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장애의 정의, 종류, 특성과 진단 및 문제점과 치료방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달장애의 정의, 종류, 특성과 진단 및 문제점과 치료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발달장애의 정의
2. 발달장애의 원인과 종류
3. 장애 유형별 등록 장애인 수
4. 발달장애의 특성
1) 언어적 특성
2) 사회적 특성
3) 행동적 특성

[본론]
1. 진단 및 치료 교육과정 시스템
2. 치료 중재 방안 (INTERVENTION OPTIONS)
1) 치료 중재 추천 및 선택 개요
2) 연구/증거를 바탕으로 한 중재
3) 전문적 치료 (Specialized interventions)
4) 복합치료 프로그램 (Multi- treatment programs)
3.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비주류 대체 치료방식
1) Auditory integration training (AIT)
2) 식이요법
3) 비타민 요법
4) 미네랄 요법
5) DMG (Dimethylglycine)
6) Anti-Yeast 요법
7) Secretin
8) 중금속이상과 자폐증
9) 자폐아동의 언어발달과 'Aricept'의 실험적인 사용

[결론]
§문제 및 개선점§

본문내용

pt를 자폐아동에게 사용하여 뚜렷한 언어발달의 호전을 보았다고 보고하였다. Aricept 투여 전과 투여 12주 후에 시행된 언어평가에서 약 8개월간의 언어연령이 투여전보다 발달되었다는 보고를 하였다.
치매치료제인 Aricept는 뇌에서 Acetylcholinesterase의 작용을 방해하며, Nicotine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치매 증상을 호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Nicotine 수용체는 기억과 학습의 과정에 관여한다. 또한, Aricept는 장기 복용 시에도굉장히 안전하고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약물로 알려져 있다.
* 치매 치료제인 Aricept가 자폐증에 효과가 있을 수 있는 근거
Aricept는 치매치료제이므로, 주로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되고 연구되었다, 널리 알려진대로, 부작용이 없고 안전하여 노인환자들에게 부담감 없이투여된다. Aricept 자체가 매우 안전한 약물인데다, 뇌의 Nicotine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기전을 이용하여, 미국 하버드의대 소아정신과 연구진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들에게 Aricept를 투여하였다. Aricept가 nicotine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전두엽의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을 항진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파악하였다. 또한, Aricept를 ADHD와 Tourette's syndrome가 있는 아동들에게 투여하여 효과를 본 증례보고가 있기도 하다.
실행기능이란, 일을 계획하고 그것을 조직하며(planning and organization), 상황을 관찰하여 그것으로부터 나오는 정보를 현 상황에 다시 이용하고(monitoring performance and using feedback), 충동조절에 관여하며(impulse control), 주의관심을 다른 곳으로 바꾸는 능력(shifting attention), 언어적 활동기억(verbal working memory), 그리고 언어의 유창한 구사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폐 아동의 경우는, 인지적 과제에서 처리가 진행 중인 단기간의 정보저장 능력으로서 현재 작업 중인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했다가 활성화시켜 결론을 산출하는 기능인 활동기억(working memory)이 실행기능에 속하는 다른 기능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떨어져 있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므로, 자폐아동에게Aricept를 사용할 때, nicotine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하여 전두엽에서 실행기능을 호전시키는 점을 기대할 수 있다.
[결론]
§문제 및 개선점§
(1) 자폐아를 위한 복지서설이나 적은 비용으로 진단, 치료와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관을 국가차원에서 설립해야 한다.
☞ 자폐증은 조기 발견. 치료 여부가 평생을 좌우하듯이 적은 비용으로 진단. 치료와 교육 을 받을 수 있는 기관을 국가 차원에서 설립하는 일이 급선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정부가 운영하는 장애인복지관 중 자폐 전용은 단 한 곳도 없고, 다른 장애인과 함께 이용하는 종합복지관도 전국에 61개소뿐이며, 장애아를 낮 동안 돌봐주는 주간보호 센터도 전국을 통틀어 42개, 이틀 이상 맡아주는 단기 보호 시설은 열 곳에 불과하다.
그리고 최근 장애인들끼리 4~5명에서 10명 단위로 아파트나 가정집을 세내 정부, 지자 체의 지원을 받으며 소규모 공동생활을 하는 그룹 홈(‘마라회’가 대표적)이 자폐 성인을 둔 부모들의 새 희망이 되고 있다. 그러나 예산 문제로 서울시의 경우 지원 대상을 67곳 (2백76명수용) 에서 더 늘리지 못하고 있으며, 지방 시.도는 이보다 훨씬 적다.
(2) 특수학교의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특수교육에 대한 예산을 늘려야 한다.
☞ 특수학교의 학부모들은 통합교육을 포기하는 대신 일반학교에 비해 전문적인 교육은 받 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특수학교의 교육환경 역시 일반 학교만큼이나 열악 하다. 대부분 특수학교의 학급당 정원은 초, 중학교 12명, 고교는 15명 선이어서 제대로 된 수업을 하기가 힘든 형편이다. 그나마 특수학교엔 담임교사 외에 별도의 치료교사들 이 배치돼 언어. 작업치료 등을 받을 수 있다는 게 일반학교에 비해 장점이다.
그러나 특수학교 역시 자폐아들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되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치료교 사 숫자 역시 현행법상 6개 학급에 한사람, 18학급이면 두 사람 하는 식으로 한정돼 있 어 아이들 숫자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상태이다.
(3) 갈 곳 없는 자폐성인, 취업의 길을 넓혀 줘야 한다.
☞ 자폐성인은 혼자 출퇴근하고 대화가 가능해야 하는데 자폐 장애인은 이런 '취업의 기본 자격' 을 갖추기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이들을 받아주는 곳도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 다. 이렇게 자립하지 못하면 국가나 부모가 보살펴야 하는데 국가의 역할은 취약한 실정 이다. 반면 일본은 자폐 성인의 일반직장 취업률이 20%에 이르고 나머지도 60%는 각종 복지기관이 운영하는 작업장에 다닌다.
(4) 자폐에 대한 역사가 짧은 만큼 우리나라는 선진국의 모범사례를 본받아 우리나라 실정 에 맞추어 발달장애인에 대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 미국은 자폐아 등 장애아에 대해선 3세부터 21세까지 교육부에서 무상으로 교육한다. 철저한 교육과정을 통해 성인이 될 즈음이면 자폐아들의 문제행동이 상당 부분 교정돼 직업을 갖는 데 무리가 없게 된다.
미국사회에서 자폐성인들이 많이 택하는 직업은 패스트푸드점의 종업원, 대형 할인매장 의 재고관리 요원, 도서관의 반납도서를 제자리에 정리하는 사서 보조, 생수회사에서 물 이 병에 차면 스위치를 누르는 직원 등이다.
연방정부의 보조를 받는 고용주는 다양한 유형의 장애인을 일정 수 이상 반드시 고용하 도록 재활법에 명문화 돼 있다. 이처럼 자폐성인들의 사회활동이 활발하다 보니 미국자 폐사회(Autism Society of America) 내엔 1백여명의 회원으로 구성된 자폐성인들의 모 임까지 만들어진 상태다.
위와 같이 어릴 때부터 적성을 조기개발 하여 그에 맞는 교육, 훈련을 시키고, 성인이 되면 거주, 취업, 재활, 치료를 한꺼번에 할 수 있는 통합형 복지시스템을 우리나라도 하 루빨리 구축해야 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5.12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0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