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상담과 생활지도의 역사 및 현황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교상담과 생활지도의 역사 및 현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제도의 변천
Ⅱ-1-1 우리나라 학교상담과 생활지도의 변천과정
Ⅱ-1-2 美國의 학교상담과 생활지도의 변천과정
Ⅱ-2-1 우리나라 학교상담과 생활지도의 제도
Ⅱ-2-2 美國의 학교상담과 생활지도의 제도

Ⅲ. 외국의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현황
Ⅲ-1 美國의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현황
Ⅲ-2 日本의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현황

Ⅳ.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의 학교 상담과 생활지도 실태
Ⅳ-1 학교 상담실의 현황
Ⅳ-2 학교별 생활지도 전담교사 배치 현황
Ⅳ-3 교육 현장 실제 방문 사례
Ⅳ-4 설문조사

Ⅴ.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로그램의 국가기준은 다음과 같은 3가지 영역에서의 학생발달을 촉진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학습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ASCA의 국가기준 참조).
(1) 학업발달(academic development): 학생들의 학습능력을 최대화하고 지원할 수 있는 활동과 전략의 시행/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지식, 기술, 태도를 습득시키기/학교학습의 성공을 위한 전략의 채택/학업과 직업, 가정 및 지역사회 생활과의 관계를 이해시키기 등
(2) 진로발달(career development): 직업세계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 기술, 태도를 획득하도록 도와주기/장래의 직업성공과 직무만족을 위한 전략/개인적 자질, 교육, 훈련과 직업세계 간의 관계를 이해시키기/직업의식과 경험을 통한 진로발달 촉진
(3) 개인적·사회적 발달(personal/social development): 학업 및 직업성공에 기여하는 개인적, 사회적 성장의 토대를 제공하기/자신과 타인을 존중하도록 하는 지식, 기술, 태도의 습득/효과적인 대인관계 기술의 사용/생존과 안전에 필요한 기술의 사용/사회구성원으로서의 책임의식 고취/ 21세기의 복잡하고 다원화된 세상에 효율적으로 적응하기 등
Ⅲ. 외국의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현황
Ⅲ-1. 美國의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현황
미국의 중고등학교의 경우 한국의 담임과 같은 제도가 없고 학생생활지도는 주로 전문적인 자격을 갖춘 학교 생활지도 상담자(school guidance counselor), 학교 상담자(school counselor), 학교 심리학자(school psychologist), 학교 사회사업가(school social worker) 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은 1977년 351명이던 상담자가 1987년 90명까지 줄어든(현재는 다시 상향세로 돌아섰음) 영국 Dennis Lines, Brief Counselling in Schools : Working with Young People from 11 to 18 (London ; Thousand Oaks, Calif. : SAGE Publications, 2002), p.6
에 비하면 학교상담과 생활지도가 상당히 잘 되고 있는 국가로 이해할 수 있다.
다음은 미국 중고등학교의 학생지원인력을 중심으로 그 종류와 특징, 자격요건 등을 상세히 알아보고 상담활동 실태와 상담자의 주요 활동 영역, 학교상담의 효과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가. 미국 공립학교 내 학생 지원인력
2003년 5월 미국립교육통계원(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2001~2002년 각 주별 공립 초중고등학교의 인력에 대한 조사 보고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행정 업무를 위한 행정관과 보조사무원, 교육 업무에서는 교사 및 교육보조와 지도 감독자, 학생지원업무에서는 도서관 사서를 제외한 전체의 25.3%가 학생지원인력(Student Support Staff)으로 이루어져 있다. 학생지원인력에는 상담자(counselors) 및 생활지도상담자(guidance counselors)와 이들을 지원하는 인력을 포함한다.
구분
비율(%)
교사
50.8
학생지원인력
25.3
교육 보조와 지도감독자
12.2
행정보조 사무원
7.0
학교와 지역구 행정관
3.8
사서
0.9
(미국 공립학교 내 학생지원인력 비율)
나. 학교상담자(School Counselor)의 역할과 상담 프로그램
미국 학교상담자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Counselor : ASSC)에서는 ‘초등’, ‘중등’, ‘고등’, ‘고교졸업 후’ 과정으로 나누어 학교상담자의 역할과 상담프로그램에 대해 제안하고 있는데, 중고등학교 상담자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미국 학교상담자협회에서는 학교 상담 프로그램은 최대한의 자아성장, 사회성 및 가치 획득, 진로 목적 계획 및 학문적 잠재력을 일깨워주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하고, 학교상담자의 활동 영역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제안하고 있다.
첫째, 학교생활지도 교육과정(School Guidance Curriculum)으로서 공부방법이나 시험대처 방안에 대한 지원, 학생들의 자기이해를 위한 교육, 또래관계와 사회성 및 대화방법 교육, 진로탐험 및 계획, 약물남용 교육, 문화의 다양성 자각에 목표를 둠.
둘째, 개별학생 계획 수립(Individual Student Planning)에 대한 것으로서 학업이나 진로, 진학계획 등 학생들의 자신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포함됨.
셋째, 반응중심서비스(Responsive service)는 개인 상담이나 소집단상담, 개인/가족, 학교 위기개입, 또래상담자훈련, 자문과 관련전문가 의뢰(Referrals)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함.
넷째, 학교시스템 지원
미국 학교상담자협회에서는 학생 수 대 상담자의 적정비율을 250:1로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The State Nonfiscal Public Elementary/Secondary Education 조사에 의하면 학생 수 대 상담자의 전체 평균 비율은 490:1로 적정비율을 2배 정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주에 따라 학생 수 대 상담자 비율은 최소 240:1에서 최대 960:1로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중학교 상담자
신체적으로 급격한 성장이 이루어지며, 자아정체감을 형성해가기 시작하는 중학생들을 위해 중학교 상담자들은 단독으로 상담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보다 학교 인력, 학교 행정가, 학부모, 지역사회와 팀을 이뤄 활동한다. 예를 들어, 학부모를 위해 자녀의 학업이나 진로, 진학 등의 문제에 대해 각종 오리엔테이션과 부모교육, 1:1 면담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학생들의 학업계획에 대한 보조, 공부방법 평가 및 교육, 학생들의 진로발달 등과 관련하여 교사와 협조체제를 갖추고 학교전반에 걸친 분위기 개선이나 학생 자료 관리 등을 위해 행정관과 협조를 이루며, 지역사회를 위해서는 직업소개, 위기 개입, 관련전문가 의뢰(Referrals), 부모교육 등을 실시한다.
(2) 고등학교 상담자
고등학교는 성인기로 넘어가는 과정으로 학생들이 부모로부터 독립하기 시작하는
  • 가격3,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07.05.23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09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