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명절유래
설
대보름
단오
추석
동지 등등
설
대보름
단오
추석
동지 등등
본문내용
편 중국에서는 한나라 때부터 대보름을 8대 축일의 하나로 중요하게 여겼던 명절이었다. 또한 일본에서도 대보름을 소정월(소정월)이라 하여 신년의 기점으로 생각하기도 하였다. 이는 대보름날을 신년으로 삼았던 오랜 역법의 잔존으로 보이며,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건대, 대보름의 풍속은 농경을 기본으로 하였던 고대사회로부터 풍농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고 하겠다.
2. 음식
대보름의 음식으로는 오곡밥, 약식, 부럼, 귀밝이술, 묵은 나물, 복쌈, 원소병, 팥죽 등이 있다. 명절음식, 한복선, 대원사, 1992. p33
(1) 오곡밥 한국 전통음식, 정혜옥, 문화사, 1999. p 153~154
오곡은 찹쌀, 수수, 팥, 차조, 불콩이며, 그 외에 대추 등을 섞어서 밥을 지어 이웃에 나누어 주며, 이는 제삿밥을 나누어 먹는 풍습을 전승한 것이라 한다. 이는 다음 해에도 모든 곡식이 잘되기를 바란다는 뜻이 담겨 있다. 특히 대보름날 다른 성을 가진 집의 밥을 세 집 이상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아진다고 하여, 여러 집의 오곡밥을 서로 나누어 먹었다.
(2) 복쌈 한국 전통음식, 정혜옥, 문화사, 1999. p 154
한 해 동안 소출된 곡식을 조금씩 모아 만드는 오곡밥, 아홉 가지 나물을 먹는 전채식 등, 이 때 먹는 음식에는 곡물이나 채소의 풍작을 기원하는 마음이 담겨 있었다. 곰취잎, 피마자잎, 소루쟁이잎 등 잎 넒은 나물로 쌈을 싸먹는 복쌈도 이름 그대로 풍년과 평안이 깃들기를 바라는 음식이었다. 보자기는 한자로 褓(보)라 표기된다. 보는 곡 복이나 복쌈이며, 복쌈을 먹는 것은 곧 복을 자기 것으로 삼는다는
2. 음식
대보름의 음식으로는 오곡밥, 약식, 부럼, 귀밝이술, 묵은 나물, 복쌈, 원소병, 팥죽 등이 있다. 명절음식, 한복선, 대원사, 1992. p33
(1) 오곡밥 한국 전통음식, 정혜옥, 문화사, 1999. p 153~154
오곡은 찹쌀, 수수, 팥, 차조, 불콩이며, 그 외에 대추 등을 섞어서 밥을 지어 이웃에 나누어 주며, 이는 제삿밥을 나누어 먹는 풍습을 전승한 것이라 한다. 이는 다음 해에도 모든 곡식이 잘되기를 바란다는 뜻이 담겨 있다. 특히 대보름날 다른 성을 가진 집의 밥을 세 집 이상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아진다고 하여, 여러 집의 오곡밥을 서로 나누어 먹었다.
(2) 복쌈 한국 전통음식, 정혜옥, 문화사, 1999. p 154
한 해 동안 소출된 곡식을 조금씩 모아 만드는 오곡밥, 아홉 가지 나물을 먹는 전채식 등, 이 때 먹는 음식에는 곡물이나 채소의 풍작을 기원하는 마음이 담겨 있었다. 곰취잎, 피마자잎, 소루쟁이잎 등 잎 넒은 나물로 쌈을 싸먹는 복쌈도 이름 그대로 풍년과 평안이 깃들기를 바라는 음식이었다. 보자기는 한자로 褓(보)라 표기된다. 보는 곡 복이나 복쌈이며, 복쌈을 먹는 것은 곧 복을 자기 것으로 삼는다는
추천자료
남북한 식생활문화의 차이
중국을 알기 위한 기본 “중국 요리” 알기 및 중국식습관 알기
신궁전통한과의 마케팅 전략 수립
[중국문화의이해]중국요리에 대하여
중국축제 관련 정보 레포트
한국 문화의 문화컨텐츠로서의 활용방안
[세시풍속][계절별 세시풍속][월별 세시풍속][띠별 세시풍속][12지신][12간지 세시풍속]세시...
동남아시아 여행계획서
왜 떡은 빵을 넘어서지 못하는가
중국요리의 이해
식문화의 특징에 대해 서술
중국에 대한 조사 리포트
강릉단오제및 단오굿
[한국어교육] 식(食) 관련 관용어 - 관용어 분류 및 분석, 문화적 논의(속성의 유사성, 상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