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온 초코파이 마케팅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오리온 초코파이 마케팅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실천함으로써 질적인 상승효과를 도모하는 것이다.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췄다고 자타가 공인하는 기업들도 오래 전부터 자신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부분, 즉 핵심역량에 집중해 왔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델, 소니, 마이크로소프트 등 IT기업들은 제품 생산을 아웃소싱 하는 대신, 연구개발과 마케팅에만 집중해 왔다. 코카콜라는 음료 제품 라인을 확장했다가 경쟁력이 떨어지자 다시 전통제품인 코카콜라에만 집중하기로 했다.
오리온은 이미 오래 전부터 스마트 경영을 실천해 왔다. 1980년대 말부터 진행해온 오리온 판매촉진 전략 OMP(Orion Merchandising Program)는 소비자가 원하는 시간과 공간에 원하는 제품을 만날 수 있도록 해준 스마트한 판매전략이었다. 1990년대 초에 전사적으로 도입한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은 생산에서부터 판매까지 \'꼭 필요한 일만 하는\' 업무 문화를 정립시켰다. 또 ABC(Activity Based Costing)시스템을 개발, 제품의 손익구조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했고, 이를 바탕으로 이익이 나지 않는 제품을 과감히 퇴출시키고 제품의 원가구조를 합리화시켰다. 주력제품에 핵심역량을 집중시킨 \'코어브랜드 전략\' 또한 스마트 경영의 전형이었음은 두말 할 나위 없다.
Smart란?
해야할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을 잘 판단해서 꼭 해야 할 일만 하는것.
핵심역량의 20%를 찾아가는 것.
단순한 Never give up이 아니라 ‘Give up then & Never give up\' 하는 것.
Strong
‘스트롱(Strong)’은 말 그대로 튼튼하고 건강하다는 뜻이다. 오리온이 추구하는 스트롱 경영은 즐겁게(Fun) 일하고, 어떤 어려움에도 굴복하지 않고 끊임없이 도전하며, 이를 통해 남보다 한발 앞선 성과를 이룩할 수 있는 건강한 조직을 지향하는 것이다. 스마트(Smart)가 ‘머리’ 혹은 ‘전략’의 상향평준화를 의미한다고 볼 때, 스트롱은 이를 받쳐주는 마음이며 행동으로 옮겨 실천할 수 있는 건강한 기초체력, 즉 기업문화의 상향평준화라고 볼 수 있다.
Strong란?
Want to do의 마음으로 즐겁게 일하는 것.
성과중심의 상향평준화 된 조직을 만드는 것.
서로를 신뢰하고 존경하는 것.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영원히 만족하지 않는 것.
오리온 CI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일곱 개의 점점커지는 별.
글로벌그룹 오리온의 세계로 뻗어가는 미래의지의 상징입니다.
심볼
심볼은 오리온의 전체 이미지를 포괄적으로 상징하는 시각물로서 C.I(Corporate Identity) 시스템의 핵심이 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상의 도구로서 모든 기회에 언어나 태도로서 설명을 다할 수 없는 컨셉트를 언제 어디서나 전달 가능하게 한다. 오리온 심볼의 전체 형상은 지구와 별을 상징하고 지구의 형태는 국제성을 의미하여 점점 크게 움직이는 별은 세계로 향한 기업의 미래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CI: 기업 아이덴티티 란?
IMF 경제난을 겪은 많은 한국 기업은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새로운 출발을 꾀하게 되었는데, 대외적으로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서 CI(Corporate Identity), 즉 기업 아이덴티티의 수정 혹은 교체를 실시하였다.
CI(Corporate Identity)란 한 기업이 갖고 있는 개성으로 이름, 로고, 기업 문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삼성에 대해 연상하는 요소와 현대나 LG에 대해 연상하는 요소가 각각 다른데, 이러한 차이는 어느 정도 CI(Corporate Identity)에 의해 유도된다. CI(Corporate Identity)는 마케팅과 광고의 중요한 기반이 되는데, 그 이유는 IMC차원에서 CI와 광고 간에 일관성과 보완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컨데 혁신적인 이미지를 가진 기업이 너무 보수적인 광고를 하였을 때 소비자는 기업의 이미지에 대해 혼란스러워 할 수 있다. 또한 보완성의 측면에서 CI를 통해 강하고 명확한 이미지를 얻는 회사는 광고의 필요성이 적어진다고 할 수 있다.
CI(Corporate Identity)의 필요성은 여러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이덴티티 관리를 유발하는 원인 중 상당 부분은 광고를 통해서 해결할 수 있으므로 CI와 광고 간의 호흡 일치는 중요하며, 뿐만 아니라 CI안에는 BI(brand identity), 즉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결부되어 있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광고의 중요한 일환이 된다.
1.초코파이의 탄생
1974년 4월 출시
1970년대 초 동양제과의 한 연구원이 해외연수 중 호텔식당에서 우유와 함께 나온 초콜릿을 코팅한 과자를 보고 영감을 받은 것에서 오리온 초코파이의 역사는 시작된다. 약 2년여에 걸친 실험과 개발을 통해 1974년 3월 드디어 오늘날과 같은 초코파이가 출시되었다. 당시 국내 제과업계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형태로 차와 곁들일 수 있는 고단백, 고 칼로리 영양식 초코파이는 상류층을 주 Target으로 고급스러움에 주력하였다.
2.초코파이 포장디자인 변화
1) 스카이블루. 1974년
(소비자 시선 확보하기 위한 것)
처음 초코파이가 출시했을 당시의 포장은 파격적인 sky blue 컬러로 매장 내에 차별화된 대비를 강조, 초코파이는 Blue라는 이지지 컬러를 구축하게 되었다.
2) 패키지 상단에 초콜릿색으로 브랜드 네임 삽입. 1979년
(경쟁사와 차별성 부각하기 위한것)
유사제품들이 많이 출시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오리지널만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기 위한디자인의 변화가 필요했고, 패키지 상단에 제품의 특징이 잘 드러난 초콜릿 컬러의 Brand name을 삽입했다.
3) 포장지 겉면에 ‘정(情)’을 표시. 1989년
(타사제품과의 차별성 유도)
1989년 디자인 면에서 제품의 고급스어운 이미지를 강조하며, 상단면에 ‘情’이 붙기 시작했다. 초코파이가 일반명사이기 때문에 유사제품의 상표를 제제할 수 없는 점을 감안해 ‘情’에 대한 상표등록까지 마쳤다.
4) 내수 및 수출용 제품색상 파란색과 갈색에서 붉은색으로 바꿈. 2002년
(레드마케팅 도입-한.일 원드컵의 영향, 따
  • 가격1,2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6.13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47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