이 균형을 통해 일정하게 유지됨
- 체온조절중추: 시상하부(hypethalamus), 말초의 온도변화 받아들이는 열수용기(thermoreceptor), 열생산 중추, 열소실 중추
- 체온 조절하는 체계 : 인체 내외의 감각기(sensors), 시상하부의 통합기, 열생산과 열소 실을 조절하는 효과기 체계
(1) 감각수용기- 대부분 피부에 있음(그림 25-1 참고)
① 피부는 따뜻함보다는 추위에 대한 수용체를 더 많이 가지고 있어 따뜻함보다는 추위를 더 효과적으로 구별
② 피부가 차게 될 때 체온을 올리기 위한 생리적 과정
떨림은 열생산을 증가한다.
발한은 열소실 줄이기 위해 억제된다.
혈관수축은 열소실을 감소시킨다
(2) 시상하부 통합기(hypothalarmic integrator) - 심부체온 조절 중추
① 시상하부의 시신경 교차 전방의 전시각 부위(preoptic area)에 위치
② 체온조절
ⅰ) 열감지시 → 열소실 체온중추(시상하부 앞부분) → 체온을 낮추고 열생산 줄이기 위해, 열소실 증가시키기 위해 신호 보냄
ⅱ) 냉감각기 자극 → 열생산 체온중추(시상하부 뒷부분) → 열생산 증가하기 위해, 열소실을 감소하기 위해 신호를 보냄
(3) 효과체계
① 시상하부의 냉 감각수용기로부터 받은 신호 →효과기로 전수(혈관 수축, 떨림, epinephrine 방출), 세포대사 증가 <표재성 혈관 수축, 한선활동 저하, 대사활동 상승, 근육활동 상승> ⇒ 열생산 증가
② 시상 하부의 온 감각수용기 자극 → 효과기(땀과 말초혈관 확장 개시 신호 보냄)
<표재성 혈관확장, 한선활동 상승, 대상활동 저하, 근육활동 저하>
③ 이 체계가 자극될 때 인간은 의식적으로 옷을 더 입거나, 선풍기를 켜는 것과 같이 적합한 조절을 하게 됨
2. 고체온과 저체온
(1) 고체온(hyperthemia)
- 보통 범위보다 높은 체온 또는 열(fever), 발열(pyrexia), 과열 (hyperpyrexia) : 41℃와 같은 아주 높은 체온
① 열성(febrile) : 열이 있는 대상자
무열성 (afebrile) :열이 없는 대상자
② 정상상태에서는 심부체온이 37℃(98.6℉)위로 올라갈 때, 체온이 지정온도 수준으로 떨어지는 결과로 열소실율은 열생산율보다 더 크게 됨
③ 그러나 발열상태에서 시상하부 온도조절기의 지정온도는 조직파괴, 발열성의 물질, 시 상하부의 탈수의 결과로 정상온도보다 더 높게(39.5도) 급격히 변화
-> 심부체온은 여러 시간이 경과의 새로운 짖어온도(new set point)에 도달
-> 이 기간 동안 열생산은 체온상승의 원인이 되는 반응들(오한, 냉감, 혈관수축에 기인 한 찬 피부, 떨림)으로 나타남
④ 과열시 : 전인체에 걸쳐 세포의 실직조직을 손상시킴(뇌 신경세포의 파괴는 비가역적 , 간, 신장과 다른 신체기관의 손상은 기능을 파괴시켜 결국 사망의 원인이 될 수있음)
⑤ 높은 온도의 원인이 급작스럽게 제거 될 때 시상하부 온도 조절기의 지정온도는 더 낮은 수준으로 갑자기 감소되며, 이는 원래의 정상 수준으로 바로 돌아감
->시상하부는 바로 37도로 낮추려고 하고 체온감소 반응들(심한발한, 더위. 붉은 피부 (갑작스런 혈관확장))이 발생
-> 이런 갑작스런 변화는 위기(crisis), 홍조(flush), 발열상태의 종식기임
(참고) 소산(lysis) :체온이 정상으로 점진적으로 회복하는 것
(2) 저체온(hypothermia)
- 심부체온이 정상 한계보다 더 낮은 것(36도 이하)
① 저체온의 생리적 기전 : 과도한 열소실, 열소실에 반응할 수 있는 열생산의 부족, 시 상하부 온도조절기의 손상
② 저체온의 임상적 징후 : 체온맥박호흡 감소, 심한 떨림, 추운 느끼모가 오한, 창백하고 찬 피부, 저혈압, 소변배설량의 감소, 근육조정의 어려움, 지남력 상실, 혼수에 빠지는 기면 현상
③ 우발적 저체온 (accidental hypothermia)
ⅰ) 16˚C(60.8˚F)이하의 추운 환경에 노출되거나, 찬물 속에 침수되거나, 적절한 옷이 나 집, 열 등이 부적절할 때 발생
ⅱ) 노인 : 감소된 대사율과 대사율을 떨어뜨리는 안정제의 사용에 의해 복합적 발생
ⅲ) <저체온의 관리>
추위 제거, 신체를 따뜻하게 해줌
경한 저체온 대상자에게는 신체에 담요를 덮어 주고,
심한 저체온 대상자에겐 전기담요를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4.14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43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