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시대별 일본 문학 흐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각 시대별 일본 문학 흐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상대시대 (야마토시대)
1) 고지키(古事記) · 니혼쇼키(日本書紀) ∙ 후도키(風土記)의 성립
2) 만요슈 (萬葉集)의 성립
3) 문학 이념

(2) 중고시대 (헤이안시대)
1) 한시문의 융성
2) 고킨와카슈 (古今和歌集)의 성립
3) 모노가타리 문학(物語文學)
4) 일기문학(日記文學)
5) 수필·설화 문학
6) 문학 이념

(3) 중세시대 (가마쿠라 · 무로마치시대)
1) 〈신코킨와카슈 新古今和歌集〉의 성립
2) 후기 한시문과 와카·렌가집(連歌集)
3) 기코 모노가타리(擬古物語)
4) 군키 모노가타리(軍記物語)
5) 설화·일기·수필 / 기타 문학
6) 노(能)·교겐(狂言)
7) 문학 이념

(4) 근세시대 (에도시대)
1) 하이카이(俳諧)의 흥륭
2) 교카(狂歌)·센류(川柳)
3) 근세소설의 탄생
4) 에도의 소설
5) 조루리(淨瑠璃)·가부키(歌舞伎)
6) 문학 이념

(5) 근대시대 (도쿄시대)
1) 근대시
2) 단카
3) 하이쿠
4) 계몽기의 문학과 근대문학의 여명
5) 사실주의
6) 낭만주의
7) 자연주의
8) 반자연주의
9) 탐미파의 문학
10) 시라카바파(白樺派)의 문학
11) 신시초파와 사소설의 완성
12) 신감각파와 프롤레타리아 문학
13) 문화 통제하의 문학
14) 전후의 문학
15) 근대의 연극

본문내용

에 이른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요시미네 야스요(良岑安世), 후지와라 후유쓰구(藤原冬嗣), 오노 미네모리(小野岑守) 등을 들 수 있다.
2) 고킨와카슈 (古今和歌集)의 성립
섭관정치가 급속도로 쇠퇴하면서, 모노가타리를 창작·감상하던 궁정의 문화적 기반 역시 위축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마침내 10세기초에 칙명에 의한 〈고킨와카슈 古今和歌集〉(905) 가 편찬되었다. 〈고킨와카슈〉에는 약 1,100수의 와카가 춘가(春歌)·하가(夏歌)·추가(秋歌)·동가(冬歌)·하가(賀歌)·이별가(離別歌)·애상가(哀傷歌) 등의 20권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근간을 이루는 것은 사계가(四季歌)와 연가이다. 〈고킨와카슈〉의 시인으로는 편찬자인 기노 쓰라유키(紀貫之), 오시코우치 미쓰네(凡河內躬恒), 미부노 다다미네(壬生忠岑), 기노 도모노리(紀友則) 등이 유명하다.
3) 모노가타리 문학(物語文學)
9~10세기는 정치사적으로 괄목할 만한 전환기였다. 후지와라 씨(藤原氏)에 의해 추진된 율령정치가 후지와라 씨의 권세를 강화시켜 사적 섭관정치(攝關政治)의 길이 열리게 되는데, 상층 귀족의 권력투쟁의 그늘에서 중·하층 귀족은 불안한 상태에 놓였다. 이러한 현실적 상황에 대응하여 여러 형태의 산문문학이 발생했다. 모노가타리 문학의 원조라 일컫는 〈다케토리모노가타리 竹取物語〉(9 세기말~10세기 전반)는 고래의 전승을 바탕으로 허구의 세계를 전개한 전기적(傳奇的) 이야기인데, 상층 귀족의 생활을 풍자적으로 묘사하면서 지상의 인간의 무력함과 미의 영원성을 추구하는 작가의 낭만적인 사상을 표현한 작품이다.
이에 대하여 사회의 모든 현상을 작품 가운데에 수렴하여 광대한 인생을 암시한 54장의 대작이 〈겐지 모노가타리 源氏物語>이다. 작자는 무라사키 시키부(紫式部)이다. <겐지모노가타리>는 이상적 귀족인 주인공 히카루 겐지(光源氏)의 일생을 중심으로 그 아이들의 시대까지도 합쳐 소설이 지닐 수 있는 형식상의 자유성을 최대한으로 발휘, 우아한 귀족의 생활과 그 감정분석의 총화를 나타냈으며, 고전 후기뿐만 아니라 일본의 장편 산문소설의 최고봉으로 일컬어진다.
이 밖에도 옛날의 사실을 바탕으로 쓴 역사소설인 <레키시 모노가타리 史物語>도 있다.
4) 일기문학(日記文學)
전기적인 <다케토리 모노가타리〉에서 시작된 모노가타리 문학이 현실성을 지닌 산문표현으로 성숙해가는 동안, 한편에서 여성이 자신의 눈으로 사물을 보고 자신의 마음으로 진실을 파악하려는 움직임이 10세기 중엽부터 표면화되는데, 이러한 움직임이 최초로 결실을 맺은 것은 당시의 상류 귀족 후지와라 가네이에(藤原兼家)의 아내 (미치쓰나(道綱)의 어머니)가 쓴 〈가게로 일기〉(974)이다. 일부다처의 관습이 일반적이었던 당시, 불안과 고뇌 속에서 아내와 어머니로서 보낸 20여 년 간을 기록한 인생 고백이다. 〈도사 일기〉가 기행적 일기인 데 대해 〈가게로 일기〉는 자전적 일기이다. 이후 일기문학은 이 2가지 계통으로 발전했다. 특히 〈가게로 일기〉는 사건이나 줄거리 본위의 모노가타리와 대응하여 개인의 내면이나 심리구조를 추구하는 산문문학의 길을 열었다. 그밖에 사랑의 고뇌와 전말을 그린 〈이즈미시키부 일기 和泉式部日記〉(1004), 〈겐지 모노가타리〉의 작가 무라사키 시키부가 궁정생활에 관한 견문·감상을 서술한 〈무라사키 시키부 일기 紫式部日記〉(1008) 등 많은 여류 일기문학이 출현했다.
5) 수필·설화 문학
10~11세기에 섭관정치 전성기에 성립한 〈마쿠라노소시 枕草子〉(1000 경)는 작가 세이 쇼나곤(淸少納言)의 예리한 관찰력과 정확한 판단력, 사물을 선명하게 표현하는 묘사력, 예술적인 밀도가 짙고, 궁정여성의 생활을 생생하게 묘사하여 날카로운 감각과 섬세한 문장에 의해 독자적인 높은 위치를 차지하여 수필문학이라는 새로운 문학양식을 이루어냈다.
레키시 모노가타리를 출현시킨 헤이안 말기의 회고적 풍조는 또한 산재해 있던 설화·전설·구비(口碑) 등을 채록하려는 움직임으로 이어져 12세기 전반에 마침내 설화집 〈곤자쿠 모노가타리슈 今昔物語集〉(전31권)가 편찬되었다. 작가는 아마도 한자에 정통하고 불교에 지식이 풍부한 귀족이거나 승려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인도·중국·일본 3국의 설화가 1,000여 편 수록된 〈곤자쿠 모노가타리슈〉에는 불교설화가 700편에 이르나 단순히 교리를 위해 편집된 것이 아니라 귀족사회 바깥에 있는 서민의 생활에 입각해 신앙문제를 추구하려는 자세가 엿보이며, 민간설화에는 강한 감동을 가지고 다양한 인생의 단면을 생생하게 그리고 있다.
6) 문학 이념
중고시대의 문학 이념은 운문에서는 もののあはれ와 たおやめぶり가 있는데, 여기서 もののあはれ는 감동이 조화된 인간의 비애나 운명에 관련된 미의 세계를 나타내고, 또한 애련, 애석, 비애, 여성적이고 우아한 가풍을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산문에서는 운문에서와 마찬가지로 もののあはれ와 をかし(기분이 상쾌하고 즐겁고 밝은 느낌, 밝은 미의 세계)라고 규정할 수 있다.
(3) 중세시대 (가마쿠라 · 무로마치시대)
12세기말 1192무렵부터 17세기 초 1603이전까지의 약 400년간을 중세라고 하는데, 이 400년간은 가마쿠라 시대(1192~1333), 남북조·무로마치시대(1334~1573), 아즈치·모모야마시대(1574~1600)로 나눌 수 있다. 전대의 문학이 주로 교토 귀족계급 주도 아래 있었던 데 비해 중세의 문학은 귀족과 승려·은둔자·예능인 등에 의해 발달했다. 중세 문학의 특징은 교토 귀족문화와 지방 서민문화가 결합·형성된 점에 있다. 여러 차례에 걸쳐 일어난 전국적인 동란은 양 문화의 교류를 가능하게 했으며 은둔자·승려계급이 작가나 전승자로서 활약하는 장(場)을 마련해 주었다. 중세 문학의 대부분에 불교적 세계관인 무상관(無常觀)이 짙은 음영을 드리우고 있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1) 〈신코킨와카슈 新古今和歌集〉의 성립
가마쿠라 바쿠후가 설립되고 정치의 실권이 무가로 넘어갔으나, 귀족계급은 여전히 궁정정치와 귀족적 문학을 보호·유지하려 했다. 따라서 초기 20~30년간은 복고 풍조가 현저히 성행했고 특히 와카가 활기를 띠어 뛰어난 시인이 많이 배출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마침내 후지와라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6.21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61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