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용운 시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용운 시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시인소개

1. 님의침묵

2. 알수 없어요

3. 논개의 애인이 되어서 그의 묘에

4. 당신을 보았습니다

본문내용

화(無化)시켜서 남을 존재하게 하는 거룩한 존재이다. 따라서 만해는 자신의 절대적인 \'님\'을 향해 다시 기름이 되는 생성의 믿음과 의지를 굳게 갖고, 재가 되는 소멸의 아픔을 기쁨으로 감수하는 것이다. 이처럼 만해시는 소멸의 시인 동시에 역설의 시이기에 극복의 시가 될 수 있으며, 생성의 시로 상승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 작품의 기본 바탕은 불교의 윤회 사상과 연기설(緣起說), 그리고 색즉시공(色卽是空)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지만, 그 심오한 진리가 작품 속에 완전히 용해된 탓으로 조금도 설법(說法)의 냄새를 풍기지 않고, 도리어 감각적 실체로만 나타나 있어 만해의 뛰어난 시적 능력을 감지(感知)할 수 있다.
3. 논개의 애인이 되어서 그의 묘에
날과 밤으로 흐르고 흐르는 남강(南江)은 가지 않습니다
바람과 비에 우두커니 섰는 촉석루(矗石樓)는 살 같은 광음(光陰)을 따라서 달음질칩니다
논개(論介)여 나에게 울음과 웃음을 동시(同時)에 주는 사랑하는 논개여
그대는 조선의 무덤 가운데 피었던 좋은 꽃의 하나이다. 그래서 그 향기는 썩지 않는다.
나는 시인으로 그대의 애인이 되었노라
그대는 어디 있느뇨 죽지 않은 그대가 이 세상에는 없고나
나는 황금의 칼에 베어진 꽃과 같이 향기롭고 애처로운 그대의 당년(當年)을 회상(回想)한다
술 향기에 목맺힌 고요한 노래는 옥(獄)에 묻힌 썩은 칼을 울렸다
춤추는 소매를 안고 도는 무서운 찬바람은 귀신 나라의 꽃수풀을 거쳐서 떨어지는 해를 얼렸다
가냘핀 그대의 마음은 비록 침착하였지만 떨리는 것보다도 더욱 무서웠다
아름답고 무독(無毒)한 그대의 눈은 비록 웃었지만 우는 것보다도 더욱 슬펐다
붉은 듯하다가 푸르고 푸른 듯하다가 희어지며 가늘게 떨리는 그대의 입술은 웃음의 조운(朝雲)이냐 울음의 모우(暮雨)이냐 새벽달의 비밀이냐 이슬꽃의 상징(象徵)이냐
삐비 같은 그대의 손에 꺾이우지 못한 낙화대(落花臺)의 남은 꽃은 부끄럼에 취(醉)하여 얼굴이 붉었다
옥같은 그대의 발꿈치에 밟히운 강 언덕의 묵은 이끼는 교긍(驕矜)에 넘쳐서 푸른 사롱(紗籠)으로 자기의 제명(題名)을 가리었다
아아 나는 그대도 없는 빈 무덤 같은 집을 그대의 집이라고 부릅니다.
만일 이름뿐이나마 그대의 집도 없으면 그대의 이름을 불러 볼 기회가 없는 까닭입니다
나는 꽃을 사랑합니다마는 그대의 집에 피어 있는 꽃을 꺾을 수는 없습니다
그대의 집에 피어 있는 꽃을 꺾으려면 나의 창자가 먼저 꺾어지는 까닭입니다
나는 꽃을 사랑합니다마는 그대의 집에 꽃을 심을 수는 없습니다
그대의 집에 꽃을 심으려면 나의 가슴에 가시가 먼저 심어지는 까닭입니다
용서하여요 논개여 금석(金石)같은 굳은 언약을 저버린 것은 그대가 아니요 나입니다
용서하여요 논개여 쓸쓸하고 호젓한 잠자리에 외로이 누워서 끼친 한(恨)에 울고 있는 것은 내가 아니요 그대입니다
나의 가슴에 \'사랑\'의 글자를 황금으로 새겨서 그대의 사당에 기념비를 세운들 그대에게 무슨 위로가 되오리까
나의 노래에 \'눈물\'의 곡조를 낙인(烙印)으로 찍어서 그대의 사당에 제종(祭鍾)을 울린대도 나에게 무슨 속죄가 되오리까
나는 다만 그대의 유언대로 그대에게 다하지 못한 사랑을 영원히 다른 여자에게 주지 아니할 뿐입니다 그것은 그대의 얼굴과 같이 잊을 수가 없는 맹세입니다
용서하여요 논개여 그대가 용서하면 나의 죄는 신에게 참회를 아니한대도 사라지겠습니다
천추(千秋)에 죽지 않는 논개여
하루도 살 수 없는 논개여
그대를 사랑하는 나의 마음이 얼마나 즐거우며 얼마나 슬프겠는가
나는 웃음이 겨워서 눈물이 되고 눈물이 겨워서 웃음이 됩니다
용서하여요 사랑하는 오오 논개여
(1) 문학개관
1) 운율 유장한 산문적 리듬(4음보의 율격적 특성이 가미됨)
2)성격 상징적, 묘사적, 영탄적
3)어조 추모, 예찬의 비장한 목소리
4)제재 논개의 의로운 죽음
5)주제 청사(靑史)에 길이 빛날 논개의 헌신적 애국심
6)구성
-[1]-촉석루에서의 감회
-[2]-희생을 결심하는 논개와 순국 행위의 예찬
-[3]-논개와 같은 실천적 삶의 고통
-[4]-논개에게 용서를 구함
-[5]-논개에 대한 예찬과 실천적 삶의 결의
7)표현
-불교적 깨달음을 전제로 역설법이 사용됨
-인과적 서술과 실천적 의지를 효과적으로 부각함
-다양한 종결 어미를 구사하여 폭넓은 감정을 드러냄
-감각적 심상과 비유적 심상의 적절한 조화
-태도 성찰적, 실천적 자세
(2) 이해와 감상
한용운 시의 주된 특징인 역설과 아이러니로 이루어진 이 시는 논개를 추모하는 정을
  • 가격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6.14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48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