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상담][집단상담자]집단상담에 관한 심층 고찰(집단상담의 정의, 집단상담의 목표, 집단상담의 효과, 집단상담시 유의할 점, 집단상담의 기법, 집단상담자의 역할과 집단상담의 과정, 집단상담의 평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집단상담][집단상담자]집단상담에 관한 심층 고찰(집단상담의 정의, 집단상담의 목표, 집단상담의 효과, 집단상담시 유의할 점, 집단상담의 기법, 집단상담자의 역할과 집단상담의 과정, 집단상담의 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집단상담의 정의

Ⅱ. 집단상담의 목표

Ⅲ. 집단상담의 효과

Ⅳ. 집단상담시 유의할 점

Ⅴ. 집단상담의 기법

Ⅵ. 집단상담자의 역할과 집단상담의 과정

Ⅶ. 집단상담의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가?
② 흥미가 계속 유지되었는가? 혹은 상실되었는가?
③ 집단이 어느 정도로 공통목적에 의하여 연합되었다고 느끼는가?
④ 어느 정도로 집단의 공동목표에 개인의 관심을 종속시킬수 있었는가?
C. 집단의 분위기
① 형식적이었는가 혹은 비형식적이었는가?
② 허용적이었는가 혹은 제한적이었는가?
③ 협동적이었는가 혹은 경쟁적이었는가?
④ 우의적이었는가 혹은 적대적이었는가?
D. 집단원의 공헌도
① 모든 집단원이 고루 참여했는가 혹은 몇 사람만이 참여했는가?
② 집단원들의 공헌이 목표지향적이었는가 아니면 곁길로 빗나갔는가?
③ 집단원들은 상호간의 의견을 주의깊게 경청했는가?
④ 집단원들의 공헌이 사실적이고 문제 중심적이었는가 아니면 편견에 사로잡혀 있었는가?
E. 특수한 집단원들의 공헌
① 지도자는 집단을 지배했거나 너무 일찍 결론을 내리려고 하지 않았는가?
② 관찰자는 종종 질문을 제기함으로 명료화에 힘쓰려 했는가?
③ 자료인사가 있었으면 그의 행동은 어떠했는가?
National Traning Laboratory(1970)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네 가지가 바람직한 집단평가의 규준이 된다고 한다.
① 효율적인 집단기능 : 하나의 집단으로서 어느 정도로 생산성을 높이며 실행목표를 향하여 잘 전진해 나가고 있는가?
② 보다 광범한 사회적 목표에 대한 인식 : 어느 정도로 집단 자체의 목표들을 보다 넓은 사회의 체제에 잘 적합시키고 있는가?
③ 집단 자원의 충분한 활용 : 어느 정도로 집단원들의 능력을 목표달성에 잘 활용하고 있는가?
④ 집단원의 성장의 증진 : 어느 정도로 집단원들로 하여금 자기 성장을 하도록 돕고 있는가? 즉 어느 정도로 그들의 현재의 능력보다 더 나은 공헌자들이 되고, 보다 폭넓게 여러가지 집단원의 본질적 역할행동을 수행하도록 돕고 있는가?
Jackson(1969)은 집단과정에 대한 평가의 내용으로 다음과 같은 문항들을 제시하고 있다.
① 의사소통은 자유롭고 자발적이었는가 아니면 강제적이었는가?
② 집단의 목적이 자체의 기능화에 있었는가?
③ 집단과정을 위하여 집단원들은 책임을 분담했는가?
④ 집단은 응집성이 있었는가?
⑤ 집단은 어느 정도로 명백하게 사고했고 정보를 쾌히 수용했는가?
⑥ 집단은 피로와 긴장감으로 끝마쳤는가 아니면 이완과 수용의 느낌으로 마쳤는가?
⑦ 집단은 어느 정도로 자기평가를 위한 책임을 받아들였는가?
⑧ 지도자나 자원인사에 대한 집단의 태도는 어떠했는가?
⑨ 집단원들은 어느 정도로 상호간의 역할행동을 지각하고 이에 반응하는 능력을 발전시켰는가?
⑩ 집단은 어느 정도로 통찰력을 발달시키므로 창조적인 행동을 할 수 있었는가?
(2) 집단원의 성장에 관한 평가내용
집단상담의 궁극목적이 참여자 개인의 행동변화 또는 성장발달에 있으므로 특정 집단경험을 통하여 각 개인이 어떠한 효과를 볼 수 있었는가에 대한 평가의 중요성은 재언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것이다. 집단원 개인의 행동변화를 평가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범주의 내용들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는 집단원의 역할행동에 관한 내용들이고, 둘째는 각 개인이 작성한 행동목표에 포함된 내용들이다.
Carter(1970)에 의하면, 집단의 크기, 과업의 종류, 지도성의 형태 등의 상당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본질적으로는 비슷한 요인구조들이 개인행동 평가의 내용으로 여러가지 연구결과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 그는 ①개인적인 성취, ②집단목표달성의 촉진, ③집단 사회성의 증진의 세 가지 요인들은 제5장에서 취급된 집단원의 세 가지 역할행동과 일치되는 내용들이다. 따라서 ①집단과업 성취를 돕는 역할행동, ② 집단의 유지, 발전을 돕는 역할행동, ③개인의 요구충족을 위한 역할행동의 세 가지 범주에 내포되는 여러가지 행동항목들이 개인의 성장에 관한 평가의 내용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집단지도자는 위의 세 가지 집단원의 역할행동 범주에 포함되는 여러가지 행동목록을 활용하여 품등척도 형식의 측정도구를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집단원의 행동변화를 측정하는 평가내용의 다른 하나의 출처는 집단상담이 시작되기 전에 각 개인이 작성한 행동목표서이다. 만약 각 집단원이 미리 측정 가능하고 관찰 가능한 용어로 구체적인 행동목표들을 정해두었다면, 집단상담의 경험을 통하여 그와 같은 행동들이 어느 정도로 변화했는가를 측정하기란 매우 용이할 것이다. 각 집단원은 자신의 행동목표서에 포함된 내용으로 평가서를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고 집단지도자는 모든 집단원의 행동목표서의 내용을 종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송명자(1999). 발달심리학. 서울 : 학지사.
박영숙(1994). 심리평가의 실제. 서울 : 도서출판하나의학사.
이장호(1992), 상담심리학, 서울: 박영사.
이형득(1986),집단상담의 실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이장호,김정희(1995),집단상담의 원리와 실제, 서울, 법문사.
Abramson, L. Y., Selingman, M. E. P., & Teasdale, J. D. (1978), Learned helplessness in human; Critique and reformula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7, 49-74.
Albert Ellis & Others. (1997), Stress Counseling, Cassell, School Counseling for the 21 Century, Prentice Hall.
Corey, G. (2001),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Montery, Calif: Brook Cole.
Duanne Brown. (2001), Psychological Consultation Allyn and Bacon.
Dweck, C. S. (1975),. The Role of Expectation and Attribution in the Alleviation of Learned Helpless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1, 674-685.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6.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51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