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시문학과 다니엘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묵시문학과 다니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1. 묵시문학의 정의
2. 묵시문학의 기능
1) 위기 문학으로서의 기능
2) 저항 문학으로서의 기능
3. 묵시문학의 특징들
1) 가명성
2) 역사의 은유화
3) 환상과 상징
4) 종말론적 사상
5) 두 세대들
6) 심판과 하나님 나라
7) 메시야와 인자
4. 묵시적 종말론에서 해석되는 역사의 의미
5. 다니엘의 기록목적
6. 다니엘의 주요신학
1) 임박한 역사의 종말
2)“하늘의 하나님”으로서의 신이해
3) 수호천사와 인자의 등장
4) 죽은자들의 부활
7. 다니엘 7장 주석
1) 본문 사역
2) 본문 비평과 사역해설
3) 본문의 짜임새
4) 본문의 배경
5) 본문의 해설

결 론

본문내용

다. 다니엘 11-12장 전체는 세상 종말에 관한 천사의 메시지로 구성되어 있을 정도다 다니엘은 천사의 결정적인 도움으로 마지막 때의 비밀을 알게 된다. 다니엘서에서 야웨 하나님은 특정 민족을 초월하여 전 세계와 우주를 통치하시는 분으로 고백되고 있기 때문에 그분은 더 이상 이스라엘과 유다의 민족 신이 될 수 없었다. 야웨가 이스라엘만을 자신의 분깃으로 결정하고 다른 민족들은 다른 신들에게 할당하였다는 선언(신32:8-9)은 다니엘서에서는 더 이상 유효 할 수 없다. 이러한 유일신론적 사상과 야웨의 보편성을 토대로 다니엘서는 하나님의 세계통치를 증거하기 위한 새로운 모델을 설계하였다. 세계의모든 백성들은 야웨에게 복종하는 천사들에 의해 지배를 당한다는 것이다. 천사들은 천상의 강력한 존재들로 우주의 비밀을 알고 있으며, 인간에게 펼쳐지는 하나님의 역사에 참여하는 자들이다. 이러한 천사에 대한 사상은 페르시아의 종교에서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페르시아에서 천사는-사람보다 먼저 창조 되었고 사람들이 죽은 다음에도 계속해서 살아 있는-신적인 존재로 모든 살아 잇는 자들의 보호자다. 다니엘7:13-14에 등장하는‘인자’(Son of man) 도 민족들을 보호하는 이러한 천사들 중의 하나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는 하나님이 지상으로 보낸 인물로 인간의 외모를 하고 있는 자다. 천사적인 존재를 사람으로 표현하는 것은 구약 성서의 다른 속에서도 발견된다.(겔1:26,슥1:10) 인자는 외관상 인간의 모습을 하고 있는 천상의 존재인 것이다. 인자는 하늘과 땅이라는 두 극점을 연결하는 하나님의 지상 대리인이라고 말 할 수 있는데, 하나님의 현현을 위한 수단이다. 심지어 인자는 메시아적인 역할까지 감당하고 있다. 인자는 지상에 있는 신의 임재로서 세상에 영원한 생명과 축복과 밝은 빛을 제공하는 인물인 것이다. 그는 또한 백성들의 정의로운 사사이며 인도자이며 무한한 권력을 지닌 지상의 절대자로 등장한다.(2:37,5:18,7:14) 여기서 우리는 마카비 시대에 유대교의 한 분파가 갖고 있었던 메시아에 관한 초보적인 해석을 만나게 된다.
7. 다니엘 7장 주석
1) 7장이 차지하는 위치
현대 주석가들은 대개 다니엘 7장이 다니엘서에서‘유일하게 가장 중요한 장’이라는 동의하고 있다. 즉, 다니엘 7장은 다니엘서 전체의 구성에 있어서 그 위치상 중심이 되며, 다니엘 7장이 포함하고 있는 환상의 찬란함에 비추어 볼 때에도 중심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다니엘 7장에서 주목할 만한 관점의 변동이 발생하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1-6장은 영웡 이야기 즉 영웅들의 외적인 이야기로서 이방 땅에서 이스라엘 하나님의 권능이 공식적으로 계시되는 내용을 다루고 있지만, 7장부터는 하나님의 선택받은 자들의 장차될 운명에 관한 환상을 개인적으로 받게 되는 내용으로서 그 전환점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다니엘 1-6장이 다니엘에 관해 3인칭으로 보도하고 있는 반면에 7장부터는 다니엘이 직접 보고 들은 묵시를 1인칭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조를 이룬다. W. S. Towner, Daniel(INT:Atlanta:John Knox, 1984),91.
다니엘서 연구의 대가인 콜린스(J.J. Collins)도 다니엘 7장을‘전환장’(transitional chapter)으로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다. 즉 언어적으로 아름어를 사용하고, 내용적으로는 2장과의 밀접한 관계를 보임으로써 앞부분의 이야기들(1-6장)과 연결되며, 뒷 부분의 세 가지 환상들(8-12장)과는 장르상 일치되고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J.J. Collins, Daniel : With an Introduction to Apocalyptic Literature, FOTL 20(Grand Rapids, Michigan:Eerdmans Publishing Company,1984),80.
콜린스(J.J. Collins)는 또한 자신의 주석에서 7장의 역할을 밝히기를“다니엘 7장은 다니엘서 전체에서‘중심축의’위치를 자치한다.” J.J. Collins, Daniel, Hermeneia Minneapolis, (Augsburg,1993),323.
고 주장하고 있다.
2) 본문 사역, 비평과 사역해설
1절 : 바벨론 테오도션 역본에‘갈대아’라고 되어 있다.
왕 벨사살 첫 해에 다니엘이 그의 침상에서 한 꿈 고대 헬아어 역본에는 ‘꿈’대신에 ‘환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과 일치시키려는 의도로 보인다. 그러나 맛소라 본문의 입장을 따라‘꿈’으로 번역하기로 한다.
을 꾸고 그의 머리 속의 환상들을 보았다. 그런 다음 그가 그 꿈을 기록하고, 그 일들의 대략을 말했다.
2절 : 다니엘이 대답하고 말했다. 고대 헬라어 역본, 시리아 역본 등에는 이 구절을 생략하고 있지만 맛소라 본문에는 포함시키고 있다. 여기서는 맛소라 본문의 입장을 따른다.
내가 밤의 환상들 중에 보았는데, 보라! 하늘의 네 바람이 거대한 바다를 요동시켰다. 헬라어와 라틴어 역본들에는“공격하고 있는 것”으로 번역하고 있다.
3절 : 네 마리의 큰 짐승들이 바다로부터 올라왔는데 각각의 모양이 달랐다.
4절 : 첫 번째는 사자와 같고 독수리의 헬라어 역본들은“독수리와 같은”으로 번역하고 있다.
날개가 있었다. 내가 본 즉 마침내 그것의 날개가 뽑혔고 그것이 땅으로부터 올리움을 받아 사람처럼 두 발로 서게 함을 입었으며, 사람의 마음이 그것에게 주어졌다.
5절 : 보라! 두 번째 다른 짐승은 곰과 같은 데, 그것이 몸 한 쪽을 들었고 그것의 입안의 이빨 사이에는 갈빗대 넷이 있었다. 그런데 그것에게 다음과 같은 말이 들렸다. “일어나라! 많은 고기를 먹어라!”
6절 : 이후에 내가 보았는데, 보라! 또 다른 짐승 헬라어 역본과 시리아 역본을 따라서‘짐승’을 첨가시켜 번역했다.
은 표범과 같고, 그것의 등위에는 새의 날개 넷이 있고, 그 짐승에게 머리 넷이 있고, 또 권세가 주어졌다.
7절 : 이후에 내가 밤의 환상들 중에 보았는데, 보라! 네 번째 짐승은 무섭고 놀라우며 또 극히 강하며 그것에는 커다란 철 이빨이 있어서 먹고, 부숴 뜨리고, 나머지는 발로 짓밟았으며 이 짐승은 그것 앞에 있었던 모든
  • 가격10,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7.05.17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00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