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말
2. 환경호르몬의 정의와 종류
3. 환경호르몬의 성질 및 작용기전
4. 환경호르몬에 의한 피해 및 문제점
5. 환경호르몬에 대한 대처방안
6. 나오는말
2. 환경호르몬의 정의와 종류
3. 환경호르몬의 성질 및 작용기전
4. 환경호르몬에 의한 피해 및 문제점
5. 환경호르몬에 대한 대처방안
6. 나오는말
본문내용
물질이 물고기, 축산물 등 생물체에 축적된 다음 최종적으로 사람이 소비하는 음식물을 통하여 인체 내로 들어오는 것이다. 폐기물 소각장과 여타 연소 과정의 대기 배출물은 다이옥신과 PCB의 주요 원천이다. 농작물과 축산동물을 기를 때 사용된 농약은 환경과 음식물에 잔류할 수 있다. 또한 오염된 식수로부터 혹은 음식을 포장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플라스틱으로부터 내분비 교란물질에 노출되기도 한다.
우리 나라 환경부는 1998년 사회적 논란이 되고 있는 환경호르몬에 대하여 대책 협의회를 개최하여 실태조사와 정부대책을 마련한 결과, 내분비계 교란물질로 분류된 67종 가운데 우리 나라에서 제조, 수입사례가 없는 물질 16종을 제외한 51종 중 42종은 이미 관련법에 의해 사용이 금지되거나 취급제한을 받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까지 내분비계 장애와 관련된 연구결과 및 사례가 보고된 대표적인 물질로는 식품이나 음료수 캔의 코팅물질로 사용되는 비스페놀 A와 과거 농약으로 사용되었던 DDT, 변압기 절연유로 사용되고 있는 PCB, 소각장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는 다이옥신류, 합성세제 원료인 알킬페놀, 플라스틱 가소제로 이용되고 있는 프탈레이트류, 스티로폼의 성분인 스티렌 다량체 및 어망이나 어선의 방오제로 사용되는 유기주석 등이 있다.
3. 환경호르몬의 성질 및 작용기전
1) 성질 (환경위해성연구과 편집 /1998/ 내분비계 장애물질이란? (일면 환경호르몬)
생체내에 합성되는 호르몬과 비교하여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생체호르몬과는 달리 쉽게 분해되지 않고 안정하다.
. 환경 및 생체 내에 잔존하며 심지어 수년간 지속되기도 한다.
. 인체 등 생물체의 지방 및 조직에 농축되는 성질이 있다.
2) 작용기전
- 모방작용
자연 호르몬을 흉내내어 자연 호르몬과 같은 세포반응을 유발한다. 세포반응의 강도는 자연 호르몬의 그것보다 훨씬 약한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오히려 더 강할 수도 있다. 내분비 교란물질성 호르몬의 기전은 열쇠와 자물쇠의 상호관계로 설명되는데, 이 모방가설에서는 원래 주인이 가진 열쇠(자연 호르몬)가 아닌 가짜 열쇠(내분비 교란물질)를 열쇠구명(수용체)에 꽂아서 자물쇠가 열릴 수 있는데(세포반응), 보통 진짜 열쇠보다 더 더디게 열리지만 때로는 더 잘 열리는 경우도 있는 것과 같다. 대부분의 식물에스트로젠과 환경 내부비 교란물질은 에스트로젠 호르몬보다 훨씬 약한 세포반응을 유발하지만 약용 합성물질인 DES는 자연 에스트로젠보다 그 강도가 훨씬 약한 세포반응을 유발한다. 즉 임신 초기에 DES를 복용한 산모에게서 태아난 여아가 사춘기 나이가 되면 매우 희귀한 질암이 다수 발생하고 남아에게서도 성기 기형이 다수 발생한다.
- 봉쇄
내분비 교란물질 자체로는 세포반응을 유발하지 않지만, 자연 호르몬과 결합할 수용체를 막아버림으로써 자연 호르몬의 기능을 마비시켜 자연 호르몬의 작용이 감소되어 내분비계 활동성을 줄이는 셈이 된다. 비유하자면 원래 주인이 가진 열쇠(자연 호르몬)가 아닌 가짜 열쇠(내분비 교란물질)가 열쇠구명(수용체)에
우리 나라 환경부는 1998년 사회적 논란이 되고 있는 환경호르몬에 대하여 대책 협의회를 개최하여 실태조사와 정부대책을 마련한 결과, 내분비계 교란물질로 분류된 67종 가운데 우리 나라에서 제조, 수입사례가 없는 물질 16종을 제외한 51종 중 42종은 이미 관련법에 의해 사용이 금지되거나 취급제한을 받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까지 내분비계 장애와 관련된 연구결과 및 사례가 보고된 대표적인 물질로는 식품이나 음료수 캔의 코팅물질로 사용되는 비스페놀 A와 과거 농약으로 사용되었던 DDT, 변압기 절연유로 사용되고 있는 PCB, 소각장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는 다이옥신류, 합성세제 원료인 알킬페놀, 플라스틱 가소제로 이용되고 있는 프탈레이트류, 스티로폼의 성분인 스티렌 다량체 및 어망이나 어선의 방오제로 사용되는 유기주석 등이 있다.
3. 환경호르몬의 성질 및 작용기전
1) 성질 (환경위해성연구과 편집 /1998/ 내분비계 장애물질이란? (일면 환경호르몬)
생체내에 합성되는 호르몬과 비교하여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생체호르몬과는 달리 쉽게 분해되지 않고 안정하다.
. 환경 및 생체 내에 잔존하며 심지어 수년간 지속되기도 한다.
. 인체 등 생물체의 지방 및 조직에 농축되는 성질이 있다.
2) 작용기전
- 모방작용
자연 호르몬을 흉내내어 자연 호르몬과 같은 세포반응을 유발한다. 세포반응의 강도는 자연 호르몬의 그것보다 훨씬 약한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오히려 더 강할 수도 있다. 내분비 교란물질성 호르몬의 기전은 열쇠와 자물쇠의 상호관계로 설명되는데, 이 모방가설에서는 원래 주인이 가진 열쇠(자연 호르몬)가 아닌 가짜 열쇠(내분비 교란물질)를 열쇠구명(수용체)에 꽂아서 자물쇠가 열릴 수 있는데(세포반응), 보통 진짜 열쇠보다 더 더디게 열리지만 때로는 더 잘 열리는 경우도 있는 것과 같다. 대부분의 식물에스트로젠과 환경 내부비 교란물질은 에스트로젠 호르몬보다 훨씬 약한 세포반응을 유발하지만 약용 합성물질인 DES는 자연 에스트로젠보다 그 강도가 훨씬 약한 세포반응을 유발한다. 즉 임신 초기에 DES를 복용한 산모에게서 태아난 여아가 사춘기 나이가 되면 매우 희귀한 질암이 다수 발생하고 남아에게서도 성기 기형이 다수 발생한다.
- 봉쇄
내분비 교란물질 자체로는 세포반응을 유발하지 않지만, 자연 호르몬과 결합할 수용체를 막아버림으로써 자연 호르몬의 기능을 마비시켜 자연 호르몬의 작용이 감소되어 내분비계 활동성을 줄이는 셈이 된다. 비유하자면 원래 주인이 가진 열쇠(자연 호르몬)가 아닌 가짜 열쇠(내분비 교란물질)가 열쇠구명(수용체)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