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진행절차
5. 자료수집 기간
6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7. 연구의 제한점
[3]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프로그램 실시 전, 후 치매지식의 정도 변화
[4] 논의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진행절차
5. 자료수집 기간
6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7. 연구의 제한점
[3]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프로그램 실시 전, 후 치매지식의 정도 변화
[4] 논의
본문내용
한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프로그램 처치전. 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의 지식정도. 태도정도. 우울정도의 차이
본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에 대한 프로그램 실시 전. 후 지식정도와 태도정도. 우울정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차이가 있는 부분적인 일반적 특성 항목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 지식정도는 직업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태도정도는 연령에 차이가 있었으며 우울정도는 프로그램 실시 전에는 동거가족중 노인이 있는 경우에만 차이가 있었다.
프로그램 실시 전에는 동거가족중 노인유무에서 차이가 있었고. 실시 후에는 우울정도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출생순위에서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에서는 계획한 프로그램이 노인들에게 어느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치매 지식정도와 우울감소등의 효과는 보여지고 있으나 치매에대한 태도에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논의
본 연구는 일 지역 노인에게 치매예방을 목적으로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노인들의 치매에 대한 지식정도는 16점 만점에 프로그램 실시 전 평균점수가 7.60±2.06이었고 실시 후 9.95±3.93 으로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어 유의한 결과 t= -2.383 , p= .02 이었다.
결과는 노인에게 본 연구 프로그램활동을 통해 일상적인 생활양식에 변화를 주므로 자신의 건강 의식이나 자기애착. 자신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외 교육정도가 낮고 치매교육이나 정보접촉이 없었던 노인에서 지식정도가 낮은것은 60세 이상의 남녀노인 137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있는 노인일수록.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치매인식 정도가 더 높다고 한 것과는 맥을 같이 하였지만 유의한 결과는 아니다.
또한 65세 이상 노인 200명을대상으로 노인의 종교생활이 치매예방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결과에서 종교인이 비종교인보다 현저하게 좋은 인지기능 검사결과를 보인다.
노인들의 우울정도는 최고 80점으로 프로그램 실시전 41.71±6.08 이었고 실시후 37.38±8.74로 감소되어 유의한 결과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보는바와 같이 노인을 대상으로 각종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지역사회 주민건강증진 및 유지.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증진. 전반적인 안녕감 증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대상자에 알맞은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5. 대상자의 프로그램 처치전. 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의 지식정도. 태도정도. 우울정도의 차이
본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에 대한 프로그램 실시 전. 후 지식정도와 태도정도. 우울정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차이가 있는 부분적인 일반적 특성 항목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 지식정도는 직업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태도정도는 연령에 차이가 있었으며 우울정도는 프로그램 실시 전에는 동거가족중 노인이 있는 경우에만 차이가 있었다.
프로그램 실시 전에는 동거가족중 노인유무에서 차이가 있었고. 실시 후에는 우울정도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출생순위에서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에서는 계획한 프로그램이 노인들에게 어느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치매 지식정도와 우울감소등의 효과는 보여지고 있으나 치매에대한 태도에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논의
본 연구는 일 지역 노인에게 치매예방을 목적으로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노인들의 치매에 대한 지식정도는 16점 만점에 프로그램 실시 전 평균점수가 7.60±2.06이었고 실시 후 9.95±3.93 으로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어 유의한 결과 t= -2.383 , p= .02 이었다.
결과는 노인에게 본 연구 프로그램활동을 통해 일상적인 생활양식에 변화를 주므로 자신의 건강 의식이나 자기애착. 자신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외 교육정도가 낮고 치매교육이나 정보접촉이 없었던 노인에서 지식정도가 낮은것은 60세 이상의 남녀노인 137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있는 노인일수록.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치매인식 정도가 더 높다고 한 것과는 맥을 같이 하였지만 유의한 결과는 아니다.
또한 65세 이상 노인 200명을대상으로 노인의 종교생활이 치매예방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결과에서 종교인이 비종교인보다 현저하게 좋은 인지기능 검사결과를 보인다.
노인들의 우울정도는 최고 80점으로 프로그램 실시전 41.71±6.08 이었고 실시후 37.38±8.74로 감소되어 유의한 결과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보는바와 같이 노인을 대상으로 각종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지역사회 주민건강증진 및 유지.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증진. 전반적인 안녕감 증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대상자에 알맞은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추천자료
[간호학과] [보건교육C]중년 남성의 절주교육
[보건교육C]중년 남성의 절주교육
당뇨병 보건교육(교육계획안 포함)
고혈압 보건교육 계획안, 대상자요구도사정, 교육평가설문지 다 있습니다
[보건교육C]중년(노년)의 절주교육 - 한 시간분량의 학습지도계획서 포함, [프리시드-프로시...
[보건교육 C형] 초(중.고)학생의 안전과 사고예방에 대한 교육 (사고예방)
[보건교육 D형] 노인의 안전과 사고예방에 대한 교육 - 사고예방
[보건교육-C형]초중고학생의안전과사고예방에대한교육:개인이나집단을정하고,선택대상에대한...
[보건교육 C형] 장기흡연중년남성의 금연교육
[보건교육(A형)] 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흡연 청소년에 대한 금연 교육)
[보건교육 A형] 지역노인의 가정 내 안전사고예방교육
방송대 보건교육 A형 아동(영유아)의 가정 내 안전사고 예방교육
방송대 보건교육 A형 지역 노인의 안전사고 예방 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