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마케팅의 등장배경 - 고객, 기업, 기술환경적 측면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터넷 마케팅의 등장배경 - 고객, 기업, 기술환경적 측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절 인터넷 마케팅의 이해

1. 마케팅의 변화

2. 인터넷 마케팅의 등장배경 - 고객, 기업, 기술환경적 측면

3. 인터넷의 마케팅 특징

4. 인터넷 마케팅의 정의

5. 인터넷 마케팅의 유형

본문내용

이 유명하고, 국내 섬유 B2B Hub 사이트를 보면, btextb.com 이나, ifp.co.kr 등이 있다. 그런데, B2B Hub는 기업간 전자상거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인들의 관점에선, b2c가 더 많이 활성화 된 것 같이 보이나, 실제로는 b2b가 그 규모가 훨씬 크고, 앞으로도 훨씬 더 많이 커질 가능성도 있다고 할 것이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업체는 b2b에 속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b2b는 여러 가지 여건 상 b2c 만큼 큰 발전을 보지 못하였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한 두 가지 예를 들면, 막대한 초기 투자비용과, 두 번째는 거래 상대방 업체가 아직 전자상거래에 대한 준비를 하지 않았기 때문인 듯하다. 즉 우리나라 기업만 전자 상거래 기반이 잘 확보가 된들 무역상대국이 이런 기반 시설이 없다면, 어떻게 기업간 전자상거래를 할 수 있겠는가? 다시 말해서, 막대한 비용을 들여 전자상거래를 위해 투자한 업체는 투자대비 수익(ROI)를 빨리 창출하지 못하게 되어서, 결국 이런 요인을 포함한 복합적인 이유로 기업간 전자상거래가 다소 큰 빛을 보지 못 하였던 것 같다. 물론 이것은 개인적 소견이며, 학자에 따라 다른 이견을 낼 수 있음을 미리 말해 둔다.
이런 측면에서, B2B Hub의 성공여부는 기업간 전자상거래의 중요한 발전 포인터가 된다는 점에서 매우 주목을 할 만하다. 다시 말해서, B2B Hub의 성공여부에 따라서 기업간 전자상거래가 더욱 급속히 발전 할 수 있고, 아니면 더 지체될 수 도 있는 것이다. 그럼, B2B Hub의 실체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 보겠다. 점심시간 후 수업이라 다소 학생들의 눈가에 졸음이 맺힌 것 같아(특히 은정, 계인, 보람, 성옥), 이를 위해서 학생들에게 질문을 하였다. 즉 여러분이 유럽에 있는 모 회사로부터 전자칩을 수입하는데 어떤 비용이 소요되는가?
어떤 학생이 대답하였다. “물건값”이라고...
맞는 대답이다. 그런데, 질문의 취지는 물건값 외에 부대비용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알고자 하는 것이었다. 우리는 보통 해외에 있는 업체에게서 물건을 구입할 때 물건값외의 비용에 대해서도 지불을 한다. 이것을 부대비용이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즉 운송비용, 보험료, 이 뿐인가? 그렇지가 않다. 외국에서 수입을 하려면, 은행에서 신용장을 개설하고, 안전한 운송을 위해서 계속적으로 판매업체와 필요한 서신을 주고 받아야 하며, 물건을 찾는 경우 관세사에게 돈을 지불하고, 수입한 물건이 괜찮은 물건인지 별도 국내 연구소에 의뢰하여 테스트를 해야하며, 수입한 물건을 이용하여 다시 수출을 하는 경우 관세 환급을 받아야 한다.
이 모든 것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든다. 즉 우리는 물건을 구입하는데 있어서 소요되는 각종 부대비용에 대해서 쉽게 간과 하기 쉽지만, 업체 소유주 입장에선 상당한 부대비용이 소요됨을 알 수 있다. 더군다나, 기존 거래처가 부도가 나서, 공급망이 끊어진 경우에는, 새로운 공급업자를 물색해야 하는데, 마땅한 거래 상대자를 찾는 비용은 실로 엄청나다. 그래서 거래처가 부도가 나지 않는 이상 왠만하면 업체들이 기존 거래하는 업체와 지속적으로 거래하려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업체 교체에 따른 비용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예를 들면, 새로운 업체가 제공하는 물건으로 제조했는데, 그 것이 불량품이어서 클레임을 받는 경우등)그리하여, B2B Hub가 기업간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특별히 선구적으로 자리를 잡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할 수 없지만, 예를 들어 대표적 B2B Hub 사이트인 freemarkets.com에 회원으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까다로운 조건들이 붙는다. 즉 아무나 회원등록하여 상기 사이트에서 직거래하는 경우, 구매자가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freemarkets.com 은 등록된 회원들에게 각종 판매제품에 대한 스펙(제품 설명서)와 함께, 그 제품이 괜찮은 제품이지를 증명하는 품질 보증서도 함께 제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B2B Hub는 일반 c2c 직거래와 비교하여 그 운영형식이 실제로 매우 까다롭다. 그런데, 이것은 업체 보호를 위한 것이기 때문에, 보통 회원들은 이에 대해서 큰 불만을 표지하지는 않는다.
그럼, 이런 B2B Hub의 value proposition은 무엇일까? 즉 업체들이 B2B Hub에 회원으로 등록하려는 이유가 무엇일까? 라는 질문이다.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거래비용의 절감이라고 할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거래를 위해서는 물건값 외에 많은 부대비용이 소요된다. 이것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 큰 매력이라고 하겠다. 바이어 입장에서는 B2B Hub에서 쉽게 구매자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구매하고자 하는 분야에 대해서도 현재 시장상황 등 현실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보통 하나의 바이어에게 여러 판매자들이 경합을 하기 때문에, 저렴하게 제품을 구매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판매자 입장에서는 새로운 바이어를 찾아 돌아 다닐 필요없이 바로 B2B Hub에서 구매자에게 자신의 제품을 판매 할 수 있다. 더구나 자신의 제품이 품질과 가격 경쟁력이 있다면, 쉽게 판매 할 수 있는 것이다. 과거에는 이것이 어려웠다. 제품품질과 가격이 경쟁력이 있어도, 마케팅이나, 판매망 구축이 안되어서, 어려움을 많이 겪었다. 그런데, B2B Hub에서는 이런 어려운 점이 해결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이런 B2B Hub은 어떻게 수익을 올릴까?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판매자에게 제품 등록비를 받을 수 있고, 구매자에게 회원등록비를 얻을 수 있고, 거래가 이루어지면, 거래량에 비례하여 일정수수료를 부과 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방법을 취할 것인가는 B2B Hub을 운영하는 사업주에게 달려 있다. 그런데, 많은 B2B Hub 선구자들이 수입모델에 대해서 시행착오를 한 것이 있다. 다시 말해서, 적절한 수입모델은 사업의 발전 쪽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는 것이다. 더 쉽게 말해서, 만일 사업주가 단순히 돈을 많이 벌기 위해서 모든 것에 수수료를 부과하면, 자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7.05.30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19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