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CBC (Complete Blood Count) : 전혈구 검사 >
< 혈액응고검사 >
< 심장효소 검사 >
< 간기능검사-g-GT >
<Kidney Function Test (신장기능검사) >
<철 관련 혈액검사 및 정상수치>
< 당 관련 혈액 검사 >
< 전해질 검사 >
< 동맥혈 가스 분석 ABGA (arterial blood gas analysis) , SaO2 (Saturation of Arterial blood )>
< 종양 표식자 검사 >
< 염증지표검사 >
< 지질검사 >
<소변검사>
<객담검사(sputum)>
<초음파검사>
<MRI>
< 컴퓨터단층촬영 [computer tomography-CT] >
< 내시경검사 [內視鏡檢査, endoscopy] >
< 위경 [胃鏡, gastroscope] >
< 식도, 위, 십이지장 내시경 검사 (Esophagogastroduodenoscopy-EGDS) >위, 십이지장 X
< 대장경검사 >
< 수면내시경 [睡眠內視鏡, conscious sedation endoscope] >
< 상부 위장관조영술 (UGI series :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
< 혈액응고검사 >
< 심장효소 검사 >
< 간기능검사-g-GT >
<Kidney Function Test (신장기능검사) >
<철 관련 혈액검사 및 정상수치>
< 당 관련 혈액 검사 >
< 전해질 검사 >
< 동맥혈 가스 분석 ABGA (arterial blood gas analysis) , SaO2 (Saturation of Arterial blood )>
< 종양 표식자 검사 >
< 염증지표검사 >
< 지질검사 >
<소변검사>
<객담검사(sputum)>
<초음파검사>
<MRI>
< 컴퓨터단층촬영 [computer tomography-CT] >
< 내시경검사 [內視鏡檢査, endoscopy] >
< 위경 [胃鏡, gastroscope] >
< 식도, 위, 십이지장 내시경 검사 (Esophagogastroduodenoscopy-EGDS) >위, 십이지장 X
< 대장경검사 >
< 수면내시경 [睡眠內視鏡, conscious sedation endoscope] >
< 상부 위장관조영술 (UGI series :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
본문내용
3
1
114
30
1
15
150
2
27
1
10
63
혈장 및 간질액(세포외액)의 전해질 농도는 거의 같고 소듐과 염소 함량은 이들 세포 외액에서 현저히 높은 반면에 포타슘, 단백질 함량은 세포 내액에 월등하게 높다!
< 동맥혈 가스 분석 ABGA (arterial blood gas analysis) , SaO2 (Saturation of Arterial blood )>
※ ABGA의 목적
동맥혈 가스 분석은 폐의 가스 교환 능력을 알아보는 가장 주된 방법이며 중환자를 평가하고 관리하는데 가장 기본적으로 이용하는 검사이다.
동맥혈 가스분석은 PaCo2, PaO2를 측정하여 인공호흡기로 호흡하는 대상자와 COPD 등 폐질환을 갖고 있는 대상자의 호흡기능을 평가한다. 또한 동맥혈의 pH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인체의 산-염기평형 상태를 알 수 있다.
※ ABGA의 천자 부위 및 방법
보통 요골동맥, 상완동맥, 대퇴동맥에서 채혈하는데 요골동맥이 접근하기 쉽고 잘 만져지기 때문에 가장 많이 이용된다.
계속해서 ABGA를 할 필요가 있을 때는 여러번 천자하지 않고 요골동맥에 도관을 삽입하여 유치해 두고 채혈하기 위한 입구는 heparin으로 주사기를 한번 통과시킨 후 채혈한다. 이때 heparin의 양이 많으면 pH에 영향을 주어 그 결과가 산성쪽으로 기울게 되고, 양이 적으면 혈액이 응고되므로 주의한다. 채혈검사물에 공기가 섞이면 가스분석결과가 틀리게 나오므로 채혈 후 바늘 끝에 고무마개를 하여 공기를 차단시킨다. 보통 2.5ml의 혈액이면 충분히 검사할 수 있고 검사물은 채혈 즉시 얼음상자 안에 넣어 검사실로 보내야한다. 주사기 내에 있는 검사물 속에서도 확산이 계속 일어나므로 이 확산을 억제 시키기 위해 얼음 상자 안에 넣어야 한다. 완전하게 밀폐시켜 얼음상자에 넣은 검사물은 1시간정도는 안전하다.
※ 동맥혈 가스분석의 단계
1단계 : pH를 분류
정상 : 7.35 - 7.45
산증(acidosis) : 7.35이하
알칼리증(alkalosis) : 7.45이상
(주의)간호사는 잘못 수집된 동맥혈액으로 가스분석을 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상당히 주의를 한다하여도 잘못된 혈액가스자료가 가끔 발생하기에 혈액가스의 결과가 내적 일관성이 부족하거나 외적 조화가 부적합하면 혈액표본채취에 문제가 있거나 결과기록에 잘못이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간호진단
계획: 기대되는 결과
간호수행
합리적근거
비효율적 호흡양상과가스교환장애
아래와 같이 호흡양상과 가스교환상태가 좋아질 것이다
* 호흡률 정상범주내
* 호흡곤란없음
* 호흡음 깨끗함
* 동맥혈액가스정상
* SaO295%이상
1. 호흡상태를 모니터함.
-> 호흡률, 용량, 양상, 호흡음, 동맥혈액가스, SaO2
2. 호흡하기 좋은 체위를 유지하고 자주 체위를 교환
3. 허용되면 수분을 공급
4. 동통이나 발열 혹은 불안감이 있으면 이에 대해 간호
5. 기침과 심호흡을 교육하고 격려
6. 자주 흡인함.
호흡부전의 증후를 관찰하기 위함
호흡문제는 산성; 염기 불균형의 모든 장애에서 나타냄.
체위교환은 전체 폐의 호흡을 도와줌.
수분은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을 쉽게 함.
동통이나 열 불안 등은 호흡률을 증가시킴
기침 심호흡 및 흡인은 기도를 확보하여 호흡을 쉽게 도와줌
※ABGA의 천자후 처지
천자 부위에 드레싱을 하고 5~10분간 압박하여 천자 부위에서 출혈이 되지 않게 한다. 출혈 경향이 있거나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대상자라면 더 오래 동안 압박한다. 요골동맥을 천자하여 채혈할 때 손의 동맥 순환을 차단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요골동맥을 천자하기 전에 척골동맥을 통한 손의 측부순환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사용되는 검사법이 Allen test이다
< 종양 표식자 검사 >
종양표식자는 특정한 암에 걸린 일부 환자들의 혈액이나 소변 또는 신체 조직내에서 정상량보다 더 많이 검출될 수 있는 물질이다. 종양 자체에 의해 생산될 수도 있고 암이란 존재에 반응하는 신체의 작용에 의해 생산될 수도 있다.
암이 의심될 경우, 종양표식자를 검사할 땐 어느 한가지만 검사하진 않는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종양표식자들이 비암성일 경우에도 상승하는 수가 있으며 어떠한 종양표식자도 특정암에 국한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 모든 암 환자들에게서 종양표식자의 양이 많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특히 초기 단계의 암에선 종종 정상 범위인 경우가 많다.
이처럼 암을 진단할 때 종양표식자를 이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지만, 특정한 암에서만 나타나는 암 표식자를 찾는 것이 진단이나 치료에 중요하기 때문에 종양 표식자 검사를 시행한다. 더불어 종양 표식자의 변화를 살피게 되면 질병의 진행과정이나 치료 효과를 측정하고 재발을 체크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다음의 표는 각종 종양표식자로 알 수 있는 암의 유형들을 보여준다.
종양표식자
해당부위의 암
CEA (Carcinoembryonic antigen)
결장, 췌장, 위장, 폐, 유방
PSA (Prostate-specipic antigen)
전립선
PAP (Prostatic acid phosphatase)
전립선, 다발성 골수종, osteogenic(bone) sarcoma, 뼈에 퍼진 암
CA125
난소, 유방암, 결장직장암
AFP (Alpha-fetoprotein)
원발성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G (Human chorionic genadotropin)
trophoblastic disease (비정상적으로 수정된 난자에서 발생하는 드문 암) 그리고 드물게 유방암, 폐암, 췌장암, 난소암, 또는 위장 관계 암
LDH (Lactate dehydrogenase)
거의 모든 형태의 암.
NSE (Neuron-specific enolase)
neuroblastoma와 small cell lung cancer
<각종 종양표식자로 알 수 있는 암의 유형>
< 염증지표검사 >
몸 안에 염증이 있으면 그 부분에서 여분의 단백질이 나와서 혈류를 타고 순환한다. CRP와 ESR 혈액검사는 이런 단백질의 증가를 탐지한다. ESR과 CRP는 비특이적인 검사이기 때문에 수치가 올라갔다는 것도 ‘뭔가 잘못
1
114
30
1
15
150
2
27
1
10
63
혈장 및 간질액(세포외액)의 전해질 농도는 거의 같고 소듐과 염소 함량은 이들 세포 외액에서 현저히 높은 반면에 포타슘, 단백질 함량은 세포 내액에 월등하게 높다!
< 동맥혈 가스 분석 ABGA (arterial blood gas analysis) , SaO2 (Saturation of Arterial blood )>
※ ABGA의 목적
동맥혈 가스 분석은 폐의 가스 교환 능력을 알아보는 가장 주된 방법이며 중환자를 평가하고 관리하는데 가장 기본적으로 이용하는 검사이다.
동맥혈 가스분석은 PaCo2, PaO2를 측정하여 인공호흡기로 호흡하는 대상자와 COPD 등 폐질환을 갖고 있는 대상자의 호흡기능을 평가한다. 또한 동맥혈의 pH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인체의 산-염기평형 상태를 알 수 있다.
※ ABGA의 천자 부위 및 방법
보통 요골동맥, 상완동맥, 대퇴동맥에서 채혈하는데 요골동맥이 접근하기 쉽고 잘 만져지기 때문에 가장 많이 이용된다.
계속해서 ABGA를 할 필요가 있을 때는 여러번 천자하지 않고 요골동맥에 도관을 삽입하여 유치해 두고 채혈하기 위한 입구는 heparin으로 주사기를 한번 통과시킨 후 채혈한다. 이때 heparin의 양이 많으면 pH에 영향을 주어 그 결과가 산성쪽으로 기울게 되고, 양이 적으면 혈액이 응고되므로 주의한다. 채혈검사물에 공기가 섞이면 가스분석결과가 틀리게 나오므로 채혈 후 바늘 끝에 고무마개를 하여 공기를 차단시킨다. 보통 2.5ml의 혈액이면 충분히 검사할 수 있고 검사물은 채혈 즉시 얼음상자 안에 넣어 검사실로 보내야한다. 주사기 내에 있는 검사물 속에서도 확산이 계속 일어나므로 이 확산을 억제 시키기 위해 얼음 상자 안에 넣어야 한다. 완전하게 밀폐시켜 얼음상자에 넣은 검사물은 1시간정도는 안전하다.
※ 동맥혈 가스분석의 단계
1단계 : pH를 분류
정상 : 7.35 - 7.45
산증(acidosis) : 7.35이하
알칼리증(alkalosis) : 7.45이상
(주의)간호사는 잘못 수집된 동맥혈액으로 가스분석을 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상당히 주의를 한다하여도 잘못된 혈액가스자료가 가끔 발생하기에 혈액가스의 결과가 내적 일관성이 부족하거나 외적 조화가 부적합하면 혈액표본채취에 문제가 있거나 결과기록에 잘못이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간호진단
계획: 기대되는 결과
간호수행
합리적근거
비효율적 호흡양상과가스교환장애
아래와 같이 호흡양상과 가스교환상태가 좋아질 것이다
* 호흡률 정상범주내
* 호흡곤란없음
* 호흡음 깨끗함
* 동맥혈액가스정상
* SaO295%이상
1. 호흡상태를 모니터함.
-> 호흡률, 용량, 양상, 호흡음, 동맥혈액가스, SaO2
2. 호흡하기 좋은 체위를 유지하고 자주 체위를 교환
3. 허용되면 수분을 공급
4. 동통이나 발열 혹은 불안감이 있으면 이에 대해 간호
5. 기침과 심호흡을 교육하고 격려
6. 자주 흡인함.
호흡부전의 증후를 관찰하기 위함
호흡문제는 산성; 염기 불균형의 모든 장애에서 나타냄.
체위교환은 전체 폐의 호흡을 도와줌.
수분은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을 쉽게 함.
동통이나 열 불안 등은 호흡률을 증가시킴
기침 심호흡 및 흡인은 기도를 확보하여 호흡을 쉽게 도와줌
※ABGA의 천자후 처지
천자 부위에 드레싱을 하고 5~10분간 압박하여 천자 부위에서 출혈이 되지 않게 한다. 출혈 경향이 있거나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대상자라면 더 오래 동안 압박한다. 요골동맥을 천자하여 채혈할 때 손의 동맥 순환을 차단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요골동맥을 천자하기 전에 척골동맥을 통한 손의 측부순환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사용되는 검사법이 Allen test이다
< 종양 표식자 검사 >
종양표식자는 특정한 암에 걸린 일부 환자들의 혈액이나 소변 또는 신체 조직내에서 정상량보다 더 많이 검출될 수 있는 물질이다. 종양 자체에 의해 생산될 수도 있고 암이란 존재에 반응하는 신체의 작용에 의해 생산될 수도 있다.
암이 의심될 경우, 종양표식자를 검사할 땐 어느 한가지만 검사하진 않는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종양표식자들이 비암성일 경우에도 상승하는 수가 있으며 어떠한 종양표식자도 특정암에 국한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 모든 암 환자들에게서 종양표식자의 양이 많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특히 초기 단계의 암에선 종종 정상 범위인 경우가 많다.
이처럼 암을 진단할 때 종양표식자를 이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지만, 특정한 암에서만 나타나는 암 표식자를 찾는 것이 진단이나 치료에 중요하기 때문에 종양 표식자 검사를 시행한다. 더불어 종양 표식자의 변화를 살피게 되면 질병의 진행과정이나 치료 효과를 측정하고 재발을 체크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다음의 표는 각종 종양표식자로 알 수 있는 암의 유형들을 보여준다.
종양표식자
해당부위의 암
CEA (Carcinoembryonic antigen)
결장, 췌장, 위장, 폐, 유방
PSA (Prostate-specipic antigen)
전립선
PAP (Prostatic acid phosphatase)
전립선, 다발성 골수종, osteogenic(bone) sarcoma, 뼈에 퍼진 암
CA125
난소, 유방암, 결장직장암
AFP (Alpha-fetoprotein)
원발성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G (Human chorionic genadotropin)
trophoblastic disease (비정상적으로 수정된 난자에서 발생하는 드문 암) 그리고 드물게 유방암, 폐암, 췌장암, 난소암, 또는 위장 관계 암
LDH (Lactate dehydrogenase)
거의 모든 형태의 암.
NSE (Neuron-specific enolase)
neuroblastoma와 small cell lung cancer
<각종 종양표식자로 알 수 있는 암의 유형>
< 염증지표검사 >
몸 안에 염증이 있으면 그 부분에서 여분의 단백질이 나와서 혈류를 타고 순환한다. CRP와 ESR 혈액검사는 이런 단백질의 증가를 탐지한다. ESR과 CRP는 비특이적인 검사이기 때문에 수치가 올라갔다는 것도 ‘뭔가 잘못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