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중국시장 분석
2. 중국진출 성공사례 - 신라면
2-1. 기업소개
2-2. 신라면의 중국진출
2-2-1. 중국시장 진출배경
2-2-2. 중국진출 성공요인(4P분석
2-2-3. SWOT분석
2-3. 신라면의 향후전략
3. 중국진출 성공사례 - BBQ
3-1. 기업소개
3-2. BBQ의 중국진출
3-2-1. 중국시장 진출배경
3-2-2. 중국지출 성공요인(4P분석
3-2-3. SWOT분석
3-3. BBQ의 향후전략
4. 중국진출 성공사례 - 맥도날드
4-1. 기업소개
4-2. 맥도날드의 중국진출
4-2-1. 중국시장 진출전략
4-2-2. 맥도날드 4P분석
4-2-3. 중국진출 성공요인
4-3. SWOT분석을 통한 향후전략
5. 성공사례를 통해 본 중국진출 전략분석
6. 중국진출 실패사례 - 롯데리아
6-1. 기업소개
6-2. 롯데리아의 중국진출 전략
6-2-1. SWOT분석
6-2-2. STP분석
6-2-3. 4P분석
6-2-4. 진입방식
6-3. 롯데리아 중국진출의 실패요인
6-4. 롯데리아와 맥도날드 비교
6-5. 새로운 마케팅 전략
Ⅲ. 결론
Ⅰ. 서론
Ⅱ. 본론
1. 중국시장 분석
2. 중국진출 성공사례 - 신라면
2-1. 기업소개
2-2. 신라면의 중국진출
2-2-1. 중국시장 진출배경
2-2-2. 중국진출 성공요인(4P분석
2-2-3. SWOT분석
2-3. 신라면의 향후전략
3. 중국진출 성공사례 - BBQ
3-1. 기업소개
3-2. BBQ의 중국진출
3-2-1. 중국시장 진출배경
3-2-2. 중국지출 성공요인(4P분석
3-2-3. SWOT분석
3-3. BBQ의 향후전략
4. 중국진출 성공사례 - 맥도날드
4-1. 기업소개
4-2. 맥도날드의 중국진출
4-2-1. 중국시장 진출전략
4-2-2. 맥도날드 4P분석
4-2-3. 중국진출 성공요인
4-3. SWOT분석을 통한 향후전략
5. 성공사례를 통해 본 중국진출 전략분석
6. 중국진출 실패사례 - 롯데리아
6-1. 기업소개
6-2. 롯데리아의 중국진출 전략
6-2-1. SWOT분석
6-2-2. STP분석
6-2-3. 4P분석
6-2-4. 진입방식
6-3. 롯데리아 중국진출의 실패요인
6-4. 롯데리아와 맥도날드 비교
6-5. 새로운 마케팅 전략
Ⅲ. 결론
본문내용
국 투자 기업과의 경쟁이 치열해졌으며, 농심은 진출 후 성공을 위한 차별화된 경쟁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림1> 농심의 세계화
<농심 홈페이지 http://www.nongshim.com/non/com/nong_visn_idx.jsp>
13억의 인구가 넘는 중국은 특히 면류를 선호하는 음식문화를 가진 국가로, 1990년부터 본격적의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최근 중국은 연간 라면 소비가 190억 개에 달해 세계 라면시장의 42%를 차지하는 최대의 라면소비 국가이다. 하지만 인구 1인당 라면 소비는 연간 불과 21개(한국은 80개)로 그 성장 가능성이 큰 소비 시장이라 할 수 있다.
2-2-2. 중국진출 성공요인(4P 분석)
▷Product
WTO 가입 이후 전체 국민 소득이 증가하면서 국민 전체의 구매력을 상승시켰다. 소득의 증가로 중산층이 많이 늘어났고 그들은 소비문화를 주도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런 중산층은 과거와는 다른 삶의 질과 더 나아가서는 즐거움을 추구하는 소비문화를 추구하는 소비의 고급화 현상으로 이어졌다. 또한 소득의 증가는 고품질 그리고 고가격 상품의 수요를 증가시켰다.
<그림2> 세계 라면시장
에서 재정리
辛라면 제품 개발에서의 첫 번째 열쇠는 바로 고품질 즉, 품질의 차별화였다. 농심이 1997년 辛라면을 공식적으로 출시하여 중국 라면 시장에 진입할 당시, 중국인들에게 라면이라는 제품의 인식은 물을 부어 간단히 먹는 인스턴트 음식 정도였으며, 품질 또한 형편없었다. 그래서 컵라면에 익숙한 중국인들에게 \"라면은 끓여야 맛있다\"라는 정보를 홍보하며 끓이는 면임을 포장지에 명시하고 제품, 품질의 고급화를 추구함으로써 중상류층의 소비를 유도하였다.
제품 개발에서의 두 번째 열쇠는 차별화된 컨셉의 창출이었다. 당시의 라면은 대부분 순한 맛 위주였는데, 농심은 한국인이 가장 보편적으로 즐기는 맛이 매운맛이라는 것을 놓치지 않고 그것을 내세워 辛라면을 탄생시켰다. 그리고 농심은 이 제품을 수출할 때 표준화로 할 것인지, 현지 상황에 맞게 변형을 시킬 것인지의 갈림길에서 표준화를 선택하였다. 이 전략이 성공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인정하는 사실이다. 매운맛이 가장 큰 경쟁력인 辛라면이 그 매운맛을 바꿨다면 辛라면이 아니라 단순한 新라면이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辛라면은 한국에서 사용한 한문이름을 중국으로 진출하면서 재작명의 번거로움을 덜 수 있었다. 중국인들은 상호명이나 브랜드명을 보고 사업 운세를 판단하거나 길흉까지 점치는 문화가 있어, 듣기 좋고 뜻도 좋은 이름을 지어야 한다. 기업의 핵심 기술이나 내재가치가 아무리 좋다 할지라도 상호명이나 브랜드명이 잘못될 경우 브랜드 가치를 중국에서 제대로 인정받기가 어렵고 최악에는 사업이 실패할 수도 있다. 그 만큼 브랜드의 작명이 기업이나 상품의 내재가치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뜻이다. 유명한 사례를 들어보면, 현재 코카콜라(可口可樂)의 중국어 브랜드명의 뜻은 ‘입맛에 맞고 마실수록 즐겁다’는 뜻이다. 하지만 음에만 주의를 기울이다보니 처음에는 \'입에 가득 찬 올챙이들과 밀랍\', 두 번째는 \'목마른 입안에 가득 찬 밀랍\', 세 번째는 \'목이 말라 마시면 더 맵다\' 등의 뜻을 가지게 되었고 판매실적은 부진을 면치 못했다. 그래서 새 브랜드명을 공모하여 현재의 이름이 당선되었는데 이렇게 좋은 작명이 있을 수 있었던 것은 작명인이 중국인 언어학자였기 때문이었고 그 당선금은 미화로 불과 30불이었다. 참고로 이마트(易買得)는 \'쉽게 사서 득을 얻는다\', KFC(肯德基)는 \'덕을 기본으로 한다\'는 뜻이다. <중국 시장 마케팅 2005 p483에서 재정리>
▷Price
가격을 설정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으로는 브랜드 출시에 대한 마케팅 목표와, 브랜드를 출시하게 된 배경 및 목적에 따라 가격 전략을 결정하는 것이다.
辛라면은 고급 라면이라는 컨셉으로 선을 보이면서 1986년 출시당시 고가전략을 사용했다. 브랜드 이미지는 매출과 직결되는 아주 중요한 것이며, 이것은 한번 굳어지면 쉽게 바뀌지 않기 때문에 처음부터 저가전략을 내세우면 그 브랜드의 이미지는 그대로 ‘싼’ 제품 이라는 이미지를 벗지 못하게 된다.
농심은 제품의 품질과 차별성에 대해 자신감이 있는데다 브랜드 이미지 구축과 이익률 보장 등을 위하여 진출 초기에 시장진입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저가 전략을 쓰지 않았다. 중국에서 제일 유명한 라면시장 브랜드인 統一面(통일면)과 康師傅(강사부)의 라면제품 대부분 역시 중국 원화 1~2元정도의 가격인 반면 辛라면은 2.8元 정도에 팔리고 있다.
<표2>신라면과 타제품의 가격비교(봉지면) <표3> 신라면과 타제품의 가격비교(용기면)
辛拉面
2.8元
統一面
1.6元
康師傅
1.6元
出前一丁
1.7元
辛拉面
3.6元
統一面
2.8元
康師傅
2.8元
出前一丁
2.7元
▷ Place
산업화 초기의 유통의 개념이 수요와 공급의 원리로 인한 공급자 중심의 부족한 상품 조달 이 목적이었다면, 현대의 유통은 소비자의 수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고 그들로 하여금 재 구 매를 이끌어내는 고객 만족 마케팅 개념이 지배적이다.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던 예전과는 달리 다양한 상품과 유통업체들의 등장으로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유통업에도 마케 팅 개념이 강화되어야 한다. 월마트와 까르푸 이마트와 같은 커다란 할인매장에서부터 작 은 슈퍼까지도 제품을 접할 수 있다면 일단 기회는 잡아둔 셈이다. 농심의 辛라면이 바로 중국의 곳곳에 위치해 있으며, 판매 대상이고 판매실적 면으로도 우수하다.
대부분의 외국 기업이 중국 내수유통시장에 진출할 때 각별히 주의하는 것은 유통경로인데 아직 체제 전환의 시기라 유통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이다. 계획 경제체제가 아직도 존재하는 만큼 경제부문에서 정부의 영향력이 크므로 정부를 통하는 유통경로의 활용 가치가 크다. 또는 통상 국유 유통업체의 지역 내 영향력도 크기 때문에 이들을 지역 대리점으로 많이 활용하면 좋다. 즉, 유통 시 서로간의 신뢰문제라는 것이다. 중국에서
<그림1> 농심의 세계화
<농심 홈페이지 http://www.nongshim.com/non/com/nong_visn_idx.jsp>
13억의 인구가 넘는 중국은 특히 면류를 선호하는 음식문화를 가진 국가로, 1990년부터 본격적의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최근 중국은 연간 라면 소비가 190억 개에 달해 세계 라면시장의 42%를 차지하는 최대의 라면소비 국가이다. 하지만 인구 1인당 라면 소비는 연간 불과 21개(한국은 80개)로 그 성장 가능성이 큰 소비 시장이라 할 수 있다.
2-2-2. 중국진출 성공요인(4P 분석)
▷Product
WTO 가입 이후 전체 국민 소득이 증가하면서 국민 전체의 구매력을 상승시켰다. 소득의 증가로 중산층이 많이 늘어났고 그들은 소비문화를 주도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런 중산층은 과거와는 다른 삶의 질과 더 나아가서는 즐거움을 추구하는 소비문화를 추구하는 소비의 고급화 현상으로 이어졌다. 또한 소득의 증가는 고품질 그리고 고가격 상품의 수요를 증가시켰다.
<그림2> 세계 라면시장
辛라면 제품 개발에서의 첫 번째 열쇠는 바로 고품질 즉, 품질의 차별화였다. 농심이 1997년 辛라면을 공식적으로 출시하여 중국 라면 시장에 진입할 당시, 중국인들에게 라면이라는 제품의 인식은 물을 부어 간단히 먹는 인스턴트 음식 정도였으며, 품질 또한 형편없었다. 그래서 컵라면에 익숙한 중국인들에게 \"라면은 끓여야 맛있다\"라는 정보를 홍보하며 끓이는 면임을 포장지에 명시하고 제품, 품질의 고급화를 추구함으로써 중상류층의 소비를 유도하였다.
제품 개발에서의 두 번째 열쇠는 차별화된 컨셉의 창출이었다. 당시의 라면은 대부분 순한 맛 위주였는데, 농심은 한국인이 가장 보편적으로 즐기는 맛이 매운맛이라는 것을 놓치지 않고 그것을 내세워 辛라면을 탄생시켰다. 그리고 농심은 이 제품을 수출할 때 표준화로 할 것인지, 현지 상황에 맞게 변형을 시킬 것인지의 갈림길에서 표준화를 선택하였다. 이 전략이 성공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인정하는 사실이다. 매운맛이 가장 큰 경쟁력인 辛라면이 그 매운맛을 바꿨다면 辛라면이 아니라 단순한 新라면이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辛라면은 한국에서 사용한 한문이름을 중국으로 진출하면서 재작명의 번거로움을 덜 수 있었다. 중국인들은 상호명이나 브랜드명을 보고 사업 운세를 판단하거나 길흉까지 점치는 문화가 있어, 듣기 좋고 뜻도 좋은 이름을 지어야 한다. 기업의 핵심 기술이나 내재가치가 아무리 좋다 할지라도 상호명이나 브랜드명이 잘못될 경우 브랜드 가치를 중국에서 제대로 인정받기가 어렵고 최악에는 사업이 실패할 수도 있다. 그 만큼 브랜드의 작명이 기업이나 상품의 내재가치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뜻이다. 유명한 사례를 들어보면, 현재 코카콜라(可口可樂)의 중국어 브랜드명의 뜻은 ‘입맛에 맞고 마실수록 즐겁다’는 뜻이다. 하지만 음에만 주의를 기울이다보니 처음에는 \'입에 가득 찬 올챙이들과 밀랍\', 두 번째는 \'목마른 입안에 가득 찬 밀랍\', 세 번째는 \'목이 말라 마시면 더 맵다\' 등의 뜻을 가지게 되었고 판매실적은 부진을 면치 못했다. 그래서 새 브랜드명을 공모하여 현재의 이름이 당선되었는데 이렇게 좋은 작명이 있을 수 있었던 것은 작명인이 중국인 언어학자였기 때문이었고 그 당선금은 미화로 불과 30불이었다. 참고로 이마트(易買得)는 \'쉽게 사서 득을 얻는다\', KFC(肯德基)는 \'덕을 기본으로 한다\'는 뜻이다. <중국 시장 마케팅 2005 p483에서 재정리>
▷Price
가격을 설정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으로는 브랜드 출시에 대한 마케팅 목표와, 브랜드를 출시하게 된 배경 및 목적에 따라 가격 전략을 결정하는 것이다.
辛라면은 고급 라면이라는 컨셉으로 선을 보이면서 1986년 출시당시 고가전략을 사용했다. 브랜드 이미지는 매출과 직결되는 아주 중요한 것이며, 이것은 한번 굳어지면 쉽게 바뀌지 않기 때문에 처음부터 저가전략을 내세우면 그 브랜드의 이미지는 그대로 ‘싼’ 제품 이라는 이미지를 벗지 못하게 된다.
농심은 제품의 품질과 차별성에 대해 자신감이 있는데다 브랜드 이미지 구축과 이익률 보장 등을 위하여 진출 초기에 시장진입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저가 전략을 쓰지 않았다. 중국에서 제일 유명한 라면시장 브랜드인 統一面(통일면)과 康師傅(강사부)의 라면제품 대부분 역시 중국 원화 1~2元정도의 가격인 반면 辛라면은 2.8元 정도에 팔리고 있다.
<표2>신라면과 타제품의 가격비교(봉지면) <표3> 신라면과 타제품의 가격비교(용기면)
辛拉面
2.8元
統一面
1.6元
康師傅
1.6元
出前一丁
1.7元
辛拉面
3.6元
統一面
2.8元
康師傅
2.8元
出前一丁
2.7元
▷ Place
산업화 초기의 유통의 개념이 수요와 공급의 원리로 인한 공급자 중심의 부족한 상품 조달 이 목적이었다면, 현대의 유통은 소비자의 수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고 그들로 하여금 재 구 매를 이끌어내는 고객 만족 마케팅 개념이 지배적이다.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던 예전과는 달리 다양한 상품과 유통업체들의 등장으로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유통업에도 마케 팅 개념이 강화되어야 한다. 월마트와 까르푸 이마트와 같은 커다란 할인매장에서부터 작 은 슈퍼까지도 제품을 접할 수 있다면 일단 기회는 잡아둔 셈이다. 농심의 辛라면이 바로 중국의 곳곳에 위치해 있으며, 판매 대상이고 판매실적 면으로도 우수하다.
대부분의 외국 기업이 중국 내수유통시장에 진출할 때 각별히 주의하는 것은 유통경로인데 아직 체제 전환의 시기라 유통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이다. 계획 경제체제가 아직도 존재하는 만큼 경제부문에서 정부의 영향력이 크므로 정부를 통하는 유통경로의 활용 가치가 크다. 또는 통상 국유 유통업체의 지역 내 영향력도 크기 때문에 이들을 지역 대리점으로 많이 활용하면 좋다. 즉, 유통 시 서로간의 신뢰문제라는 것이다. 중국에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