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형식체계와 창조성의 문제
2. 자연언어와 의미론의 문제
3. 자기의식과 인식론의 문제
결론
본론
1. 형식체계와 창조성의 문제
2. 자연언어와 의미론의 문제
3. 자기의식과 인식론의 문제
결론
본문내용
하다는 것이다.
이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소 다른 연결주의 관점이긴 하지만 Edward Lee Thorndike의 주장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그는 고양이가 puzzle box에서 어떻게 탈출하는지에 연구하였는데 그는 고양이가 상자에서 어떻게 빠져나오는지에 대한 것은 통찰로 설명할 것이 아니라 수많은 시행착오를 통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물론 그의 자극과 반응간의 연관만을 강조하는 해석은 현재 행동주의자들과 연결주의자를 포함한 인지심리학자 모두가 포기한 이론이지만 쉽게 연결주의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라고 생각된다.
연결주의적 입장과 더불어 현재 인간과 같은 추론 체계를 지니기 위해서는 진화와 학습 능력을 갖춘 인공 지능을 실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이에 대해 우수한 특성을 지닌 생물체 시스템의 정보 처리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입장도 대두하고 있다.
2. 자연 언어와 의미론의 문제
컴퓨터에 의한 자연 언어 처리는 컴퓨터 성능이 향상되고 현실적 요구가 가중되면서 인공지능 영역의 핵심적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컴퓨터에 의한 `문자 인식\', `음성 식별\',` 기계 번역\' 등 세부 영역에서의 괄목할 만한 성공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는 컴퓨터에 의한 자연 언어 처리가 원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견해가 줄기차게 제기되어 왔다. 드레퓌스(Dreyfus)와 썰(Searle)로 대표되는 이 진영에서는 현행의 컴퓨터 이론 혹은 모델이 인간의 고유한 언어 현상을 설명하기에 적합한 모델이 아니라 주장한다.
썰에 의하면, 인공지능을 지배해 온 사상을, ‘강한 AI\' 의 기본사상, 즉 \'인간의 마음과 두뇌와의 관계가 컴퓨터의 프로그램과 하드웨어와의 관계와 같다\' 는 생각은 근본적으로 잘못되었다는 것이다. 중국어 방 논변은 바로 그 주장이 거짓임을 논박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며, 1980년대 이후로 인공지능의 본성과 그 범위나 한계의 문제를 논의할 때마다 이 논변은 자주 언급되었는데 그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어느 컴퓨터 프로그래머가 중국어의 이해를 모방 (simulation)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작성한다고 상상하자. 가령, 컴퓨터에게 중국어로 된 질문이 주어지면, 컴퓨터는 그 질문된 바를 그 기억이나 데이터베이스에 대조해 보고 그에 적절한 해답을 중국어로 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컴퓨터의 답변이 중국 본토인의 답변만큼 훌륭하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이런 사실을 기반으로 하건대, 그 컴퓨터는, 중국 사람들이 중국어를 이해하는 것처럼, 글자 그대로 중국어를 이해한다고 할 것인가?
자, 그럼 당신이 어느 방 안에 갇혀 있고 그 방에는 중국어의 기호들을 가득 담은 바구니들이 몇 개 있다고 하자. 당신이 나처럼 중국어의 단어 하나도 이해하지 못하지만, 중국어 기호들을 다루기 위한 영어로 된 규정집이 당신에게 주어졌다고 가정하자. 그 규정집의 규칙들은 기호들을 세분화해 다루도록 되어 있는데 그것은 의미론 (semantics) 에 의한 것이 아니라 구문론 (syntax) 에 의해 순수형식적으로 다루도록 된 것이다. 말하자면 그것은 \'1번 바구니의
이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소 다른 연결주의 관점이긴 하지만 Edward Lee Thorndike의 주장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그는 고양이가 puzzle box에서 어떻게 탈출하는지에 연구하였는데 그는 고양이가 상자에서 어떻게 빠져나오는지에 대한 것은 통찰로 설명할 것이 아니라 수많은 시행착오를 통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물론 그의 자극과 반응간의 연관만을 강조하는 해석은 현재 행동주의자들과 연결주의자를 포함한 인지심리학자 모두가 포기한 이론이지만 쉽게 연결주의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라고 생각된다.
연결주의적 입장과 더불어 현재 인간과 같은 추론 체계를 지니기 위해서는 진화와 학습 능력을 갖춘 인공 지능을 실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이에 대해 우수한 특성을 지닌 생물체 시스템의 정보 처리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입장도 대두하고 있다.
2. 자연 언어와 의미론의 문제
컴퓨터에 의한 자연 언어 처리는 컴퓨터 성능이 향상되고 현실적 요구가 가중되면서 인공지능 영역의 핵심적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컴퓨터에 의한 `문자 인식\', `음성 식별\',` 기계 번역\' 등 세부 영역에서의 괄목할 만한 성공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는 컴퓨터에 의한 자연 언어 처리가 원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견해가 줄기차게 제기되어 왔다. 드레퓌스(Dreyfus)와 썰(Searle)로 대표되는 이 진영에서는 현행의 컴퓨터 이론 혹은 모델이 인간의 고유한 언어 현상을 설명하기에 적합한 모델이 아니라 주장한다.
썰에 의하면, 인공지능을 지배해 온 사상을, ‘강한 AI\' 의 기본사상, 즉 \'인간의 마음과 두뇌와의 관계가 컴퓨터의 프로그램과 하드웨어와의 관계와 같다\' 는 생각은 근본적으로 잘못되었다는 것이다. 중국어 방 논변은 바로 그 주장이 거짓임을 논박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며, 1980년대 이후로 인공지능의 본성과 그 범위나 한계의 문제를 논의할 때마다 이 논변은 자주 언급되었는데 그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어느 컴퓨터 프로그래머가 중국어의 이해를 모방 (simulation)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작성한다고 상상하자. 가령, 컴퓨터에게 중국어로 된 질문이 주어지면, 컴퓨터는 그 질문된 바를 그 기억이나 데이터베이스에 대조해 보고 그에 적절한 해답을 중국어로 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컴퓨터의 답변이 중국 본토인의 답변만큼 훌륭하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이런 사실을 기반으로 하건대, 그 컴퓨터는, 중국 사람들이 중국어를 이해하는 것처럼, 글자 그대로 중국어를 이해한다고 할 것인가?
자, 그럼 당신이 어느 방 안에 갇혀 있고 그 방에는 중국어의 기호들을 가득 담은 바구니들이 몇 개 있다고 하자. 당신이 나처럼 중국어의 단어 하나도 이해하지 못하지만, 중국어 기호들을 다루기 위한 영어로 된 규정집이 당신에게 주어졌다고 가정하자. 그 규정집의 규칙들은 기호들을 세분화해 다루도록 되어 있는데 그것은 의미론 (semantics) 에 의한 것이 아니라 구문론 (syntax) 에 의해 순수형식적으로 다루도록 된 것이다. 말하자면 그것은 \'1번 바구니의
추천자료
[C][콘솔] 세균전-인공지능 & TCP/IP 소스
2012년 2학기 인공지능 기말시험 핵심체크
[인공지능] 제스처인식(알파벳인식)알고리즘
[고급인공지능 HW1 -- 데이터 생성과 확률밀도함수 추정 및 베이즈 분류]
[고급인공지능 HW2 K-NN 분류기와 퍼셉트론 분류기]
2014 인공지능 보충과제,적용시스템 추천이유 및 적용기술과 적용방법 소개
구글 딥마인드 인공지능 알파고와 바둑기사 이세돌 9단과의 대국을 보고
사회복지현장 휴먼서비스영역에 인공지능 로봇(알파고와 같은)의 도입이 필요한지, 인간고유...
[독후감] 4차 산업혁명 시대, 전문직의 미래 :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술혁신이 가져올 새로...
[독후감] 블록체인 혁명 :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인공지능을 뛰어넘는 거대한 기술 (서평, 독...
★ 4차 산업혁명과 금융산업 - 핀테크, 정의, 분류,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 빅데이터, 인공...
[영어에세이,영어작문] 인공지능(AI)에 대한 의견
[영어/영어작문/영어에세이] 인공지능(AI) 발전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
[영어/영어작문/영어에세이] 인공지능(AI)의 발전은 사람들을 이롭게 만드는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