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굴암과 동서문화 교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석굴암과 동서문화 교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작하며

2. 석굴암에 대해

3. 석굴암의 과학과 건축양식

4. 고대의 동서문화 교류

본문내용

난 무역항으로, 외국인들의 내왕이 활발했다. 이슬람 국가들에 신라가 \'황금의 나라\'로 표현되고 있는 것도 같은 시기의 일이며 경주가 실크로드의 종착점이었다는 역사적 사실은 신라인들의 개방성에 대해 잘 말해주고 있다.
석굴암과 판테온, 동아시아와 유럽이라는 지리적, 역사적인 한계를 넘어서 양 건축물을 만든 예술인들이 추구하고자 했던 목표는 지고의 신에 대한 찬양과 모든 과학적 정수를 동원한 완벽한 건축물의 창조였을 것이다. 전혀 상관이 없어 보이는 문화이지만 그 유사성이 발견되는 것은 고대로부터 면면히 흘러온 동서 문화교류사의 흔적이라고 생각하면 지나친 생각일까? 또한 아득한 먼 옛날부터 문명과 문명을 가로지르며 개방된 마음으로 국제적이며 활기찬 문화를 창조하였던 우리 선조들의 능력에 새삼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불교와 불상, 돔형구조물
이 모든 것이 순수한 우리고유의 창작물은 아닐지언정, 외부의 것을 받아들여 독자적으로 해석하고 혼합시켜 새로운 문화형태로 창달한 신라 천년 건축, 예술, 과학, 그리고 불교문화의 정수인 우리 문화의 결정체 -석굴암-이 탄생한 것이다. 석굴암은 우리문화의 위대함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고대 동서양 과학의 최고봉이 만나 빚어낸 국제적인 예술 작품-전 세계인의 문화유산이 되는 셈이다.
※ 출 처
최용주, 《역사의 땅 경주 아름다운 전설과 함께하다》, (학연문화사, 2005).
최성은, 《우리문화유산을 찾아서 2-석불 돌에 새긴 정토의 꿈》, (한길아트, 2005).
성낙주, 《석굴암 그 이념과 미학》, (개마고원, 2005).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2》, (창작과 비평사).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7.05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93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