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심리학 기초에 대한 전반적 개론
제 1 장 서 론
제 2 장 발 달
제 3 장 학 습
제 4 장 성 격
제 5 장 심리검사와 지능
제 6 장 동기와 정서
제 7 장 기억과 망각
제 8 장 적 응
제 9 장 이 상 행 동
제 10 장 사 회 행 동
제 1 장 서 론
제 2 장 발 달
제 3 장 학 습
제 4 장 성 격
제 5 장 심리검사와 지능
제 6 장 동기와 정서
제 7 장 기억과 망각
제 8 장 적 응
제 9 장 이 상 행 동
제 10 장 사 회 행 동
본문내용
변화의 반영.
(3) 신행동주의적 견해 : 관찰할 수 있는 행동의 변화와 내적이어서 관찰할 수 없는 사항 모두 학습의 개념에 포함. 반듀라의 사회학습이론
고전적 조건 형성
파브러브의 반사조건형성 실험 - 한 상황에서의 반사를 다른 상황에 이전
① 무조건 자극 (음식US) ② 무조건 반사(침UR) ③ 중성 자극(종소리NS) ④ 조건 자극(종소리에 의한 무조건 반사 현상 나타남CS) ⑤ 조건반사 (침CR)
* 조건정서반응 : 공포와 연합된 신체반응 유발
고전적 조건형성의 기본 원리
① 획득 : 중성자극과 무조건 자극의 연합
② 흔적조건형성 : 중성자극 → 무조건 자극 (종소리→음식)
③ 역행조건형성 : 무조건 자극 → 중성자극 (음식→종소리)
④ 연체조건형성 : 중성자극의 지속(무조건 자극시까지)
⑤ 강화 : 반응빈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칭찬 또는 음식이 강화물이 된다.
⑥ 소거 : 조건자극(종소리)가 무조건자극(음식)없이 지속되면 조건반사 사라짐.
⑦ 자발적 회복 : 소거된 조건반사 현상이 나타남.
⑧ 자극의 일반화 : 조건형성과정시 사용된 조건자극과 유사한 자극에 반응.
⑨ 변별 : 자극의 일반화가 이루어 지지 않는 현상
시행착오학습 (손다이크)
-효과의 법칙 : 강화의 원리. 학습
.연습의 법칙 : 기능학습
제 4 장 성 격
성격의 정의 : ① 개인의 고유. 독특한 성향 ② 환경에 적응하는 방법
③ 일관성 지속성. ④ 대인관계에서 나타나는 행동양식
→ 인간이 환경에 대해 적응하는 독특한 형식(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
성격이론
1. 유형론
(1) 체액론(히포크라테스) : 체액에 따른 성격
다혈질
점액질
우울질
담즙질
다정. 유쾌. 흥분
냉담. 조용. 인내
우울. 보수. 조용
흥분. 민첩. 용감
(2) 체격론(크레치머) : 체격에 따른 성격
세장형
비만형
근육형
꼼꼼. 신경질적. 말끔. 고독
사교적. 활발. 기분의 변동이 쉽다.
정력적. 활동적. 규칙적. 의리
쉘돈 : 내장기관. 근육. 피부또는 신경에 따른 성격
2. 특질론 : 성격을 구성하고 있는 요인들의 공통적인 특성을 분석.
(올포트의 특질) - 특질이란 실재하는 심리적 구조이며 성격을 구성하는 실제적 단위. 공통특 질.주특질. 중심특질. 이차특질로 구분
(카텔의 특질) - 능력특질. 기질특질. 역동적 특질로 구분. 요인분석에 의한 분류
3. 성격의 장(場)이론
(레빈) : 성격을 장의 구조로 설명. 성격을 개인이 갖은 특성이라기 보다는 개인이 처한 상황 전체의 관계로 이해. 개인이 처해 있는 상황을 장(field)라고 한다.
personality and enviroment
4. 현상학적 성격론
모든 행위는 개인이 체험하는 주관적 경험세계, 즉 현상세계에 의해 규정된다. 그러므로 성격 의 차이는 각자의 주관적인 경험세계의 차이일뿐이다.
(칼 로저스) - ‘나’ = 체험세계 = 현상의 장 = 현실
5. 사회학습이론
인간의 행위는 개인과 환경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의 결과.
인간의 모든 행동이 학습에 의해 결정된다. (줄리안 롤터) 인간의 인지능력의 중요성 강조
6. 정신분석이론
(프로이트)
*정신분석의 가설 :
① 결정론 - 모든 행위와 생각에는 원인과 목적이 있으며 결정되어 있다.
현재의 행동은 과거 경험의 결과로 이해
② 무의식 - 전혀 자각되지 않는 부분. 인간의 욕구. 충동이 들어있다. 주관적 경험이 작용하 기 때문에 사고, 기억, 감각, 지각, 등 모든 심리현상에 영향.
③ 리비도 - 성적 본능. 삶의 본능의 에너지. 신체적 욕구들과 사랑 문화창조등의 창조적 역 할 포함
④ 타나토스 - 인간의 죽음, 파괴, 잔인의 본능
*성격구조
① 원초아(Id) : 쾌락원리에 의해 지배당한다. 본능적 충동이 자리잡고 있다. 원초아의 목표는 긴장의 해소 또는 긴장의 약화이다.
(1차과정-primary process : 긴장을 해소시켜주는 기억표상울 형성시키는 과정)
② 자아(ego) : 현실과 접촉해서 필요한 것을 합리적으로 얻어낸다. 현실원리에 의해 지배당 한다. 유기체를 온전하게 유지하고 관리하는 역할도 한다. 원초아의 충동 억 제시킨다.
(2차과정-secondary process : 지각, 사고, 기억, 현실검증 등의 수단에 의한 목표 발견)
③ 초자아(super ego) : 양심. 이상적. 자아로 하여금 긍지와 자존심을 높여 자아를 보상해준 다. 상과 벌로 초기에 형성되기 시작한다. 의식에 속해있다가 차차 무의식의 영역이 된다.
*심리성욕발달이론 : 리비도를 만족시켜주는 신체부위에 따라 성격발달의 차별
① 구강기 : (출생후 - 1년) 삼키기 빨기 깨물기 다물기 뱉기에 의한 쾌감
② 항문기 : (2-3세) 배설에서의 쾌감.
③ 성기기 : (4-5세) 외디퍼스. 일렉트라 컴플렉스. 거세불안심리. 남근선망
④ 잠복기 : (5-12세) 부모와의 동일시로 컴플렉스 처리
⑤ 생식기
(1) 융의 항성론 :
1. 인간의 마음 : 집단무의식, 개인무의식, 자아, 자기
① 집단무의식 : 인간이 아주 오랜 태고적부터 지속적으로 경험해온 인간심성
소질, 잠재적 가능성 등
* 원형(archetypes) : 집단무의식의 내용으로 출산. 재생. 마법. 영웅. 거인. 태양 등 비슷한 것끼리 모여서 의식의 표면으로 나타난다. 콤플렉스화 된다.
② 개인무의식 : 개인의 경험내용이 무의식화에서 개인 심리의 심층 형성. 대강 지나간 경험들 이 쌓인다. 주로 나쁜 것들이나 갈등 위주
③ 자아(ego) : 인간 심리의 의식되어진 부분 (지각, 기억, 감정, 정체감) 나와 타인. 주관과 객 관 분리. 어제와 오늘 내일의 나의 연속성 보장.
④ 자기(self) : 위의 세부분을 통합 조절. 외부지향인지 내부지향인지에 따라 성격은 외향성. 내향성으로 된다.
2. 집단무의식에서의 중점 4가지
① Persona : (가면) - 세상을 살아가기 위한 대세에 순응하기 위한 공적인 자신의 모습
② Arnima & Animus : 남자속에 들어있는 여성적인 면과 그 반대현상. 생존에 필요한 원형 이고 최초의 anima는 어머니 또는 아버지이다.
③ Shadow : 동성간 사회생활 내에서 영향을 미치는 원형. 동물적 공
(3) 신행동주의적 견해 : 관찰할 수 있는 행동의 변화와 내적이어서 관찰할 수 없는 사항 모두 학습의 개념에 포함. 반듀라의 사회학습이론
고전적 조건 형성
파브러브의 반사조건형성 실험 - 한 상황에서의 반사를 다른 상황에 이전
① 무조건 자극 (음식US) ② 무조건 반사(침UR) ③ 중성 자극(종소리NS) ④ 조건 자극(종소리에 의한 무조건 반사 현상 나타남CS) ⑤ 조건반사 (침CR)
* 조건정서반응 : 공포와 연합된 신체반응 유발
고전적 조건형성의 기본 원리
① 획득 : 중성자극과 무조건 자극의 연합
② 흔적조건형성 : 중성자극 → 무조건 자극 (종소리→음식)
③ 역행조건형성 : 무조건 자극 → 중성자극 (음식→종소리)
④ 연체조건형성 : 중성자극의 지속(무조건 자극시까지)
⑤ 강화 : 반응빈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칭찬 또는 음식이 강화물이 된다.
⑥ 소거 : 조건자극(종소리)가 무조건자극(음식)없이 지속되면 조건반사 사라짐.
⑦ 자발적 회복 : 소거된 조건반사 현상이 나타남.
⑧ 자극의 일반화 : 조건형성과정시 사용된 조건자극과 유사한 자극에 반응.
⑨ 변별 : 자극의 일반화가 이루어 지지 않는 현상
시행착오학습 (손다이크)
-효과의 법칙 : 강화의 원리. 학습
.연습의 법칙 : 기능학습
제 4 장 성 격
성격의 정의 : ① 개인의 고유. 독특한 성향 ② 환경에 적응하는 방법
③ 일관성 지속성. ④ 대인관계에서 나타나는 행동양식
→ 인간이 환경에 대해 적응하는 독특한 형식(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
성격이론
1. 유형론
(1) 체액론(히포크라테스) : 체액에 따른 성격
다혈질
점액질
우울질
담즙질
다정. 유쾌. 흥분
냉담. 조용. 인내
우울. 보수. 조용
흥분. 민첩. 용감
(2) 체격론(크레치머) : 체격에 따른 성격
세장형
비만형
근육형
꼼꼼. 신경질적. 말끔. 고독
사교적. 활발. 기분의 변동이 쉽다.
정력적. 활동적. 규칙적. 의리
쉘돈 : 내장기관. 근육. 피부또는 신경에 따른 성격
2. 특질론 : 성격을 구성하고 있는 요인들의 공통적인 특성을 분석.
(올포트의 특질) - 특질이란 실재하는 심리적 구조이며 성격을 구성하는 실제적 단위. 공통특 질.주특질. 중심특질. 이차특질로 구분
(카텔의 특질) - 능력특질. 기질특질. 역동적 특질로 구분. 요인분석에 의한 분류
3. 성격의 장(場)이론
(레빈) : 성격을 장의 구조로 설명. 성격을 개인이 갖은 특성이라기 보다는 개인이 처한 상황 전체의 관계로 이해. 개인이 처해 있는 상황을 장(field)라고 한다.
personality and enviroment
4. 현상학적 성격론
모든 행위는 개인이 체험하는 주관적 경험세계, 즉 현상세계에 의해 규정된다. 그러므로 성격 의 차이는 각자의 주관적인 경험세계의 차이일뿐이다.
(칼 로저스) - ‘나’ = 체험세계 = 현상의 장 = 현실
5. 사회학습이론
인간의 행위는 개인과 환경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의 결과.
인간의 모든 행동이 학습에 의해 결정된다. (줄리안 롤터) 인간의 인지능력의 중요성 강조
6. 정신분석이론
(프로이트)
*정신분석의 가설 :
① 결정론 - 모든 행위와 생각에는 원인과 목적이 있으며 결정되어 있다.
현재의 행동은 과거 경험의 결과로 이해
② 무의식 - 전혀 자각되지 않는 부분. 인간의 욕구. 충동이 들어있다. 주관적 경험이 작용하 기 때문에 사고, 기억, 감각, 지각, 등 모든 심리현상에 영향.
③ 리비도 - 성적 본능. 삶의 본능의 에너지. 신체적 욕구들과 사랑 문화창조등의 창조적 역 할 포함
④ 타나토스 - 인간의 죽음, 파괴, 잔인의 본능
*성격구조
① 원초아(Id) : 쾌락원리에 의해 지배당한다. 본능적 충동이 자리잡고 있다. 원초아의 목표는 긴장의 해소 또는 긴장의 약화이다.
(1차과정-primary process : 긴장을 해소시켜주는 기억표상울 형성시키는 과정)
② 자아(ego) : 현실과 접촉해서 필요한 것을 합리적으로 얻어낸다. 현실원리에 의해 지배당 한다. 유기체를 온전하게 유지하고 관리하는 역할도 한다. 원초아의 충동 억 제시킨다.
(2차과정-secondary process : 지각, 사고, 기억, 현실검증 등의 수단에 의한 목표 발견)
③ 초자아(super ego) : 양심. 이상적. 자아로 하여금 긍지와 자존심을 높여 자아를 보상해준 다. 상과 벌로 초기에 형성되기 시작한다. 의식에 속해있다가 차차 무의식의 영역이 된다.
*심리성욕발달이론 : 리비도를 만족시켜주는 신체부위에 따라 성격발달의 차별
① 구강기 : (출생후 - 1년) 삼키기 빨기 깨물기 다물기 뱉기에 의한 쾌감
② 항문기 : (2-3세) 배설에서의 쾌감.
③ 성기기 : (4-5세) 외디퍼스. 일렉트라 컴플렉스. 거세불안심리. 남근선망
④ 잠복기 : (5-12세) 부모와의 동일시로 컴플렉스 처리
⑤ 생식기
(1) 융의 항성론 :
1. 인간의 마음 : 집단무의식, 개인무의식, 자아, 자기
① 집단무의식 : 인간이 아주 오랜 태고적부터 지속적으로 경험해온 인간심성
소질, 잠재적 가능성 등
* 원형(archetypes) : 집단무의식의 내용으로 출산. 재생. 마법. 영웅. 거인. 태양 등 비슷한 것끼리 모여서 의식의 표면으로 나타난다. 콤플렉스화 된다.
② 개인무의식 : 개인의 경험내용이 무의식화에서 개인 심리의 심층 형성. 대강 지나간 경험들 이 쌓인다. 주로 나쁜 것들이나 갈등 위주
③ 자아(ego) : 인간 심리의 의식되어진 부분 (지각, 기억, 감정, 정체감) 나와 타인. 주관과 객 관 분리. 어제와 오늘 내일의 나의 연속성 보장.
④ 자기(self) : 위의 세부분을 통합 조절. 외부지향인지 내부지향인지에 따라 성격은 외향성. 내향성으로 된다.
2. 집단무의식에서의 중점 4가지
① Persona : (가면) - 세상을 살아가기 위한 대세에 순응하기 위한 공적인 자신의 모습
② Arnima & Animus : 남자속에 들어있는 여성적인 면과 그 반대현상. 생존에 필요한 원형 이고 최초의 anima는 어머니 또는 아버지이다.
③ Shadow : 동성간 사회생활 내에서 영향을 미치는 원형. 동물적 공
키워드
추천자료
`동성애`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스포츠 심리학 전반적인 내용 요약정리
이상심리학 청소년기 정신질환의 종류와 특징 및 정신건강에 대한 중요성 (2012년 추천 우수)
국제 디지털대학 온라인가의실 심리학 개론 레포트 주교제 제4장 학습과행동을 읽고 서평하시요
인간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의 개념과 전반적 특징을 설명하고, 융의 ...
[의료사회사업론] 우리나라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변천, 급여, 개선방안 등에 대한 설명 (...
[사회복지법제론] 현재 국회 계류중인 정부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개정안의 기초생활보장제도...
[교육심리학] 교육심리학(educational psychology)의 개념에 대한 이해
[평생교육론]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의 심리학적 배경 - 성인학습자에 대한 발달심리...
(의료사회사업론 A형) 우리나라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사업내용을 간단히 설명하고 개선점...
인간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의 개념과 전반적 특징을 설명하고, 융의 ...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우리나라의 국민연금(노령연금)과 기초연금(기초노령연금)에 대한 배...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상 기초생활수급자 선정기준과 현행 부양의무자 기준의 문제점 및 개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