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1910년대 문학비평
1. 이광수의 문학론
1) 「문학의 가치」
2) 「문학이란 하오」
3) 「현상소설고선여언」
2. 김억의 시론
1) 「예술적 생활」
2) 상징시론
3) 「시형의 음률과 호흡」
Ⅲ. 결론
Ⅱ. 1910년대 문학비평
1. 이광수의 문학론
1) 「문학의 가치」
2) 「문학이란 하오」
3) 「현상소설고선여언」
2. 김억의 시론
1) 「예술적 생활」
2) 상징시론
3) 「시형의 음률과 호흡」
Ⅲ. 결론
본문내용
하고 있다. 문학이 유희가 아니며, 동시에 수신서나 종교적 교훈서가 될 수 없다는 그의 주장은 「문학의 가치」이래로 「문학이란 하오」를 거쳐 「현상소설고선여언」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2. 김억의 시론
1) 「예술적 생활」
안서 김억(1886 ~ ?)의 「예술적 생활」(『학지광』, 제6호, 1915. 2)은 김억이 어떤 견지에서 문학 활동을 시작했는지를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이다. 이선영 외, 『한국근대문학 비평사 연구』, 세계, 1989, p. 99.
그는 이 글의 결론에서 인생의 최고목적이란 곧 예술적 생활을 실현하는 것이며, 스스로 ‘예술적 생을 바래는 맘’이 간절하다는 것을 고백하고 있다. 인생과 예술은 깊은 근저의 의미로 일치되고 있으며, 예술의 근저는 실인생을 기지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예술의 향상은 인생의 향상이며, 인생의 향상은 예술의 향상이니, 참다운 현실적 생활 또한 예술적 생활을 시작함에 따라 생긴다는 것으로 김억은 예술적 생활에 대한 동경을 제시하기에 이른다.
개인의 중심적 생활을 예술적 되게 하여라, 그러면 사회적 생활도 예술적 되리라, 몬져, 個的 생명의 斷片을 모아 예술적되게 하여라. 그러면 예술은 인생로의 예술적되리라,
아 나로 하여금 예술적 생활을 맛보게 하여라. ─ 사랑의 생활로의 예술의 도취에서, 생명의 만족적 향락을 엇게 하여라.
「예술적 생활」
즉, 「예술적 생활」은 예술과 생활의 상응 관계를 논한 것으로, 인생을 위한 예술 편에 서있다. 이 주장은 상징주의 시론을 전개할 때까지 계속되다가 이후 예술을 위한 예술 편에 서게 된다.
2) 상징시론
김억의 시론으로는 프랑스 상징시론의 소개가 중심을 이루고 있는데, 거기서 그는 ‘상징주의’ㆍ‘데까당스’ㆍ‘자유시’와 같은 상징시론에 연관되는 중요한 용어의 개념들을 설명하고 있다. 외국의 상징시론을 소개한 것으로는 「요구(要求)와 회한(悔恨)」(1916)ㆍ「솔로구프(Sologub)의 인생관」(1918~1919)ㆍ「프랑스 시단(詩壇)」(1918) 등을 들 수 있다.
「요구와 회한」(『학지광』,제10호, 1916)은 프랑스 상징주의 시에 대한 김억의 공감과 경탄을 적은 글이다. 그는 이 글에서 자기의 심정이 상징주의 시인 보들레르(Pierre-Charles Baudelaire, 1821~67) 및 베를렌느(Paul Verlaine, 1844~96)의 심정과 같다는 것으로 말머리를 풀어나간다. 순간순간에 추구하고 추회(追懷)하는 심정은 깊은 비수(悲愁)와 공포(恐怖)와 회한(悔恨)을 맛보게 되는 것으로 그것은 바로 김억 자신의 심정과 같은 것이라고 하는 것이다. 즉, 선을 열렬히 동경하기 때문에 충실한 악의 노예가 되고 이상적이기 때문에 현실적이 안 될 수 없는, 선과 악의 혼합인 절대자임으로 해서 회한와 불안을 맛보게 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심정은 보들레르와 베를렌느의 그것과 동일한 것으로 보고 그런 심정을 적극 옹호하면서 찬미한다. 같은책, p. 101.
김억은 프랑스 상징주의 사단의 소개에 앞서 러시아 퇴폐파의 대표적인 시인이자 작가인 솔로구프(Sologub, 본명은 Fyodor Kuzmich Teternikov, 1863~1927)에 대한 작가론을 발표하기 시작한다. 『태서문예신보』 제 9호부터 제 14호까지 연재된 「솔로구프의 인생관」이라는 제목의 이 글은 솔로구프의 퇴폐적이고 상징적인 문학을 소개하고 있다.
로시아 상징파 가운데 사장 이채를 놋는 시인으로 쏘로 꿉의 내적 세계처럼 그윽한 비애를 가진 작가 업다. 그의 정신으 영구 暗夜에셔 아득인다. 그는 고독의 고독시인으로 현세의 暗黑 醜汚 凡俗과 不調和에서
2. 김억의 시론
1) 「예술적 생활」
안서 김억(1886 ~ ?)의 「예술적 생활」(『학지광』, 제6호, 1915. 2)은 김억이 어떤 견지에서 문학 활동을 시작했는지를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이다. 이선영 외, 『한국근대문학 비평사 연구』, 세계, 1989, p. 99.
그는 이 글의 결론에서 인생의 최고목적이란 곧 예술적 생활을 실현하는 것이며, 스스로 ‘예술적 생을 바래는 맘’이 간절하다는 것을 고백하고 있다. 인생과 예술은 깊은 근저의 의미로 일치되고 있으며, 예술의 근저는 실인생을 기지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예술의 향상은 인생의 향상이며, 인생의 향상은 예술의 향상이니, 참다운 현실적 생활 또한 예술적 생활을 시작함에 따라 생긴다는 것으로 김억은 예술적 생활에 대한 동경을 제시하기에 이른다.
개인의 중심적 생활을 예술적 되게 하여라, 그러면 사회적 생활도 예술적 되리라, 몬져, 個的 생명의 斷片을 모아 예술적되게 하여라. 그러면 예술은 인생로의 예술적되리라,
아 나로 하여금 예술적 생활을 맛보게 하여라. ─ 사랑의 생활로의 예술의 도취에서, 생명의 만족적 향락을 엇게 하여라.
「예술적 생활」
즉, 「예술적 생활」은 예술과 생활의 상응 관계를 논한 것으로, 인생을 위한 예술 편에 서있다. 이 주장은 상징주의 시론을 전개할 때까지 계속되다가 이후 예술을 위한 예술 편에 서게 된다.
2) 상징시론
김억의 시론으로는 프랑스 상징시론의 소개가 중심을 이루고 있는데, 거기서 그는 ‘상징주의’ㆍ‘데까당스’ㆍ‘자유시’와 같은 상징시론에 연관되는 중요한 용어의 개념들을 설명하고 있다. 외국의 상징시론을 소개한 것으로는 「요구(要求)와 회한(悔恨)」(1916)ㆍ「솔로구프(Sologub)의 인생관」(1918~1919)ㆍ「프랑스 시단(詩壇)」(1918) 등을 들 수 있다.
「요구와 회한」(『학지광』,제10호, 1916)은 프랑스 상징주의 시에 대한 김억의 공감과 경탄을 적은 글이다. 그는 이 글에서 자기의 심정이 상징주의 시인 보들레르(Pierre-Charles Baudelaire, 1821~67) 및 베를렌느(Paul Verlaine, 1844~96)의 심정과 같다는 것으로 말머리를 풀어나간다. 순간순간에 추구하고 추회(追懷)하는 심정은 깊은 비수(悲愁)와 공포(恐怖)와 회한(悔恨)을 맛보게 되는 것으로 그것은 바로 김억 자신의 심정과 같은 것이라고 하는 것이다. 즉, 선을 열렬히 동경하기 때문에 충실한 악의 노예가 되고 이상적이기 때문에 현실적이 안 될 수 없는, 선과 악의 혼합인 절대자임으로 해서 회한와 불안을 맛보게 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심정은 보들레르와 베를렌느의 그것과 동일한 것으로 보고 그런 심정을 적극 옹호하면서 찬미한다. 같은책, p. 101.
김억은 프랑스 상징주의 사단의 소개에 앞서 러시아 퇴폐파의 대표적인 시인이자 작가인 솔로구프(Sologub, 본명은 Fyodor Kuzmich Teternikov, 1863~1927)에 대한 작가론을 발표하기 시작한다. 『태서문예신보』 제 9호부터 제 14호까지 연재된 「솔로구프의 인생관」이라는 제목의 이 글은 솔로구프의 퇴폐적이고 상징적인 문학을 소개하고 있다.
로시아 상징파 가운데 사장 이채를 놋는 시인으로 쏘로 꿉의 내적 세계처럼 그윽한 비애를 가진 작가 업다. 그의 정신으 영구 暗夜에셔 아득인다. 그는 고독의 고독시인으로 현세의 暗黑 醜汚 凡俗과 不調和에서
추천자료
[현대문학사] 1910년대 비평 문학
[문학비평] 반영론적 관점에서 본 문학 비평 (객지, 난쟁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노동의 새벽...
1970년대한국문학비평사
[문학비평][신비평][한국문학]문학비평 신비평의 역사, 문학비평 신비평의 개념, 문학비평 신...
[문학비평][문학비평의 개념][문학비평의 유형][문학비평의 방법][문학비평의 방향][문학][비...
[문학비평][최재서][딜타이][벨린스키][신경향파][정신분석학]문학비평의 유형, 문학비평의 ...
[문학비평][1930년대][해방기][형식주의][심리주의][구조주의]문학비평 정의, 문학비평 이론,...
[신비평][문학비평][문학연구]문학비평의 의미, 문학비평의 종류, 문학비평 신비평의 의미,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