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음식의 종류와 유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명절음식의 종류와 유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명절유래



대보름

단오

추석

동지 등등

본문내용

편 중국에서는 한나라 때부터 대보름을 8대 축일의 하나로 중요하게 여겼던 명절이었다. 또한 일본에서도 대보름을 소정월(소정월)이라 하여 신년의 기점으로 생각하기도 하였다. 이는 대보름날을 신년으로 삼았던 오랜 역법의 잔존으로 보이며,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건대, 대보름의 풍속은 농경을 기본으로 하였던 고대사회로부터 풍농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고 하겠다.
2. 음식
대보름의 음식으로는 오곡밥, 약식, 부럼, 귀밝이술, 묵은 나물, 복쌈, 원소병, 팥죽 등이 있다. 명절음식, 한복선, 대원사, 1992. p33
(1) 오곡밥 한국 전통음식, 정혜옥, 문화사, 1999. p 153~154
오곡은 찹쌀, 수수, 팥, 차조, 불콩이며, 그 외에 대추 등을 섞어서 밥을 지어 이웃에 나누어 주며, 이는 제삿밥을 나누어 먹는 풍습을 전승한 것이라 한다. 이는 다음 해에도 모든 곡식이 잘되기를 바란다는 뜻이 담겨 있다. 특히 대보름날 다른 성을 가진 집의 밥을 세 집 이상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아진다고 하여, 여러 집의 오곡밥을 서로 나누어 먹었다.
(2) 복쌈 한국 전통음식, 정혜옥, 문화사, 1999. p 154
한 해 동안 소출된 곡식을 조금씩 모아 만드는 오곡밥, 아홉 가지 나물을 먹는 전채식 등, 이 때 먹는 음식에는 곡물이나 채소의 풍작을 기원하는 마음이 담겨 있었다. 곰취잎, 피마자잎, 소루쟁이잎 등 잎 넒은 나물로 쌈을 싸먹는 복쌈도 이름 그대로 풍년과 평안이 깃들기를 바라는 음식이었다. 보자기는 한자로 褓(보)라 표기된다. 보는 곡 복이나 복쌈이며, 복쌈을 먹는 것은 곧 복을 자기 것으로 삼는다는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5.25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12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