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로사와 아키라.
2. 라쇼몽과 7인의 사무라이
3. 구로사와 아키라가 받은 영향
2. 라쇼몽과 7인의 사무라이
3. 구로사와 아키라가 받은 영향
본문내용
시노부, 히사이타 에이지로 등으로 구성된 시나리오팀, 촬영감독 나카이 아사카즈가 구로사와의 단골 스탭들이다.
(3) 과감한 편집기법
구로사와는 존 포드와 윌리엄 와일러가 발전시킨 할리우드 고전양식을 받아들였지만 그 나름의 스타일로 이 양식을 현대화시켰다. 롱 쇼트와 극단적인 클로즈 업을 이어붙이거나 망원렌즈로 찍은 평평한 느낌의 화면과 광각렌즈로 담은 깊이감 있는 화면을 한편의 영화 안에 무리 없이 공존시킨다. 화면을 차근차근 정교하게 이어붙이는 것 같으면서도 강세를 주기 위한 튀는 편집도 마다하지 않는다. 이는 고전적인 편집기법에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 원리를 과감하게 응용해 발전시킨 수법이다. 장면 곳곳에 미세하지만 강력한 충돌효과가 발생하는 것이다.
2. 라쇼몽과 7인의 사무라이
1)그의 영화의 특징
(1)카메라기법
*라쇼몽:숲속으로나무를하러들어가는나무꾼을묘사할때구로사와는숲으로걸어가는나무꾼의전경,나무꾼의어깨위에실린도끼,나무꾼의얼굴표정,숲에찬란하게내려쬐는햇빛등을세밀한편집으로나눠보여주면서서서히긴장을높이고배경음악으로는라벨의(볼레로)를깔았다.30년대까지좀처럼클로즈업을볼수없었다고할만큼가부키와노의연극적전통이강했던일본영화계에서이런식의연출은보기드문것이었다.구로사와는관객에게관찰자의특권을줄수있는다양한거리와각도로이장면을자유롭게촬영했다.관객의호기심을불러일으키면서상황을가장잘보여주는최적의각도를찾아내는것이다.
*7인의사무라이:그는폭우속에서산적들이농촌마을을습격하는장면을촬영하면서정확하게어떤일이일어날지예측하는것이불가능하기에,종래의방식대로하나하나의장면들을촬영할경우액션이어떻게반복되고촬영될지확신할수없었기에3대의카메라를사용했다고한다.3대의카메라로3개의앵글로촬영해,전투장면의역동성을만들어내는것은당시로써는할리우드도놀랄만한일이었다.
(2)보이지않는장면
*라쇼몽:재판관을보여주지않은것처럼,재판관의역할을관객에게맡겨 더 큰 상상을 기대.
*7인의사무라이:사무라이간베이가머리를삭발하고스님으로변해주먹밥을들고오두막에들어가아이를인질로잡고있는도둑을베는장면이다.이장면에서구로사와감독은정작중요한사건을화면에서보여주지않는다.카메라는오두막안으로따라 들어가지않고,영화속관객들처럼바깥에서오두막안에서어떤일이벌어지는가를그저지켜보고만있을뿐이다.
2) 라쇼몽
(1) 시대적 배경
헤이안시대
후지와라씨가 수도에서 화려한 생활을 하고 있는 동안, 지방에서는 무사(武士)들이 세력을 넓혀 갔다. 무사는 유력한 호족을 중심으로 하여 무리를 이루었으나 그 중에서 특히 힘이 강했던 것이 겐지(源氏)와 다이라(平氏)였다.
11세기 중반이 지나, 후지와라씨의 독점적인 힘이 약해지게 되었고, 시라카와(白河)천황은, 천황의 자리에서 내려와서도 상황(上皇)이 되어, 원(院)이라고 불리는 곳에서 원정(院政)을 계속하며, 정치의 실권을 쥐고 있었기 때문에 섭정이나 관백은 이름뿐인 존재가 되었다.
12세기 중엽, 상황과 천황의 대립이 일어나고, 그것이 후지와라씨 일족의 싸움과 연결되어, 각각 겐지씨와 다이라씨의 무사를 자기편으로 하여 수도를 중심으로 싸우게 된다. 이를 호우겐·다이지의 난(1156, 1159 保元·平治の亂)이라고 하며, 이때부터 무사들은 중앙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2) 아쿠타가와류노스케의 소설『の中』를 영화화한 \"라쇼몽\"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 동경대 재학 중에 동인잡지「신사조」에 발표했던 『코』를, 소세키가 격찬해 문단에서 활약하게 된다. 왕조, 근세 초기의 크리스찬 문학, 에도시대의 인물·사건, 메이지의 문명개화기 등, 다양한 시대의 역사적 문헌에 소재를 취해, 스타일이나 문체를 구사한 많은 단편소설을 썼다. 체력의 쇠약과 「희미한 불안」으로부터 자살. 그 죽음은 다이쇼 시대 문학의 임종과 겹치고 있다. 대표작으로 「라쇼몽」「지옥변」「코」「토시
(3) 과감한 편집기법
구로사와는 존 포드와 윌리엄 와일러가 발전시킨 할리우드 고전양식을 받아들였지만 그 나름의 스타일로 이 양식을 현대화시켰다. 롱 쇼트와 극단적인 클로즈 업을 이어붙이거나 망원렌즈로 찍은 평평한 느낌의 화면과 광각렌즈로 담은 깊이감 있는 화면을 한편의 영화 안에 무리 없이 공존시킨다. 화면을 차근차근 정교하게 이어붙이는 것 같으면서도 강세를 주기 위한 튀는 편집도 마다하지 않는다. 이는 고전적인 편집기법에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 원리를 과감하게 응용해 발전시킨 수법이다. 장면 곳곳에 미세하지만 강력한 충돌효과가 발생하는 것이다.
2. 라쇼몽과 7인의 사무라이
1)그의 영화의 특징
(1)카메라기법
*라쇼몽:숲속으로나무를하러들어가는나무꾼을묘사할때구로사와는숲으로걸어가는나무꾼의전경,나무꾼의어깨위에실린도끼,나무꾼의얼굴표정,숲에찬란하게내려쬐는햇빛등을세밀한편집으로나눠보여주면서서서히긴장을높이고배경음악으로는라벨의(볼레로)를깔았다.30년대까지좀처럼클로즈업을볼수없었다고할만큼가부키와노의연극적전통이강했던일본영화계에서이런식의연출은보기드문것이었다.구로사와는관객에게관찰자의특권을줄수있는다양한거리와각도로이장면을자유롭게촬영했다.관객의호기심을불러일으키면서상황을가장잘보여주는최적의각도를찾아내는것이다.
*7인의사무라이:그는폭우속에서산적들이농촌마을을습격하는장면을촬영하면서정확하게어떤일이일어날지예측하는것이불가능하기에,종래의방식대로하나하나의장면들을촬영할경우액션이어떻게반복되고촬영될지확신할수없었기에3대의카메라를사용했다고한다.3대의카메라로3개의앵글로촬영해,전투장면의역동성을만들어내는것은당시로써는할리우드도놀랄만한일이었다.
(2)보이지않는장면
*라쇼몽:재판관을보여주지않은것처럼,재판관의역할을관객에게맡겨 더 큰 상상을 기대.
*7인의사무라이:사무라이간베이가머리를삭발하고스님으로변해주먹밥을들고오두막에들어가아이를인질로잡고있는도둑을베는장면이다.이장면에서구로사와감독은정작중요한사건을화면에서보여주지않는다.카메라는오두막안으로따라 들어가지않고,영화속관객들처럼바깥에서오두막안에서어떤일이벌어지는가를그저지켜보고만있을뿐이다.
2) 라쇼몽
(1) 시대적 배경
헤이안시대
후지와라씨가 수도에서 화려한 생활을 하고 있는 동안, 지방에서는 무사(武士)들이 세력을 넓혀 갔다. 무사는 유력한 호족을 중심으로 하여 무리를 이루었으나 그 중에서 특히 힘이 강했던 것이 겐지(源氏)와 다이라(平氏)였다.
11세기 중반이 지나, 후지와라씨의 독점적인 힘이 약해지게 되었고, 시라카와(白河)천황은, 천황의 자리에서 내려와서도 상황(上皇)이 되어, 원(院)이라고 불리는 곳에서 원정(院政)을 계속하며, 정치의 실권을 쥐고 있었기 때문에 섭정이나 관백은 이름뿐인 존재가 되었다.
12세기 중엽, 상황과 천황의 대립이 일어나고, 그것이 후지와라씨 일족의 싸움과 연결되어, 각각 겐지씨와 다이라씨의 무사를 자기편으로 하여 수도를 중심으로 싸우게 된다. 이를 호우겐·다이지의 난(1156, 1159 保元·平治の亂)이라고 하며, 이때부터 무사들은 중앙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2) 아쿠타가와류노스케의 소설『の中』를 영화화한 \"라쇼몽\"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 동경대 재학 중에 동인잡지「신사조」에 발표했던 『코』를, 소세키가 격찬해 문단에서 활약하게 된다. 왕조, 근세 초기의 크리스찬 문학, 에도시대의 인물·사건, 메이지의 문명개화기 등, 다양한 시대의 역사적 문헌에 소재를 취해, 스타일이나 문체를 구사한 많은 단편소설을 썼다. 체력의 쇠약과 「희미한 불안」으로부터 자살. 그 죽음은 다이쇼 시대 문학의 임종과 겹치고 있다. 대표작으로 「라쇼몽」「지옥변」「코」「토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