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중농주의의 기원과 시대적 배경
Ⅱ.중농주의의 특징
Ⅲ.중농주의의 경제이론
1)농업생산이론
2)부의 개념
Ⅳ.중농주의의 공과
Ⅱ.중농주의의 특징
Ⅲ.중농주의의 경제이론
1)농업생산이론
2)부의 개념
Ⅳ.중농주의의 공과
본문내용
주류경제학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되는 동시에 무조건 옛것을 거부하고 성급하게 새것을 독선적으로 강요하는 혁명을 기대해서도 안 될 것이다.
경제학의 목표는 경제현상에 대한 인식의 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정한 경우에만 해당되는 이론은 당면하게 될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없기 때문에 전체를 유기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일반적 인식의 틀을 추구하여야 한다. 인간은 인식의 틀을 벗어나서는 사고할 수도 없고 행동할 수도 없다. 인간은 인식의 틀이 없다면 인식하지 못하므로 모든 인식에는 이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해 주는 틀이 필요하며 같은 현상이라고 할지라도 인식의 틀에 따라서 전혀 다른 의미를 갖게 된다.
우리는 인식의 틀을 갖지 않으면 생각할 수 없고 따라서 존재할 수도 없으며 중농주의를 높게 평가하는 것은 그들이 경제현상을 설명하는 인식의 틀을 만들었던 최초의 학파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들은 자연주의와 인본주의에 입각한 경제의 순리를 추구한 점에서 선각자적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들에게도 여러 가지 단점이 있었다. 프랑스는 주로 농업에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여기에서 이루어진 중농주의도 자연히 농업 중심적 인식의 틀을 정립함에 따라 정체적이 되어서 산업혁명의 본질인 기계화와 동력화에 의한 생산성의 증대를 설명하는데 미흡하였다. 그 당시의 프랑스의 정치체계가 폐쇄적이었고 반동적이었던 까닭에 중농주의 학자들은 구체제를 부정할 수도 없었으며 그들 나름대로 온건한 개선방안을 추구하였으나, 극단적인 두 이해집단에 의해서 모두 거부되었으므로 설 땅이 없었다. 혁명에 의해서 프랑스의 전통과 제도가 일조에 붕괴되었기 때문에 그들의 사상과 이론의 전통은 프랑스의 내부에서도 단절되어버렸다.
또한 영국이 패전국의 정치경제이론을 좋게 받아들일 이유가 없었으므로 중농주의의 이론은 고전주의에 의해 도용될 수밖에 없었다. 영국은 영국국민의 우월성과 독창성을 내세우기 위해서는 모든 분야에 있어서 다른 나라들의 학자들의 공로를 인정해 주는 것을 싫어했기 때문에 이러한 풍토 속에서 중농주의는 학파로서의 전통을 이어갈 수 없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영국인의 왜곡에도 불구하고 중농주의는 오늘날에도 많은 경제학자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으며 경제학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커다란 힘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1. 「경제학설사」, 서기원,김광수,박광서,오성동,박유영 共著, 문영사
2. 「경제학사」, 주명건 著, 박영사
경제학의 목표는 경제현상에 대한 인식의 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정한 경우에만 해당되는 이론은 당면하게 될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없기 때문에 전체를 유기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일반적 인식의 틀을 추구하여야 한다. 인간은 인식의 틀을 벗어나서는 사고할 수도 없고 행동할 수도 없다. 인간은 인식의 틀이 없다면 인식하지 못하므로 모든 인식에는 이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해 주는 틀이 필요하며 같은 현상이라고 할지라도 인식의 틀에 따라서 전혀 다른 의미를 갖게 된다.
우리는 인식의 틀을 갖지 않으면 생각할 수 없고 따라서 존재할 수도 없으며 중농주의를 높게 평가하는 것은 그들이 경제현상을 설명하는 인식의 틀을 만들었던 최초의 학파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들은 자연주의와 인본주의에 입각한 경제의 순리를 추구한 점에서 선각자적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들에게도 여러 가지 단점이 있었다. 프랑스는 주로 농업에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여기에서 이루어진 중농주의도 자연히 농업 중심적 인식의 틀을 정립함에 따라 정체적이 되어서 산업혁명의 본질인 기계화와 동력화에 의한 생산성의 증대를 설명하는데 미흡하였다. 그 당시의 프랑스의 정치체계가 폐쇄적이었고 반동적이었던 까닭에 중농주의 학자들은 구체제를 부정할 수도 없었으며 그들 나름대로 온건한 개선방안을 추구하였으나, 극단적인 두 이해집단에 의해서 모두 거부되었으므로 설 땅이 없었다. 혁명에 의해서 프랑스의 전통과 제도가 일조에 붕괴되었기 때문에 그들의 사상과 이론의 전통은 프랑스의 내부에서도 단절되어버렸다.
또한 영국이 패전국의 정치경제이론을 좋게 받아들일 이유가 없었으므로 중농주의의 이론은 고전주의에 의해 도용될 수밖에 없었다. 영국은 영국국민의 우월성과 독창성을 내세우기 위해서는 모든 분야에 있어서 다른 나라들의 학자들의 공로를 인정해 주는 것을 싫어했기 때문에 이러한 풍토 속에서 중농주의는 학파로서의 전통을 이어갈 수 없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영국인의 왜곡에도 불구하고 중농주의는 오늘날에도 많은 경제학자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으며 경제학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커다란 힘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1. 「경제학설사」, 서기원,김광수,박광서,오성동,박유영 共著, 문영사
2. 「경제학사」, 주명건 著, 박영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