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발달[사회성발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유아발달[사회성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8.1]사회성의 개념

[8.2]영유아의 사회성발달

[8.3]영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지도방안

본문내용

하고, 다른 대상과 다르다는 것을 인지하는데에 있음.
3)신뢰감 및 자율감의 형성
에릭슨: 신뢰감 형성은 생후 1년 동안 양육의 질에 달려있다고 보았음.
양육자와의 신뢰감은 더 나아가 주변사람에 대한 신뢰감으로 확장되고 장차 성공적인 사회적 관계 형성으로 이어진다.
자율감의 형성은 2세쯤 영아가 걷게 되고 대,소변을 가리게 되는 독립적 행위에서 시작.
행동의 주체가 자기 자신임을 드러내는 ‘내꺼’ ‘내가 할 꺼야‘등과 같은 말을 자주 사용.
4)애착형성
애착이란? 보울비에 의해 영아와 어머니와의 애정적 유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최초로 사용된 용어.
(1) 애착형성단계
1단계
전 애착 단계(preattachment )
출생부터 2~3개월
2단계
애착 형성단계(attachment-in-the-makig )
2~3개월부터 7~12개월
3단계
분명한 애착단계(clear-cut attachment )
7~12개월부터 24~36개월
4단계
목표수정상호협력관계(goal-corrected partnership )
24개월~36개월 이후
[애착형성 과정]
(2) 애착의 유형
에인즈워스의 ‘낮선 상황(stranger situation)’
애착의 유형: 안정애착, 불안정-회피애착, 불안정-저항애착, 불안정-혼돈애착
안정애착
(secure attachment)
연구대상의 약 70%를 차지
어머니를 안전기지로 사용하여 낯선 환경을 능동적으로 탐색.
어머니가 실험실 밖으로 나가도 울지 않고, 어머니가 되돌아오면 반갑게 맞이하고 쉽게 안정을 되찾음.
불안정-회피애착
(insecure-avoidant
attachment)
연구대상의 약 20%를 차지
어머니가 떠나도 별로 동요하지 않음.
어머니와의 재회상황에서도 무시 또는 회피하는 반응을 보임.
어머니나 낯선 사람이나 별 차이가 없음.
불안정-저항애착
(insecure-resistant
attachment)
연구대상의 약 10%를 차지
어머니의 곁에서 떨어지려 하지 않으며 주변탐색에도 소극적.
어머니가 밖으로 나가면 심한 격리 불안을 보임.
재회에서는 어머니에게 안기는 등의 접촉을 요구하는 동시에 어머 니가 앉아줘도 쉽게 안정을 얻지 못하고 화를 내거나 발로 차고 밀어 내는 등 양극적인 반응을 보임.
불안정-혼돈애착
(insecure-disorgani zed attachment)
연구대상의 극소수
어머니가 부르거나 접근했을때 바로 강한 두려움이나 불안을 표 현하기도 하고 두려운 표정으로 뒤로 물러나거나 머리와 어깨를 움츠리며 멀리 도망가는 경우가 있음.
[애착의 유형]
(3) 애착형성의 요인 및 중요성
① 애착형성의 요인
과거: 애착형성이 수유에 의한 것이라 생각함.
현재: 아기는 선천적으로 양육자에게 신호를 보내는 능력을 가지고 태어났으며 신호가 양육자로부터 양육 및 사회적 반응을 이끌어내게 함으로써 애착이 발달.(할로우의 원숭이 실험 연구)
애착형성을 위한 양육시간이 길고 짧은 것은 그리 중요한 요인이 되지 못해 이러한 불안정 애착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② 애착형성의 중요성
생후 1년동안 양육자와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5.03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78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