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1910년대 비평사
2. 1910년대 비평가
1) 이광수의 선구적 비평
2) 그 외 비평가들
Ⅲ. 결 론
***참고문헌***
Ⅱ. 본 론
1. 1910년대 비평사
2. 1910년대 비평가
1) 이광수의 선구적 비평
2) 그 외 비평가들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시의 운율을 시인 생명의 육화된 조화 상태로 보는 그의 견해는 자유시의 정곡을 찌른 것이다. 바로 이 점에서 김억의 시론은 자유시를 이론적으로 전개한 최초의 글로서 선구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는 것이다.
) 정한모, 『한국현대시문학사』, 일지사, 1988
백대진은 1916년경부터 비평을 발표하기 시작했는데, 이광수가 정의 만족을 문학의 유일한 본질로 규정했던 데 비해 백대진은 그와 함께 문학의 계몽성을 또 하나의 중요한 본질로 보았다. 프랑스 상징주의 시론을 김억보다 앞서 소개하고 상징주의의 형식파괴를 자유시의 개념에서 이해하여 자유시에 대한 상당한 수준의 이해를 보여준다. 황석우는 「詩話」(1919), 「조선시단의 발족점과 자유시」(1919), 「일본시단의 2대 경향」(1920) 등을 통하여 프랑스 상징주의 시론과 일본의 상징주의 경향을 소개하며 자유시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보여주고 있다.
최남선은 『예술과 근면』에서 예술을 이룩하는데 있어서 근면이 절대적 필요 요건임을 강조한다. 1920년대 이후로 시조 부흥운동을 하는 등 조선 心을 찾는 일에 주력한다. 신채호는 『문예계 청년에게 참고를 구함』에서 문학 회의론을 대두하고『조선혁명 선언』에서 오직 혁명과 투쟁만이 중요함을 주장한다. 『대한과 희망』은 이광수의 민족개조론과 대조된다. 결국 신채호의 비평은 민족 해방운동을 위하는 문학이 진정한 문학이라는 주장이다.
Ⅲ. 결 론
따라서 한국 근대 문학 비평론의 본격적인 전개는 1920년대부터 출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참고자료***
1910년대 문학 연구 - 박주태
근대문학의 의의 - 신재갑
) 정한모, 『한국현대시문학사』, 일지사, 1988
백대진은 1916년경부터 비평을 발표하기 시작했는데, 이광수가 정의 만족을 문학의 유일한 본질로 규정했던 데 비해 백대진은 그와 함께 문학의 계몽성을 또 하나의 중요한 본질로 보았다. 프랑스 상징주의 시론을 김억보다 앞서 소개하고 상징주의의 형식파괴를 자유시의 개념에서 이해하여 자유시에 대한 상당한 수준의 이해를 보여준다. 황석우는 「詩話」(1919), 「조선시단의 발족점과 자유시」(1919), 「일본시단의 2대 경향」(1920) 등을 통하여 프랑스 상징주의 시론과 일본의 상징주의 경향을 소개하며 자유시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보여주고 있다.
최남선은 『예술과 근면』에서 예술을 이룩하는데 있어서 근면이 절대적 필요 요건임을 강조한다. 1920년대 이후로 시조 부흥운동을 하는 등 조선 心을 찾는 일에 주력한다. 신채호는 『문예계 청년에게 참고를 구함』에서 문학 회의론을 대두하고『조선혁명 선언』에서 오직 혁명과 투쟁만이 중요함을 주장한다. 『대한과 희망』은 이광수의 민족개조론과 대조된다. 결국 신채호의 비평은 민족 해방운동을 위하는 문학이 진정한 문학이라는 주장이다.
Ⅲ. 결 론
따라서 한국 근대 문학 비평론의 본격적인 전개는 1920년대부터 출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참고자료***
1910년대 문학 연구 - 박주태
근대문학의 의의 - 신재갑
추천자료
- 1930년대 모더니즘 시에서의 근대
- 근대시가에 대한 레포트★
- 『무정』― 이형식의 식민지 근대에 대한 인식
- 1930년대 근대소설의 발전
- [소설창작론]이태준의 패강냉, 복덕방의 구체적 설명과 작가 이태준의 근대인식
- [소설창작론]이태준의 단편에 나타난 근대에 대한 문제의식과 주제의식
- 한국현대문학사 <동인지 문학의 출발과 서정시의 등장>
- 한국근대소설사
- [현대소설] '절처봉생' 속에 드러난 근대전환기의 현실성
- 근대의식의 시발점 - <홍길동전>을 중심으로
- [근대소설][소설가][현상윤][김승옥][이상][장용학]근대소설의 전개, 근대소설과 소설가 현상...
- 근대 극복의 기획과 페미니즘 [권명아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