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놀이의 정의와 특징
1. 놀이의 정의
2. 시대에 따른 놀이에 대한 시각변화
3. 놀이의 특징
4. 놀이의 기능
Ⅱ. 발달 단계별 놀이
1. 놀이의 범주
2. 발달 단계별 놀이
Ⅲ. 놀이가 발달에 미치는 영향
1. 신체적 발달
2. 인지발달
3. 언어발달
4. 사회적, 정서적, 도덕적 발달
5. 기술 발달
Ⅵ. 건강간호 현장에서의 아동
1. 치료적 놀이 (therapeutic play)
1. 놀이의 정의
2. 시대에 따른 놀이에 대한 시각변화
3. 놀이의 특징
4. 놀이의 기능
Ⅱ. 발달 단계별 놀이
1. 놀이의 범주
2. 발달 단계별 놀이
Ⅲ. 놀이가 발달에 미치는 영향
1. 신체적 발달
2. 인지발달
3. 언어발달
4. 사회적, 정서적, 도덕적 발달
5. 기술 발달
Ⅵ. 건강간호 현장에서의 아동
1. 치료적 놀이 (therapeutic play)
본문내용
논리적인 사고의 틀이 되며, 인지 능력을 발달시킴
⑥ 두뇌 발달과 창의력 향상에 도움이 됨
- 놀이에 대한 관심이 많은 아이일수록 호기심이 많음. (다각적인 탐색, 경험)
- 상상력을 발휘. (장난감 인형을 친구로 상상)
Ⅱ. 발달 단계별 놀이
1. 놀이의 범주
A. 일반적 놀이의 범주
- 모험적, 기능적, 반복적 놀이
- 구성적, 만들기 놀이
- 상징적, 사회극적, 환상적, 가작 놀이
- 사회적 놀이, 규칙이 있는 게임
B. Parten의 놀이의 범주
- 비몰입 행동 (unoccupied behavior)
: 일시적으로 일어나는 흥미로운 일에 집중
- 방관자 행동 (onlooker behavior)
: 다른 아동들이 노는 것을 지켜보다가, 말을 걸거나 질문을 하거나 제안을 하지만, 그 놀이에 참가하지는 않음
- 단독놀이 (solitary independent play)
: 다른 아동이 하는 것에 대해 관계없이 그들 자신의 행동을 수행, 친숙하 지 않은 환경에서 볼 수 있음
- 평행놀이 (parallel activity)
: 다른 아동의 옆에서 놀지만 같이 놀지는 않음, 유아기에서 일어남
- 연합놀이 (associative play)
: 비슷한 행동이나 비슷한 장난감을 가지고 함께 놈, 학령전기, 초기 학령 기에 일반적임
- 협동 혹은 조직적 보충놀이 (cooperative or organized supplementary play) : 집단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화된 집단에서 놈, 학령기 아동에 게 전형적임
※ 각 발달단계에서 한 가지 유형의 놀이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
2. 발달 단계별 놀이
A. 영아의 놀이
- 놀이를 통해서 몸을 움직이는 여러 가지 기술을 배우기 때문에 다양한 놀이 기회를 줌. 자기 자신은 물론 주변 환경을 배우게 되며 신체적, 정서적, 지적발달이 향상됨. 부모와 아기가 더욱 애착관계를 유지, 쉽게 부모 곁을 떨어져 있을 수 있음
- 집안 물품들이 좋은 장난감으로
- 50%이상의 시간을 탐구, 연습하는데 소비
- “탐구적 놀이” : 반복적, 연습적, 기능적 놀이
- 유아의 놀이 : 기능적 (똑같은 동작을 반복)
- 생후 첫 5개월 : 시각적 탐구
- 6개월 : 사회적 놀이, 게임
- 7개월 : 정확한 미세운동기술을 습득
- 9개월 : 새로운 것을 선호, 혼자 놀기, 평행놀이, 흉내 내기, 상징적 놀이
- 12개월 : 사물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관심을 보임
- 13개월 : 사물의 기능, 의미를 인식
- 21개월 : 상징적 사회적 놀이
장난감과 놀이 활동
발달 증진
선택기준
0~6개월의 영아
음악상자
청각 자극
음량조절
라디오
수면증진
유쾌한 소리
테이프, 레코드,
CD 등의 자장가
새로운 경험
모빌
시각자극
새로운 경험
인지강화
다양한 색상
안전하고 잘 떨어지지 않는 것
끝이 날카롭지 않은 것
딸랑이
반복과 반사적인 운동기술 자극
청각자극
초보적인 인과관계의 감각 증진
끝이 날카롭지 않은 것
독성이 없는 것
부서지지 않는 것
매다는 장난감
손과 눈의 조정력 자극
인과관계 증진
청각자극
반복적이고 반사적인 운동기술 자극
부서지지 않는 것
독성이 없는 것
끝이 날카롭지 않는 것
안전하고 견고한 것
7~12개월의 영아
목욕, 욕조안의
장난감
미세운동과 전체 운동의 조정력 자극
운동성자극
균형유지 증진
반복적인 실험과 예상되는 결과 가르침
부서지지 않는 것
끝이 날카롭지 않는 것
주전자와 팬
큰운동 기술 자극
부서지지 않는 것
마시는 컵
소리와 인과관계의 연관성
끝이 날카롭지 않은 것
큰 크레용
창조력 자극
미세운동과 큰 운동 기술 자극
독성이 없는 것
부드러운 블록
관찰력 자극
독성이 없는 것
헝겊 책
촉감 자극
나를 남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가르침
독성이 없는 것
부분으로 나눌 수 없는 것
까꿍놀이
사회적 발달 자극
대상의 영구성 이해 증진
B. 유아의 놀이
- 다른 사람의 감정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자기중심적인 행동을 함
- 놀이에 있어 자기중심주의는 아동 자신이 힘이 있고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 을 증명하는 행동에 의해 나타남
- 유아가 자아상을 정립해 가는 방법으로 자신을 인간으로 인지하는데 기여
- 평행놀이(혼자 놀기)는 이런 욕구를 표현하는 형태
- 돌보는 사람을 모방하는데 흉내 내는 행동은 아동의 발달상 중요한 단계
- 활동적인 놀이를 좋아하고 물건을 조작
크고 작은 근육을 움직이는 것은 자기 몸과 환경을 통제하는 능력의 발달을 위해 필요
세발자전거, 자동차, 그네타기 등 활동적인 운동을 좋아함
- 감각을 통하여 환경을 배움
물체의 느낌을 알기위해 손으로 만지고 영아기 때보단 덜하지만 입으로 가져감
다양한 소리를 좋아함 (자기 목소리 듣기, 소리 흉내내기)
취침 전 책읽어주기, 자장가 불러주는 것을 좋아함
자율성을 행사하려다가 좌절감을 느끼는 아동은 적절한 놀이 활동이 필요함
단순한 활동으로 넘치는 에너지를 안전하게 사용하고
다양한 감각을 경험함으로 공격적인 행동을 표현하는 방법을 알게 됨
사전 지도 : 간호사는 놀이가 어떻게 아동의 발달을 증진하는지에 대해 가족에게 이해시킴. 부모가 아동과 함께 놀아주도록 격려하고 잠깐 동안 혼자 놀거나 다른 아동 옆에서 놀더라도 아동은 어른의 주의를 끌거나 상호작용하는 놀이를 좋아 한다는 것을 알려줌. 혼자 자란 아이는 다른 아이들과 함께 놀 수 있도록 부 모가 준비해주어야 함. 형제간의 갈등을 다루기 위한 방법을 발달시키되 가능 한 스스로 해결하도록
C. 학령전기의 놀이
- “구성놀이”로 대체됨
- 놀이가 끝난 뒤 계속 남을 수 있는 것을 만들거나 창조하는 놀이 시작
- 상징적, 가작, 사회극적 놀이 : 4~5세 사이에 극에 달함
- 혼자만의 모방놀이 보다 “집단, 협동적인 모방”놀이가 더 일반적임
(해설자, 배우자 역할 ; 역할분담의 능력은 나이가 들면서 증가함)
- 가공의 물체 사용
- “거친놀이” : 싸움과 놀이의 구별을 도와줌.
참가자에게 해를 주지 않고, 놀이친구가 싸움을 하지 않으면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명랑하고 비공격적인 전체 운동 활동임.
놀이행위 : 웃음, 큰소리, 달리기, 뛰어오르기, 비틀거나 구르기,
⑥ 두뇌 발달과 창의력 향상에 도움이 됨
- 놀이에 대한 관심이 많은 아이일수록 호기심이 많음. (다각적인 탐색, 경험)
- 상상력을 발휘. (장난감 인형을 친구로 상상)
Ⅱ. 발달 단계별 놀이
1. 놀이의 범주
A. 일반적 놀이의 범주
- 모험적, 기능적, 반복적 놀이
- 구성적, 만들기 놀이
- 상징적, 사회극적, 환상적, 가작 놀이
- 사회적 놀이, 규칙이 있는 게임
B. Parten의 놀이의 범주
- 비몰입 행동 (unoccupied behavior)
: 일시적으로 일어나는 흥미로운 일에 집중
- 방관자 행동 (onlooker behavior)
: 다른 아동들이 노는 것을 지켜보다가, 말을 걸거나 질문을 하거나 제안을 하지만, 그 놀이에 참가하지는 않음
- 단독놀이 (solitary independent play)
: 다른 아동이 하는 것에 대해 관계없이 그들 자신의 행동을 수행, 친숙하 지 않은 환경에서 볼 수 있음
- 평행놀이 (parallel activity)
: 다른 아동의 옆에서 놀지만 같이 놀지는 않음, 유아기에서 일어남
- 연합놀이 (associative play)
: 비슷한 행동이나 비슷한 장난감을 가지고 함께 놈, 학령전기, 초기 학령 기에 일반적임
- 협동 혹은 조직적 보충놀이 (cooperative or organized supplementary play) : 집단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화된 집단에서 놈, 학령기 아동에 게 전형적임
※ 각 발달단계에서 한 가지 유형의 놀이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
2. 발달 단계별 놀이
A. 영아의 놀이
- 놀이를 통해서 몸을 움직이는 여러 가지 기술을 배우기 때문에 다양한 놀이 기회를 줌. 자기 자신은 물론 주변 환경을 배우게 되며 신체적, 정서적, 지적발달이 향상됨. 부모와 아기가 더욱 애착관계를 유지, 쉽게 부모 곁을 떨어져 있을 수 있음
- 집안 물품들이 좋은 장난감으로
- 50%이상의 시간을 탐구, 연습하는데 소비
- “탐구적 놀이” : 반복적, 연습적, 기능적 놀이
- 유아의 놀이 : 기능적 (똑같은 동작을 반복)
- 생후 첫 5개월 : 시각적 탐구
- 6개월 : 사회적 놀이, 게임
- 7개월 : 정확한 미세운동기술을 습득
- 9개월 : 새로운 것을 선호, 혼자 놀기, 평행놀이, 흉내 내기, 상징적 놀이
- 12개월 : 사물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관심을 보임
- 13개월 : 사물의 기능, 의미를 인식
- 21개월 : 상징적 사회적 놀이
장난감과 놀이 활동
발달 증진
선택기준
0~6개월의 영아
음악상자
청각 자극
음량조절
라디오
수면증진
유쾌한 소리
테이프, 레코드,
CD 등의 자장가
새로운 경험
모빌
시각자극
새로운 경험
인지강화
다양한 색상
안전하고 잘 떨어지지 않는 것
끝이 날카롭지 않은 것
딸랑이
반복과 반사적인 운동기술 자극
청각자극
초보적인 인과관계의 감각 증진
끝이 날카롭지 않은 것
독성이 없는 것
부서지지 않는 것
매다는 장난감
손과 눈의 조정력 자극
인과관계 증진
청각자극
반복적이고 반사적인 운동기술 자극
부서지지 않는 것
독성이 없는 것
끝이 날카롭지 않는 것
안전하고 견고한 것
7~12개월의 영아
목욕, 욕조안의
장난감
미세운동과 전체 운동의 조정력 자극
운동성자극
균형유지 증진
반복적인 실험과 예상되는 결과 가르침
부서지지 않는 것
끝이 날카롭지 않는 것
주전자와 팬
큰운동 기술 자극
부서지지 않는 것
마시는 컵
소리와 인과관계의 연관성
끝이 날카롭지 않은 것
큰 크레용
창조력 자극
미세운동과 큰 운동 기술 자극
독성이 없는 것
부드러운 블록
관찰력 자극
독성이 없는 것
헝겊 책
촉감 자극
나를 남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가르침
독성이 없는 것
부분으로 나눌 수 없는 것
까꿍놀이
사회적 발달 자극
대상의 영구성 이해 증진
B. 유아의 놀이
- 다른 사람의 감정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자기중심적인 행동을 함
- 놀이에 있어 자기중심주의는 아동 자신이 힘이 있고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 을 증명하는 행동에 의해 나타남
- 유아가 자아상을 정립해 가는 방법으로 자신을 인간으로 인지하는데 기여
- 평행놀이(혼자 놀기)는 이런 욕구를 표현하는 형태
- 돌보는 사람을 모방하는데 흉내 내는 행동은 아동의 발달상 중요한 단계
- 활동적인 놀이를 좋아하고 물건을 조작
크고 작은 근육을 움직이는 것은 자기 몸과 환경을 통제하는 능력의 발달을 위해 필요
세발자전거, 자동차, 그네타기 등 활동적인 운동을 좋아함
- 감각을 통하여 환경을 배움
물체의 느낌을 알기위해 손으로 만지고 영아기 때보단 덜하지만 입으로 가져감
다양한 소리를 좋아함 (자기 목소리 듣기, 소리 흉내내기)
취침 전 책읽어주기, 자장가 불러주는 것을 좋아함
자율성을 행사하려다가 좌절감을 느끼는 아동은 적절한 놀이 활동이 필요함
단순한 활동으로 넘치는 에너지를 안전하게 사용하고
다양한 감각을 경험함으로 공격적인 행동을 표현하는 방법을 알게 됨
사전 지도 : 간호사는 놀이가 어떻게 아동의 발달을 증진하는지에 대해 가족에게 이해시킴. 부모가 아동과 함께 놀아주도록 격려하고 잠깐 동안 혼자 놀거나 다른 아동 옆에서 놀더라도 아동은 어른의 주의를 끌거나 상호작용하는 놀이를 좋아 한다는 것을 알려줌. 혼자 자란 아이는 다른 아이들과 함께 놀 수 있도록 부 모가 준비해주어야 함. 형제간의 갈등을 다루기 위한 방법을 발달시키되 가능 한 스스로 해결하도록
C. 학령전기의 놀이
- “구성놀이”로 대체됨
- 놀이가 끝난 뒤 계속 남을 수 있는 것을 만들거나 창조하는 놀이 시작
- 상징적, 가작, 사회극적 놀이 : 4~5세 사이에 극에 달함
- 혼자만의 모방놀이 보다 “집단, 협동적인 모방”놀이가 더 일반적임
(해설자, 배우자 역할 ; 역할분담의 능력은 나이가 들면서 증가함)
- 가공의 물체 사용
- “거친놀이” : 싸움과 놀이의 구별을 도와줌.
참가자에게 해를 주지 않고, 놀이친구가 싸움을 하지 않으면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명랑하고 비공격적인 전체 운동 활동임.
놀이행위 : 웃음, 큰소리, 달리기, 뛰어오르기, 비틀거나 구르기,
추천자료
발달단계별 놀이의 특징과 놀이감
쌓기놀이의 개념, 종류, 교육적 의의, 발달단계, 교사의 역할, 지도방법, 유의사항, 환경구성...
놀이의 발달단계와 놀이 형태
영유아 발달과 놀이의 발달
연령별 아동의 놀이 발달과 놀이와 아동발달영역과의 관계
놀이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놀이의 가치
[자폐(전반적 발달장애)]자폐(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아동, 자폐증)의 특징, 인지, 자폐(전반...
[자폐][전반적 발달장애][자폐아동]자폐(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아동)의 특성, 반향어, 자폐(...
사회성발달(사회성의 발달)의 촉진, 사회성발달(사회성의 발달)과 사회성습득, 집단, 사회성...
[유아기의 발달] 유아기 사회성 발달, 유아기 도덕성 발달, 유아기 경제성 발달, 유아기 놀이...
놀이- 의의(놀이의 정의,놀이의 의의),놀이의 이론(고전적 놀이 이론,현대적 놀이 이론),놀이...
입원아동의 놀이중재 02 (발달에서의 놀이의 가치, 놀이의 치료효과, 입원아동의 놀이의 필요...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영유아기의 놀이 - 발달 단계별 특성(영아기, 유아기, 학령전기), ...
Parten(1983)은 놀이의 발달단계를 혼자놀이→병행놀이→연합놀이→협동놀이로 제시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