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공원 창덕궁 비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전통공원 창덕궁 비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한국전통정원구성의 기본사상
1)음양오행설
2)풍수지리사상
3)천지인사상
4)유교사상
5)불교사상
2. 한국전통정원 공간구성의 특성
1)한국전통정원의 특징
2)한국전통정원의 공간구성요소
3. 한국전통정원의 종류
4. 궁원의 공간구성
1)궁원의정의와 종류
2)창덕궁후원을 통해 본 한국전통정원의 구성원리

Ⅲ.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시를 짓고 읊었던 융상곡수연이 펼쳐지던 곳이 바로 여기이다. 창덕궁내에 물이 많이 줄었다는데 이곳에는 여전히 맑은 물이 흐르고 있다. 옥류천을 향하는 길에 만날 수 있는 산책로 또한 서울에서는 느낄수 없는 자연의 맑은공기로 기분을 상쾌하게 한다.
옥류천 북쪽 위에 초가 지붕인 청의정은 임금이 직접 심은 벼를 수확하여 그 볏집으로 지붕을 올렸다고한다. 마루는 사각인데 천장은 팔각형이고 초가지붕은 원형이다. 궁중에 단 하나뿐인 초가 건물이지만 주춧돌은 유례를 찾아 볼 수 없을 만큼 화려하다. 마치 명품구두에 삿갓을 쓴 꼴인데 어색해 보이지 않는 것이 신기하다.
청의정 옆에는 태극정이 있다. 높은 기단 위에 둥근 기둥을 세우고 겹처마 사모지붕에 절병통을 얹었다. 사방 문짝을 모두 들어 열 개문으로 하여 두 짝씩 접어서 들쇠에 걸도록 하였다. 옥류천 남쪽에는 길가에 취한정이있는데 정면3칸 측면1칸 홑처마의 소박한 정자이다.
<관람정>
단면이 마치 부채꼴 모양처럼 생긴 관람정이 있다. 이런 모양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형태이다. 6개의 기둥 중 4개는 물 속에 세워 놓은 장주형 초석 위에 세웠고 예쁜 평난간을 둘렀다. 기둥과 창방 밑에 운각판을 달아 치창을 하여 재치가 넘치는 재미있는 설계이다. 본디 서너 개의 연못으로 되어 있었던 이곳을 한반도 모양처럼 파서 배를 띄우며 노는 장소로 만들었다. 그래서 이 연못의 이름이 반도지(半島池)이고, 정자는 관람정(觀纜亭 : 배를 묶는 닻줄을 보는 정자)이란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일제의 흔적이 남아있는 이곳에도 가을은 여전한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다. 관람정 마루에 앉아 건너편 언덕을 보면 새신랑 처럼 고운 승재정이 관람정을 내려다 보고 있다. 장대석을 쌓은 기단 위에 dhENr하니 올려지어서 절병통을 얹어 놓은 사모지붕이 날아갈 듯 아름답ㄴ다. 사방에 뵀마루를 내고 2층으로 된 평난간을 둘렀으며 문짝은 전부 접어서 들쇠에 매달 수 있게 하여 한 여름에는 사방이 트인 정자가 된다.
승재정 북쪽에 폄우사가 있고 폄우사 옆에는 존덕정이 있다.
<존덕정>
관람정을 지나 홍예를 두르고 하엽동자를 두어 격식있게 지어진 작은 돌다리를 건너면 오른편에 육각형 모양의 겹지붕으로 된 존덕정이 보인다. 헌종년간에 편찬된 <궁궐지>에 의하면 존덕정 옆에 반월지가 있었고, 인조 22년(1644)에 건립했다고 적고 있다. 또한 원래 육면정으로 불렀으나 나중에 존덕정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덧붙이고 있다. 존덕지에 발을 담그고 있으며, 육각형 정자로 ‘덕성을 높인다\'는 뜻을 담고 있다. 존덕지에 물이 차 넘치면 개울을 흘러서 관람지로 들어가게 돼 있고, 여기에는 홍예를 튼 아름다운 돌다리가 있다. 존덕정은 처마를 2층으로 해 한층 멋을 부리고 정자에 뵀마루는 필요가 없는데 받침을 만들고 난간까지 둘러 미적으로 공을 들인 가장 아름다운 정자라 할수 있다.
장대석 2개를 연못 위로 V자형으로 길게 뻗쳐 놓고 장주형 초석으로 받친 다음 그 위에 2개의 기둥을 세워서 정자의 절반 가량을 물위로 내보냈다. 굵은 기둥 6개로 육모 지붕의 본 건물을 세우고 그 밖으로 귀퉁이 마다 가는 기둥 3개를 세운 위에 기와를 얹어서 겹지붕을 만들었다.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는 장치지만 건물을 아름답게 하는 역할이 크다. 안쪽 기둥 위 창방 아래에 꽃살 교창을 달고 그 아래에는 낙양각을 붙여 한껏 멋을 부렸다. 천장은 왕의 정자답게 청룡과 황룡 그림이 있는 독특한 구조로 짜여져 있다.
Ⅲ.결론
-우리나라 전통정원은 자연을 그대로 살리는 것이 특징이다. 다른 나라와 같이 인위를 가하지 않고 자연 속에서 자연을 즐기기 위한 정원을 가꾸는 것이다. 이는, 우리선조들의 전통사상과 국토의 지형적인 조건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창덕궁 후원은 우리가 만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가장 한국적인 정원이라는 사실에는 어떠한 부연도 필요 없다고 생각한다. 후원은 단지 정원의 의미뿐만 아니라 왕이 여가와 복잡한 현실속에서 벗어나 욕심을 버리고 마음으로 사색을 했던 장소이다. 조선의 왕들이 경복궁이라는 버젓한 정궁을 두고도 그보다 작은 창덕궁의 비원에 머물기를 좋아했던 까닭은 자연의 지세에 별다른 변경을 가하지 않고 그에 어울리게 건물을 배치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경북궁 처럼 좌우 대칭과 같은 정연한 구도가 아니라 인공이 아닌 자연, 기계적인 삭막함이 아니라 따뜻함과 섬세함이 알게 모르게 묻어난다는데 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우리나라의 건축은 정원 못지않게 자연과 조화를 이룬다. 창덕궁 후원 안의 건물들 또한 그러하다. 부용정, 영화당, 애련정, 연경당, 관람정등의 많은 정자들에서도 그런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나무와 벽돌로 집을 짖고, 얇은 창호지로 창과 문을 만들어 밖의 자연의 소리와 함께 동화되고, 햇살의 따사로움 또한 창호지를 통해 방으로 들어오는 느낌이란 어느 나라에서도 느낄 수 없는 우리만의 것이라 생각한다. 안과 밖이 자연스레 보이는 낮은 담장, 마루 또한 막혀있는 것이 아니라 방에서 나와 마루에 앉아 멀리 보이는 자연의 풍경을 애써 보려하지 않아도 자연스레 보이는 그런 점들이 우리나라 선조들이 얼마나 자연을 파괴하지 않고 동화되려 했던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느 나라든지 정원이 있고 그것을 가꾸는 일은 있지만 우리나라의 정원은 사뭇 다르다. 일률적이고 인위적인 외국의 정원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정원은 아름다운 자연의 풍경과 하나가 되어 바로 자연 그 자체로 보아도 큰 무리가 없다고 생각한다.
이토록 아름다운 우리나라의 전통정원이 그대로 간직될 수 있도록 일반인에게 개방된 창덕궁 후원의 한 부분도 훼손없이 지금처럼의 생태계 그대로 보존하도록 노력하여 오래도록 간직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참고자료>
창덕궁-http://www.cdg.go.kr/
창덕궁답사기-http://cafe.naver.com/53re/207
-http://cafe.naver.com/43qatg/370
창덕궁특징 -http://blog.naver.com/tndud1184/20029402483
창덕궁조사-http://blog.naver.com/rla9145/50009717717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6.13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48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