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력의 교육학 -플라톤과 버슐라르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상력의 교육학 -플라톤과 버슐라르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들어가며
1. 플라톤 교육사상의 구조와 그 한계
2. 심상적 상상력의 발견
3. 상상력의 교육학
4. 탈 영토화와 탈 중심적 교육

◎나가며

본문내용

1990. pp37
그렇다면 이러한 심상의 분리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그것은 바슐라르의 ‘단절’의개념 속에서 더 명확히 살필 수 있다. 그에 따르면 모든 사고의 전환과 지식의 진보는 변증법적인 발전 두사고가 모순을 이루어 그 전개를 하고나서 새로운 무 모순적 체계를 형성하는 정신의 완만적인 발전
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갑작스런 정신의 단절로 혁명적이게 오는 것이다. 이는 원초적 심상의 작용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절이 교육에서의 필연성인 지속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은 단절로써 도약한 새로운 지식이 기존의 지식을 포섭한다는 것에 있다. 이것이 곧 심상의 작용이며 심상적 상상력의 작용인 것이다. 그러나 포섭된 기존의 지식은 새로운 지식 속에서 부분적으로 작용하며 때에 따라서는 파기되어 소멸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상력에 의한 지식의 계보학적 계보학적 지속이라고 한 것은 그 근본이 비약적 단절로부터 시작된 것이고 그 근본으로부터의 필요에 의해 지속된 것이기 때문에 또한 지속이 충분조건이 아니라 필요조건으로 나타남에 계보학적이라 표현 했다.
지속이 플라톤적인 지식의 자연적 자연적 지속이라 이야기 한 것은 플라톤적 지속 속에 지속이란 필연적 요소이기 때문이다. 또한 지식의 진보속에 이미 이전의 지식이 내재 되어있기 때문이다,
지속과 다른 것은 무엇이고 실재로 이러한 것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 보기로 하자. 우선 선지식과 진보한 지식의 관계 문제이다. 후자의 경우 기존의 지식과 이후의 지식은 이미 객관화되고 보편화된 체계의 범주에서 맴돌기 때문에 이론적 상상력의 한계 이상으로 확장 될 수 없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근본적으로 단절을 매개로 하기 때문에 무한한 화장의 가능성을 잠재하고 있는 것이다. 유클리드의 체계 속에서 유클리드의 후예들이 이 시 공간을 벗어 날 수 없었던 것처럼, 그리고 뉴턴의 후예들이 또한 그러했던 것처럼 후자의 경우 끊임없이 맴돌 뿐이다. 이는 곧 정체의 형태로 드러날 것이다. 그러나 아인 슈타인의시 공간의 획기적 단절은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젖힌다. 또한 역설적이지만 플라톤의 신화로 부터 단절된 지적 구축, 데까르트의 단절, 또한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 젖혔다. 이처럼 상상력의 교육이라는 것은 단절적 도약의 가능성을 열어둠으로써 가능 한 것이다. 이는 또한 인류의 혁명적 진보를 가져 올 것이다. 역사 속 단절이 그러 했듯이 말이다. 이는 공교육과 국가의 교육이 가진 닫힌 지속성을 열어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5.14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2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