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그들의 창법 등에 대해서는 이미 국내에서도 지적이 있었다. 그들의 음악적 자질이나 예술성이 더 잘 다듬어져 해외로 나간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가창력보다는 요란한 율동으로, 작품성보다는 외모만을 내세우는 듯한 양태는 분명 비문화적이라는 지적을 받을 수 있다. 그러기에 한류의 무분별한 중국 진출은 장기적으로는 우리 고유문화발전에 방해가 될 지도 모른다. 중국의 문화 공백기에 한류들이 여과 없이 흘러 들어가, 궁극적으로 우리의 건전 문화 창조에 걸림돌이 된다면 낭패가 아닐 수 없다. 이른바 콘텐츠 산업 수출 가능성을 운위하기 이전에 냉철한 내적 자기성찰이 있어야 한다.
한류열풍은 아직도 멀었다? 그렇다. 우리 방송계가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서 이 열풍이 앞으로 더욱 심화될수 있고 아니면 반짝하다가 다시 몰락할 수 있다. 일례로, 80년도 중후반에 한국에서 홍콩 영화가 엄청 인기 많았다 주윤발이 성냥물고 다니는 것을 따라하는 사람들도 많았고 "사랑해요~ 밀키스~" 장국영의 "To you" 왕조현, 임청하 등 내한하는 홍콩배우들도 많았었지만 10년도 안되어 결국 그 인기는 사라지게 되었다 이 이유를 들자면, 너무 그 문화가 일률적 이었던 것이다 10년 가까운 세월동안에 와이어 액션, 터지는 피, 쌍권총, 도박물과 무협을 제외하고는 홍콩 문화라는 것은 없었기 때문이다. 그나마 현재 주성치라는 인물이 여전히 많은 인기를 받고 있습니다만, 그 혼자서 홍콩영화를 이끌기에는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이 만만하지 않다. 한류문화라는 것이 너무 일률적이지 않았으면 한다. 현재 한류열풍은 몇명의 연예인들이 주도하는 그런 분위기가 되어있다. 한국에는 이런 몇명의 연예인들보다 상품성이 더 있는 연예인들이 훨씬 많이 존재한다. 이들 역시 새로 포장하고 다듬어서 더 좋은 작품들을 낼 수 있다면 더더욱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예인들의 상품성에서 나아가 김치·고추장·라면·가전제품 등 한국 관련 제품의 특성화로 더욱 경제성장에 박차를 가하여 할 것이다
★참고문헌★
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 (연세대학교 출판부)
한류, 한국붐의 의의와 아시아 시대의 (우리문화 문화예술 267호) 서연호
[중앙 시평] 기차바퀴 시대의 한류 (중앙 '오늘')
한국일보, 부산일보, 헬로엔터, 스포츠한국 등 '연예 오락' 기사
한류현상과 그 지속성에 관한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논문)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frm=nt)
한류열풍은 아직도 멀었다? 그렇다. 우리 방송계가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서 이 열풍이 앞으로 더욱 심화될수 있고 아니면 반짝하다가 다시 몰락할 수 있다. 일례로, 80년도 중후반에 한국에서 홍콩 영화가 엄청 인기 많았다 주윤발이 성냥물고 다니는 것을 따라하는 사람들도 많았고 "사랑해요~ 밀키스~" 장국영의 "To you" 왕조현, 임청하 등 내한하는 홍콩배우들도 많았었지만 10년도 안되어 결국 그 인기는 사라지게 되었다 이 이유를 들자면, 너무 그 문화가 일률적 이었던 것이다 10년 가까운 세월동안에 와이어 액션, 터지는 피, 쌍권총, 도박물과 무협을 제외하고는 홍콩 문화라는 것은 없었기 때문이다. 그나마 현재 주성치라는 인물이 여전히 많은 인기를 받고 있습니다만, 그 혼자서 홍콩영화를 이끌기에는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이 만만하지 않다. 한류문화라는 것이 너무 일률적이지 않았으면 한다. 현재 한류열풍은 몇명의 연예인들이 주도하는 그런 분위기가 되어있다. 한국에는 이런 몇명의 연예인들보다 상품성이 더 있는 연예인들이 훨씬 많이 존재한다. 이들 역시 새로 포장하고 다듬어서 더 좋은 작품들을 낼 수 있다면 더더욱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예인들의 상품성에서 나아가 김치·고추장·라면·가전제품 등 한국 관련 제품의 특성화로 더욱 경제성장에 박차를 가하여 할 것이다
★참고문헌★
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 (연세대학교 출판부)
한류, 한국붐의 의의와 아시아 시대의 (우리문화 문화예술 267호) 서연호
[중앙 시평] 기차바퀴 시대의 한류 (중앙 '오늘')
한국일보, 부산일보, 헬로엔터, 스포츠한국 등 '연예 오락' 기사
한류현상과 그 지속성에 관한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논문)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frm=nt)
추천자료
미원의 인도네시아 진출사례를 통해 배우는 기업의 해외진출전략!
해외진출 기업의 마케팅믹스 성공사례
해외진출 기업분석
해외진출기업분석 - 설화수
두산인프라코어,두산인프라코어중국진출,두산인프라코어중국시장마케팅,중국시장마케팅사례,...
신라면마케팅전략,농심신라면,신라면분석,신라면해외진출,농심마케팅전략.농심해외마케팅
International Marketing SAMSUNG ELECTRONICS - 삼성전자마케팅전략,삼성전자해외시장진출사...
아모레퍼시픽(AmorePacific) 해외시장진출 마케팅전략과 아모레퍼시픽 성공사례분석 및 나의 ...
넥슨(Nexon) 기업분석 & 중국시장 진출 분석, 해외진출 성공분석.pptx
[종가집김치업분석]마케팅전략사례,일본시장진출,해외진출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
만도 북경 법인(Mando Beijing) 진출동기, 진출-해외생산 연혁, 현지 사업 개요, 만도 북경 ...
MSN (Microsoft Network)엠에스엔,다국적 기업의 해외진출 실패사례 분석,MSN의 국내시장 진...
LG전자의 인도진출,LG전자 소개,LG전자의 글로벌화,LG전자의 해외진출,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
스타벅스(Starbucks)의 해외진출 성공사례 분석과 한국진출 전략 분석 (환경분석, SWOT Ana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