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장상황 및 분석
2. TU Media PR문제 진단
3. TU Media의 SWOT분석
3. 주요 공중 분석
4. PR 프로그램 분석
5. PR 프로그램의 평가 및 대안
참고자료
2. TU Media PR문제 진단
3. TU Media의 SWOT분석
3. 주요 공중 분석
4. PR 프로그램 분석
5. PR 프로그램의 평가 및 대안
참고자료
본문내용
시장상황 및 분석
올해 5월부터 위성 DMB서비스가 제공되기 시작했다. DMB는 Digital Audio Broadcasting의 약자로 음성?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 고정 또는 휴대용? 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방송서비스이다. DMB에는 지상파 DMB와 위성DMB 두 종류가 있다. TU Media는 위성DMB 서비스 업체로 SK텔레콤를 중심으로, 삼성전자 등 150개 업체가 참여해 설립한 회사로, 위성 DMB 사업권을 획득하고 있는 유일한 회사이다. TU Media는 위성 DMB 시장의 선두 업체로서, 소비자들에게 DMB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넓힘과 동시에 TU Media의 이용으로 전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TU Media PR문제 진단
위성 DMB서비스 사업체인 TU Media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크게 두 가지로 압축한다면 1) 소비자들에게 DMB가 무엇인지를 알리는 것 2) DMB에 대한 인식 상승이 TU Media의 이용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현재 DMB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은 올해 초부터 언론 등 여러 매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노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낮은 상태이다. 온라인 음악사이트 뮤크박스가 지난 1주일 동안 자사 회원 200여명을 대상으로 한 DMB 설문조사 결과에서 살펴보면 전체 80% 이상이 DMB에 대해 알지 못하거나 관심이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온라인 음악사이트를 이용하는 소비자 층이 10대 후반에서 20대 연령대가 많다고 가정 할 때, 새로운 서비스에 민감한 소비자군이라고 볼 수 있는 소비자조차 DMB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낮다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이런 DMB인식의 부족은 DMB단말기에 대한 필요성 부족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휴대폰제조업체인VK가 최근 소비자 480명을 대상으로 DMB 단말기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서 볼 수 있는데, DMB단말기에 대한 인지도를 파악하는 항목에서도 311명(65%)이 '잘 모른다'고 답했으며 약 29%(138명)만이 '조금 알고 있다'라고 답하였다. DMB단말기의 보급 저하는 위성DMB 서비스의 인식 부족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런 단말기 보급의 부족은 결국 위성 DMB 서비스 이용의 저하로 나타날 수 밖에 없다.
올해 5월부터 위성 DMB서비스가 제공되기 시작했다. DMB는 Digital Audio Broadcasting의 약자로 음성?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 고정 또는 휴대용? 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방송서비스이다. DMB에는 지상파 DMB와 위성DMB 두 종류가 있다. TU Media는 위성DMB 서비스 업체로 SK텔레콤를 중심으로, 삼성전자 등 150개 업체가 참여해 설립한 회사로, 위성 DMB 사업권을 획득하고 있는 유일한 회사이다. TU Media는 위성 DMB 시장의 선두 업체로서, 소비자들에게 DMB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넓힘과 동시에 TU Media의 이용으로 전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TU Media PR문제 진단
위성 DMB서비스 사업체인 TU Media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크게 두 가지로 압축한다면 1) 소비자들에게 DMB가 무엇인지를 알리는 것 2) DMB에 대한 인식 상승이 TU Media의 이용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현재 DMB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은 올해 초부터 언론 등 여러 매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노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낮은 상태이다. 온라인 음악사이트 뮤크박스가 지난 1주일 동안 자사 회원 200여명을 대상으로 한 DMB 설문조사 결과에서 살펴보면 전체 80% 이상이 DMB에 대해 알지 못하거나 관심이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온라인 음악사이트를 이용하는 소비자 층이 10대 후반에서 20대 연령대가 많다고 가정 할 때, 새로운 서비스에 민감한 소비자군이라고 볼 수 있는 소비자조차 DMB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낮다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이런 DMB인식의 부족은 DMB단말기에 대한 필요성 부족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휴대폰제조업체인VK가 최근 소비자 480명을 대상으로 DMB 단말기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서 볼 수 있는데, DMB단말기에 대한 인지도를 파악하는 항목에서도 311명(65%)이 '잘 모른다'고 답했으며 약 29%(138명)만이 '조금 알고 있다'라고 답하였다. DMB단말기의 보급 저하는 위성DMB 서비스의 인식 부족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런 단말기 보급의 부족은 결국 위성 DMB 서비스 이용의 저하로 나타날 수 밖에 없다.
추천자료
[영상산업] 디지털 영상산업과 방송콘텐츠
[컨텐츠산업]디지털컨텐츠(콘텐츠)의 개념, 인터넷컨텐츠(콘텐츠)사업 영역, 디지털컨텐츠(콘...
디지털컨텐츠의 개념, 디지털컨텐츠의 특성, 디지털컨텐츠의 분류, 컨텐츠산업의 시장규모, ...
디지털컨텐츠(디지털콘텐츠) 정의, 디지털컨텐츠산업(디지털콘텐츠산업) 특징, 컨텐츠(콘텐츠...
[컨텐츠산업]컨텐츠(콘텐츠)란, 컨텐츠(콘텐츠) 비즈니스의 문제점, 각 국의 디지털 컨텐츠(...
문화산업의 특성과 역할, 문화 패러다임의 변화, 문화컨텐츠기획의 방법 및 접근틀, 디지털화...
디지털 컨텐츠(콘텐츠) 개념, 컨텐츠산업(콘텐츠산업) 정의, 디지털 컨텐츠(콘텐츠) 분류, 세...
방송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방송법 개정의 방향
[미디어법]미디어법 개정 논란에 대한 찬반양론 분석, 미디어산업 관련법(신문법, 방송법 중...
2018년 1학기 디지털논리회로 기말시험 핵심체크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교육에서 디지털 시민의실을 높이기 위한 미디어 활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