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1. 위생간호의 종류와 개념을 기술한다.
2. 개인위생(피부간호)과 관련된 간호진단을 진술한다.
Ⅱ. 목욕
1. 목욕의 종류와 목적을 설명한다.
2. 침상목욕을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Ⅲ. 구강간호
1. 구강간호의 종류 및 목적을 설명한다.
2. 특별구강간호를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3. 의치간호를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Ⅳ. 등마사지
1. 마사지의 기전 및 효과를 설명한다.
2. 마사지법을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Ⅴ. 눈, 코, 귀 간호
1~2. 눈, 코, 귀 위생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눈, 코, 귀 위생을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Ⅵ. 모발간호
1. 모발간호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2. 침상세발을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Ⅶ. 회음부간호
1. 회음부 간호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2. 회음부 간호를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Ⅷ. 손, 발 간호
1~2. 손, 발 간호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손, 발 간호를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1. 위생간호의 종류와 개념을 기술한다.
2. 개인위생(피부간호)과 관련된 간호진단을 진술한다.
Ⅱ. 목욕
1. 목욕의 종류와 목적을 설명한다.
2. 침상목욕을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Ⅲ. 구강간호
1. 구강간호의 종류 및 목적을 설명한다.
2. 특별구강간호를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3. 의치간호를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Ⅳ. 등마사지
1. 마사지의 기전 및 효과를 설명한다.
2. 마사지법을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Ⅴ. 눈, 코, 귀 간호
1~2. 눈, 코, 귀 위생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눈, 코, 귀 위생을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Ⅵ. 모발간호
1. 모발간호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2. 침상세발을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Ⅶ. 회음부간호
1. 회음부 간호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2. 회음부 간호를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Ⅷ. 손, 발 간호
1~2. 손, 발 간호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손, 발 간호를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본문내용
① 일종의 건강 과학 및 건강유지 과학
② 목욕하기, 대소변 보기, 일반적 신체 위생 및 외양 다듬기와 같은 여러 기능이 개인 스스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
③ 대소변 직후, 구토 후, 그리고 상처 배액 후나 과도한 발한 등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든 신체가 청결하지 못하게 된 경우 도움 필요
④ 종교나 종족, 환경, 발달수준 및 활력, 개인적 기호 등에 의해 영향 받음
<종류>
피부모발손톱치아구강 및 비강눈귀회음 및 생식기 부분의 간호 포함
2. 개인위생(피부간호)과 관련된 간호진단을 진술한다.
① 자가간호결핍 : 위생관리를 행하는데 문제가 있는 것
ⅰ) 목욕/위생 장애에는 신체 일부분 또는 몸 전체를 닦기 어려운 경우, 목욕물을 확보, 수온이나 수류를 조절하기 어려워 목욕하기 어려운 경우
ⅱ) 옷입기/외양 다듬기 장애에는 의복 탈착 불능 및 의복 갈아입기, 옷매무새 가다듬기 등등이 만족스럽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ⅲ) 대소변 가리기 장애에는 화장실 왕래가 어려운 경우, 변기에 앉고 일어서기 어려운 경우, 화장실에서 옷 입고 벗기나 화장실 사용 후 처리를 잘 하지 못하는 경우 등을 경험하는 대상자에게 적용
② 지식 결핍
피부 상태(여드름)에 대한 경험 부족 및 이차 감염을 예방하려는 요구
피부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치료법
의존적인 대상자를 위한 위생관리 경험 부족
변기에 앉고 일어날 때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보조기구에 대한 낯설음
③ 자아존중감 장애
가시적 피부 문제(예: 여드름, 탈모)
체취
Ⅱ. 목욕
1. 목욕의 종류와 목적을 설명한다.
- 목욕은 수성치료법의 일종으로, 물 또는 약제가 함유된 욕조를 이용, 전신 또는 신체의 일부분을 담그는 방법
① 청결작용
- 축적된 피지, 땀, 사멸한 피부세포, 삼출액, 세균, 이미 바른 약제, 기타 분비물 등을 제거하여 피부를 깨끗하게 해줌. (흔히, 물이나 식염수를 이용)
ⅰ) 완전 침상 목욕 : 침대에 누워 있는 의존적 대상자의 전신을 씻어줌.
ⅱ) 자조 침상 목욕 : 침대에 누워있는 대상자 스스로가 목욕할 수 있으며 간호사가 등이나 발을 씻어줌.
ⅲ) 부분목욕 : 내버려둘 경우 불편감이나 악취가 유발되는 신체의 일부분만 씻음.(얼굴, 손, 액와, 회음부 등만 씻고 나머진 생략)
ⅳ) 수건 목욕 : 침상에서 행해지는 목욕으로 항균제, 청정제 및 연화제와 물이 함유된 급속 건조용액이 사용
ⅴ) 주머니 목욕 : 수건 목욕의 변형법으로 플라스틱 주머니, 세수 수건, 헹굼이 필요 없는 세정제가 사용됨.
ⅵ) 욕조 목욕 : 욕조 내에서 씻고 헹구기 쉽기 때문에 선호할 만한 침상 목욕법이며 치료적 목욕에도 사용되기도 함.
ⅶ) 기동이 가능한 대상자들은 상당수 샤워 시설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간호사의 도움은 줄어듬.
② 증상 경감작용
- 냉습포를 이용한 부분 목욕 시 소양감과 작열감과 같은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으며, 심부통의 경우 온습포 목욕으로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물의 온도는 저온일수록 항소양 효과 큼.
ⅰ) Burrow 용액을 이용한 목욕 : 항균 및 소염작용 우수
ⅱ) 과망간산갈륨용액을 이용한 목욕 : 소염작용과 감염이 합병된 경우 좋음
ⅲ) 질산은 용액을 이용한 목욕 : 강력한 살균작용이 있어 감염이나 화상환자에게 사용
ⅳ) 전분 목욕, 오트밀 분말 목욕, 타르 목욕, 바스오일 목욕 : 단독, 혼합 사용하여 목욕하는 경우 피부 소양증이 심한 경우 신경 안정과 진정을 가져옴
③ 냉각작용
냉습포 또는 체온보다 낮은 물을 이용해 목욕하면 수분이 증발, 기화열을 피부로부터 빼앗아 국소가 냉각되어 혈관의 수축으로 피부 홍반 및 염증완화
④ 연화작용
삼출액, 인설, 가피 등을 제거하고 각질을 습윤시켜 부풀게 하
② 목욕하기, 대소변 보기, 일반적 신체 위생 및 외양 다듬기와 같은 여러 기능이 개인 스스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
③ 대소변 직후, 구토 후, 그리고 상처 배액 후나 과도한 발한 등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든 신체가 청결하지 못하게 된 경우 도움 필요
④ 종교나 종족, 환경, 발달수준 및 활력, 개인적 기호 등에 의해 영향 받음
<종류>
피부모발손톱치아구강 및 비강눈귀회음 및 생식기 부분의 간호 포함
2. 개인위생(피부간호)과 관련된 간호진단을 진술한다.
① 자가간호결핍 : 위생관리를 행하는데 문제가 있는 것
ⅰ) 목욕/위생 장애에는 신체 일부분 또는 몸 전체를 닦기 어려운 경우, 목욕물을 확보, 수온이나 수류를 조절하기 어려워 목욕하기 어려운 경우
ⅱ) 옷입기/외양 다듬기 장애에는 의복 탈착 불능 및 의복 갈아입기, 옷매무새 가다듬기 등등이 만족스럽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ⅲ) 대소변 가리기 장애에는 화장실 왕래가 어려운 경우, 변기에 앉고 일어서기 어려운 경우, 화장실에서 옷 입고 벗기나 화장실 사용 후 처리를 잘 하지 못하는 경우 등을 경험하는 대상자에게 적용
② 지식 결핍
피부 상태(여드름)에 대한 경험 부족 및 이차 감염을 예방하려는 요구
피부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치료법
의존적인 대상자를 위한 위생관리 경험 부족
변기에 앉고 일어날 때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보조기구에 대한 낯설음
③ 자아존중감 장애
가시적 피부 문제(예: 여드름, 탈모)
체취
Ⅱ. 목욕
1. 목욕의 종류와 목적을 설명한다.
- 목욕은 수성치료법의 일종으로, 물 또는 약제가 함유된 욕조를 이용, 전신 또는 신체의 일부분을 담그는 방법
① 청결작용
- 축적된 피지, 땀, 사멸한 피부세포, 삼출액, 세균, 이미 바른 약제, 기타 분비물 등을 제거하여 피부를 깨끗하게 해줌. (흔히, 물이나 식염수를 이용)
ⅰ) 완전 침상 목욕 : 침대에 누워 있는 의존적 대상자의 전신을 씻어줌.
ⅱ) 자조 침상 목욕 : 침대에 누워있는 대상자 스스로가 목욕할 수 있으며 간호사가 등이나 발을 씻어줌.
ⅲ) 부분목욕 : 내버려둘 경우 불편감이나 악취가 유발되는 신체의 일부분만 씻음.(얼굴, 손, 액와, 회음부 등만 씻고 나머진 생략)
ⅳ) 수건 목욕 : 침상에서 행해지는 목욕으로 항균제, 청정제 및 연화제와 물이 함유된 급속 건조용액이 사용
ⅴ) 주머니 목욕 : 수건 목욕의 변형법으로 플라스틱 주머니, 세수 수건, 헹굼이 필요 없는 세정제가 사용됨.
ⅵ) 욕조 목욕 : 욕조 내에서 씻고 헹구기 쉽기 때문에 선호할 만한 침상 목욕법이며 치료적 목욕에도 사용되기도 함.
ⅶ) 기동이 가능한 대상자들은 상당수 샤워 시설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간호사의 도움은 줄어듬.
② 증상 경감작용
- 냉습포를 이용한 부분 목욕 시 소양감과 작열감과 같은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으며, 심부통의 경우 온습포 목욕으로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물의 온도는 저온일수록 항소양 효과 큼.
ⅰ) Burrow 용액을 이용한 목욕 : 항균 및 소염작용 우수
ⅱ) 과망간산갈륨용액을 이용한 목욕 : 소염작용과 감염이 합병된 경우 좋음
ⅲ) 질산은 용액을 이용한 목욕 : 강력한 살균작용이 있어 감염이나 화상환자에게 사용
ⅳ) 전분 목욕, 오트밀 분말 목욕, 타르 목욕, 바스오일 목욕 : 단독, 혼합 사용하여 목욕하는 경우 피부 소양증이 심한 경우 신경 안정과 진정을 가져옴
③ 냉각작용
냉습포 또는 체온보다 낮은 물을 이용해 목욕하면 수분이 증발, 기화열을 피부로부터 빼앗아 국소가 냉각되어 혈관의 수축으로 피부 홍반 및 염증완화
④ 연화작용
삼출액, 인설, 가피 등을 제거하고 각질을 습윤시켜 부풀게 하
추천자료
[논문] 산욕기 산모간호
산후관리를 위한 간호과정
장루과 관련된 간호과정
통증과 통증간호
장애아동 간호
나이팅게일의 업적및간호관
정상분만 환자 간호사례 연구
산욕기 산모 간호기법 전반 검토
[성인간호학][간세포암][HCC] 케이스스터디(Case Study)[Hepatocellular Carcinoma][간암], ...
[모성간호학] 자연분만 NSVD(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분담과제 보고서
봉와직염 cellulitis 간호실습 케이스
입원 아동 간호 (위생, 안전, 검사물 수집) A+
[기초간호과학2017]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의 특징적인 차이를 제시하고, 염증의 형태적 분류...
전략적 간호관리 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