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감상 前
2. 생상스는 누구?
3. 생상스, 동물의 사육제
4. 동물의 사육제, 교육
5. 감상 後
2. 생상스는 누구?
3. 생상스, 동물의 사육제
4. 동물의 사육제, 교육
5. 감상 後
본문내용
을 때 신체로 음악을 느끼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음악을 들으며 종종종 뛰는 모양, 천천히 걷는 모양, 백조의 우아함을 표현하는 것은 어린아이들이 음악을 느끼는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동물의 사육제가 기초한 연극을 조별로(2인1조 1곡) 발표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음악과 움직임이 서로 별개의 독립된 영역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오히려 음악이 곧 움직임을 동반하고, 움직임이 곧 음악을 생산하는 상호 역동적인 관계 속에 있다는 것을 생각하고 지도하여야 할 것이다. 또는 곡에 등장한 동물들을 역할 배정하여서 그 동물의 특징과 울음소리 등으로 서로 대화해보는 것도 시도해 볼 만하다. 음악자체가 동물을 나타냈기 때문에 그 동물의 특징과 울음소리를 익힘으로써 왜 이 음악이 이런 음과 리듬 등을 썼는지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5. 감상 後
- 음악을 감상한다는 것, 음악을 즐기는 것이 아닐까. 하지만 이번 감상을 통해 느낀 것은 그저 음악을 편하게 듣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생각하며, 작곡가가 의도한 바를 잡아내려 노력하며 듣는 것. 그 것이 감상포인트가 아닐까 싶다. 같은 시대를 공유하지도 않았고(할아버지의 할아버지의 할아버지 뻘) 같은 나라에서 태어나지도 않았으며, 작곡을 한 나이조차 지금의 내 나이를 훨씬 넘는 사람의 곡이지만 대화를 했다는 생각이 든다. 음악을 듣는 것이 내가 ‘말을 듣는’ 것이라면 들은 음악을 생각하고 이해하고 공감을 하는 것이 내가 ‘말을 하는’ 것, 응답이 아닐까. 즐거운 대화를 나누었던 그를 훗날, 내 제자들에게도 소개시켜주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5. 감상 後
- 음악을 감상한다는 것, 음악을 즐기는 것이 아닐까. 하지만 이번 감상을 통해 느낀 것은 그저 음악을 편하게 듣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생각하며, 작곡가가 의도한 바를 잡아내려 노력하며 듣는 것. 그 것이 감상포인트가 아닐까 싶다. 같은 시대를 공유하지도 않았고(할아버지의 할아버지의 할아버지 뻘) 같은 나라에서 태어나지도 않았으며, 작곡을 한 나이조차 지금의 내 나이를 훨씬 넘는 사람의 곡이지만 대화를 했다는 생각이 든다. 음악을 듣는 것이 내가 ‘말을 듣는’ 것이라면 들은 음악을 생각하고 이해하고 공감을 하는 것이 내가 ‘말을 하는’ 것, 응답이 아닐까. 즐거운 대화를 나누었던 그를 훗날, 내 제자들에게도 소개시켜주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