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진출기업분석 - 설화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외진출기업분석 - 설화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기업 소개
 2. 브랜드 소개

Ⅱ. 본론
 1. 국내시장 환경분석
 2. 해외시장 환경분석
 3. SWOT 분석
 4. STP 분석
 5. 4P 분석

Ⅲ. 결론 (전략 수립)

본문내용

_ 해외진출기업분석
CONTENT
Ⅰ. 서론
1. 기업 소개
2. 브랜드 소개
Ⅱ. 본론
1. 국내시장 환경분석
2. 해외시장 환경분석
3. SWOT 분석
4. STP 분석
5. 4P 분석
Ⅲ. 결론 (전략 수립)
Ⅰ. 서론
1. 기업 소개 설화수 홈페이지 http://www.sulwhasoo.co.kr
1.1 아모레퍼시픽 소개
1) 지향점과 비전
‘세계 속에서 아시아의 미를 창조하는 기업’, ‘아시아의 가치를 대표하는 기업’, ‘아시아적인 아름다움과 가치의 창조자’라는 목표 아래 Asian Beauty Creator를 지향하고 있다. 현재 화장품, 피부과학, 의약품 및 식품 연구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고객의 미와 건강을 위해 토탈 케어를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 ‘뷰티사업’, ‘헬스사업’을 비전으로 삼고 있다.
2) 브랜드 소개
아모레퍼시픽에는 헤라, 설화수, 라네즈 등 16개의 브랜드가 속한 화장품 제품군이 있으며, 려, 미쟝센 등 6개의 브랜드를 가진 생활용품 제품군 및 오설록, 오가든 등 3개의 브랜드를 가진 건강 제품군이 있다.
3) 영업실적 및 투자지표
2. 브랜드 소개
2.1 설화수 소개
1) 브랜드 컨셉
동양의 음양오행원리를 담은 한방(韓方)은 음과 양이 균형을 이룬 상태를 가장 이상적인 상태로 생각한다. 설화수는 7년 단위로 감소하는 여성 피부의 음의 기운에 주목하고, 음이 부족해져서 발생한 조()한 현상을 근본적으로 다스려 치우침 없이 조화로운 아름다움을 찾아준다.
2) 브랜드 의미 - 눈(雪) 꽃(花) 빼어날(秀)
자연의 빛이 더해져 빛을 발하는 눈꽃과 같이 정갈하면서도 깊이 있는 아름다움을 전하고자 한다는 의미로 단아하면서도 기품있는 한국적 미감을 담고 있다.
3) 브랜드 철학
설화수가 추구하는 아름다움의 원천은 바로 자연이다. 자연의 원료로 아름다움을 가꾸는 자연과 사람의 상생, 내면을 다스려 피부를 이롭게 하는 몸과 마음의 상생, 오랜 지혜와 현대 과학이 만난 전통과 과학의 상생을 추구한다. 설화수는 자연과 전통에서 얻은 지혜를 상생의 철학을 통해 실현하고 있다.
4) 대표적 제품
Ⅱ. 본론
1. 국내시장 환경분석
한방화장품 시장은 신규한방 브랜드의 출시로 전년대비 25% 증가한 1조5천500억 원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2009년기준) 2008년 기준 설화수가 전체 한방 화장품 시장의 67.3%를 차지함으로써 한방화장품의 대표브랜드가 되었다.
또한 현재 한방화장품 ‘설화수’는 국내 고급 화장품 시장에서 1위이며, 아모레퍼시픽 회사의 총 매출 중 27% 차지한다. 단일브랜드로 2009기준 5000억원 매출 기록하였다.
한방에서 약재 처방시 다양한 방법 통한 가공과정인 포제법 사용해 화장품을 제조하는 등 명품 버금가는 품질관리를 하고 있으며, 업계 최초로 실시한 CRM(고객관계관리)와 3만2000명에 달하는 방문판매 직원들이 작성한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고객관리 분야 최초, 최고를 지향한다. 매경이코노미 제1494호(09.02.25일자
2. 해외시장 환경분석 (중국)
2.1 중국 시장 환경 중국통계연감 각호
1) 경제 : 지속적인 고도성장 및 중산층 확대
중국은 1992~2006년간 연평균 10,2%의 고도성장을 실현하였다. 저소득층의 중산층 편입이 가속화되면서 중산층 비율은 1995년 7%에서 2005년 22%로 증가하였다.
2) 정부정책 : 내수진작 및 소비자의 권익 보호
2006년 공무원 급여를 10%인상하고 개인소득공제 기준금액을 올리는 등 내수진작을 위해 소비기반을 확대하는 조치를 단행하였다. 국내외에서 중국산 제품의 안전사고가 빈발하자 소비자보호를 위한 관련 법규 제정 및 규제를 강화하였다.
3) 인구 : 도시화의 급진전 및 생활양식의 다양화
2006년 도시화율은 43.9%로 200년(35.8%) 대비 8.1%나 상승하는 등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독신가구 등 다양한 가구형태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중국의 싱글경제로 대표되는 이 계층은 충동구매 성향이 클 뿐 아니라 광고, 엔터네이먼트, 매체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트렌드를 창출하는 신소비층이다. 마스터카드, \"아시아의 미래 소비시장을 형성하는 10가지 역동적인 트렌드\", 2006
4) 사회문화 : 개인주의 확산/중화사상에 대한 향수
서구문화 및 가치관이 자리잡으면서 자기 중심적이면서 개성적인 삶을 추구하는 경향이 커지고, 인터넷의 발달로 글로벌 브랜드에도 친숙하게 되었다. 그리고 수천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중화사상과 유사상을 지키려는 복고적인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다.
2.3 중국의 소비환경 분석 삼성경제연구소 CEO 인포메이션 제 631호 중국 소비시장의 新조류
1) 현재지향적 소비
향후 소득증가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 짐에 따라 \'바로 지금\', \'젊음\'을 즐기려는 현재지향적 소비욕구가 커지고 신제품 및 프리미엄 제품 수요도 높아지고 있다.
2) Good-Enough 제품
프리미엄 제품보다 저렴하면서 품질은 보통 이상인 \'Good-Enough\' 제품은 IT, 가전 등에서 인기를 끌면서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 중산층 확대 및 소비자의 인식변화, 중국 로컬기업의 경쟁력 향상 등이 Good-Enough 제품의 시장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3) 유람소비
소득증대와 주5일 근무제 정착 등에 힘입어 돌아다니면서 구경하고 체험하며 견문을 축적하는 ‘유람소비’의 새로운 풍속도가 등장하였다. 휴일에 쇼핑센터나 백화점을 들리는 것 자체도 빠르게 변하는 세상을 체험하는 일종의 즐기는 형태로 총체적 즐김의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4) 그린소비
삶의 질이 높아지고 중국산 제품의 안전 문제가 자주 발생하자 고소득층을 중심으로 웰빙 및 신환경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산업화의 급진전, 중국산 제품의 안전 문제 발생등이 그린소비를 촉진하고 있다.
5) 네오패밀리즘
도시화, 산업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중국 특유의 가족형태와 서구적 형태의 새로운 가족구조가 공존하고 있다.
6) 사이버 차이니즈
인적 네트워크를 중시하는 \'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04.21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17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