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이론
3. 실험기구
4. 관련이론(원리)
5. 실험방법
6. 출처
2. 이론
3. 실험기구
4. 관련이론(원리)
5. 실험방법
6. 출처
본문내용
해 둔다.
이때 입사구는 포사체 운동을 하므로 추가 지면에 도달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수평거리와 수직 높이를 재면 충돌전의 속력 V¹를 계산할 수 있다.
3. <그림 2>장치 끝에 있는 홈이 파진 나사에 표적구를 올려놓고 입사구와 45°-70°의 각으로 표적구의 위치를 조절한다. 표적구의 위치를 바로 아래 종이의 기준 점에서 입사구를 굴려내려 이에 표시하고서 충돌시킨 후 두 공이 떨어진 위치를 같은 번호로 표시한다.
이때 벡터의 시작점은 그림. 4를 참고로 정하여야 한다.
구의 방향을 x 축으로 잡고 각 구의 성분을 구한다. 그리고, 속도 벡터 V′₁과 V′₂는 앞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그림4>
6. 참고 문헌
출처 : 건국대일반물리및실험
연세대일반물리및실험
이때 입사구는 포사체 운동을 하므로 추가 지면에 도달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수평거리와 수직 높이를 재면 충돌전의 속력 V¹를 계산할 수 있다.
3. <그림 2>장치 끝에 있는 홈이 파진 나사에 표적구를 올려놓고 입사구와 45°-70°의 각으로 표적구의 위치를 조절한다. 표적구의 위치를 바로 아래 종이의 기준 점에서 입사구를 굴려내려 이에 표시하고서 충돌시킨 후 두 공이 떨어진 위치를 같은 번호로 표시한다.
이때 벡터의 시작점은 그림. 4를 참고로 정하여야 한다.
구의 방향을 x 축으로 잡고 각 구의 성분을 구한다. 그리고, 속도 벡터 V′₁과 V′₂는 앞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그림4>
6. 참고 문헌
출처 : 건국대일반물리및실험
연세대일반물리및실험
추천자료
종이자료의 보존환경
각운동량 보존실험
탄성충돌에 의한 선운동량 측정 [자연과학]
탄성 운동에 의한 선운동량 측정
탄성출동에 의한 선운동량 측정
[자연] 탄성충돌에 의한 선운동량 측정 [과학]
[일반 물리학 실험] 이차원 충돌 (예비 + 결과)
운동량 보존
운동량보존 실험
[물리실험] -3- 이차원 운동량보존
[기록][기록과 기록문][기록과 기록문학][기록관리학][기록보존관리][기록자료관][기록말소]...
[물리학 실험] 당구의 역학 (충돌을 전후로 한 운동량 보존 여부와 에너지 보존 여부를 조사)
[일반 물리학] 탄동진자에 의한 탄환의 속도 측정 : 탄동진자를 이용하여 운동량 보존법칙과 ...
물리와 실험 - 운동량 보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