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투석
1) 투석의 정의
2) 투석의 목적
3) 투석의 적응증
2. 투석의 종류
1) 혈액투석
(1) 투석의 원리
(2) 투석 장치의 요소
(3) 투석의 방법
(4) 혈액투석의 합병증
(5) 혈액투석환자의 간호
2) 복막투석
(1) 복막투석의 원리와 종류
(2) 복막투석 방법
(3) 복막투석의 합병증
(4) 복막투석 환자의 간호
1) 투석의 정의
2) 투석의 목적
3) 투석의 적응증
2. 투석의 종류
1) 혈액투석
(1) 투석의 원리
(2) 투석 장치의 요소
(3) 투석의 방법
(4) 혈액투석의 합병증
(5) 혈액투석환자의 간호
2) 복막투석
(1) 복막투석의 원리와 종류
(2) 복막투석 방법
(3) 복막투석의 합병증
(4) 복막투석 환자의 간호
본문내용
정확하게 지혈한다.
④ 사용한 천자바늘, 체외회로 및 투석기는 분리수거 한다.
⑤ 투석액을 오염된 투석기계를 정수 물 및 적당한 소독제로 소독하여 다음 투석을 위 한 기계준비를 한다.
♣ 투석 후 간호
① 투석 종료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활력징후를 측정한 후 경과를 확인하고 기록한다.
② 투석후 체중을 측정하여 환자가 건체중에 도달했는지 확인한 후 기록한다. 만약 건 체중에 도달하지 못했다면 다음 투석시까지 주의사항, 체중조절, 식이관리 등을 환 자에게 교육한다.
③ 환자가 투석후 혈압 변동이 있을 경우는 안정을 취한후 다시 혈압을 측정하여 안정 범위인 것을 확인하고 귀가한다.
④ 환자가 투석후 혈압 동정맥루의 개방성, 저혈압 및 혈종생성 여부를 확인한다.
⑤ 체외회로 및 투석기계에 혈액응고 정도를 확인하여 항응고제 적절성을 확인한다.
⑥ 일시도관일 경우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해 헤파린 용액으로 일시도관을 채워 주어 다 음 투석시까지 응고 되지 않도록 한다.
2) 복막투석(peritoneal dialysis)
복막의 작은 모세혈관이 다량 분포되어 복강을 둘러싼 복막이 반투막으로 작용함.
1~2L 의 투석액을 복강을 주입한 후 용액을 복강안에 머물러 있게 하여 복막을 통해서 혈중의 노폐물과 수분이 복강안으로 빠져 나오게 함.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용액을 카테터를 통해 복강으로부터 배액시킴
급성복막투석 1시간 간격으로 반복함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은 하루 3~4회 반목함
♣ 복막투석의 적응증
15세 이하의 어린이가 투석을 하게 되었을 때(다량의 단백질이 필요로 하기때문)
고령의 환자 (동맥경화증이 있어 혈관확보 여려움)
당뇨, 심혈관계에 이상 있는 경우
(1) 복막투석의 원리와 종류
환산 - 노폐물과 독성물질이 제거됨.
삼투작용 - 체내 과잉수분이 제거됨.
투석액내에 포도당을 첨가하여 혈액보다 삼투압을 높여줌으로써 혈중의 수분을 제거.
지속성 외래복막투석(CAPD) - 투석액을 하루에 3~5회 교환해줌.
지속성 순환기 보조 복막투석(CCPD) - 밤에 자동순환기를 이용하여 4~5회 교환해줌.
간헐적 복막 투석(IPD) - 일주일에 4일을 하루에 10시간씩 30분마다 교환해 줌.
(2) 복막투석 방법
투석액을 주입하고 일정시간동안 의 복강내 저류한 후 투석액을 배출하는 과정.
교환조작은 1회 30~40분이 소요됨.
투석액의 주입과 배액은 중력의 힘에 의해 이루어짐
투석액은 37℃ 정도로 가온하여 사용함
→ 환자의 추위를 방지해주고 복막혈관을 확장시켜 물질의 교환을 촉진시킴.
(3) 복막 투석의 합병증
복막염, 카테터관련 합병증, 복막투석 관련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음.
복막염의 증상 - 발열, 오심, 복부통증, 혼탁한 투석액의 배출
→ 항생제를 쓰거나 투석액에 섞여 투여함.
카테터 관련 합병증 - 카테터의 변위, 페색, 카테터 출구 부위 감염, 투석액 누출등
통증 - 투석액의 빠른 주입, 투석액의 산도가 부적당 할 때.
공기가 들어가면서 횡경막을 따라 모여 어깨 통증 유발
복강내 압력이 증가하여 탈장이나 요통이 발생할 수 있음.
투석중 포도당이 체내로 흡수되어 비만이나 고지혈증을 유발.
(4) 복막 투석 환자의 간호
활력징후와 체중, 부종, 투석배액의 색깔과 혼탁도를 관찰.
수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수분섭취와 배설량을 사정, 혈액검사수치 사정함.
합병증 여부와 카테터 출구부위를 매일 깨끗이 소독함.
복막투석액으로 단백질 손실이 있으므로 단백질 섭취를 해야함.
복막염 예방을 위한 청결한 몸 관리와 투석액 교환시의 환경 관리(무균적)
※ 참고문헌
서문자외(2004) 성인간호학 하 네 번째판 수문사
④ 사용한 천자바늘, 체외회로 및 투석기는 분리수거 한다.
⑤ 투석액을 오염된 투석기계를 정수 물 및 적당한 소독제로 소독하여 다음 투석을 위 한 기계준비를 한다.
♣ 투석 후 간호
① 투석 종료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활력징후를 측정한 후 경과를 확인하고 기록한다.
② 투석후 체중을 측정하여 환자가 건체중에 도달했는지 확인한 후 기록한다. 만약 건 체중에 도달하지 못했다면 다음 투석시까지 주의사항, 체중조절, 식이관리 등을 환 자에게 교육한다.
③ 환자가 투석후 혈압 변동이 있을 경우는 안정을 취한후 다시 혈압을 측정하여 안정 범위인 것을 확인하고 귀가한다.
④ 환자가 투석후 혈압 동정맥루의 개방성, 저혈압 및 혈종생성 여부를 확인한다.
⑤ 체외회로 및 투석기계에 혈액응고 정도를 확인하여 항응고제 적절성을 확인한다.
⑥ 일시도관일 경우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해 헤파린 용액으로 일시도관을 채워 주어 다 음 투석시까지 응고 되지 않도록 한다.
2) 복막투석(peritoneal dialysis)
복막의 작은 모세혈관이 다량 분포되어 복강을 둘러싼 복막이 반투막으로 작용함.
1~2L 의 투석액을 복강을 주입한 후 용액을 복강안에 머물러 있게 하여 복막을 통해서 혈중의 노폐물과 수분이 복강안으로 빠져 나오게 함.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용액을 카테터를 통해 복강으로부터 배액시킴
급성복막투석 1시간 간격으로 반복함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은 하루 3~4회 반목함
♣ 복막투석의 적응증
15세 이하의 어린이가 투석을 하게 되었을 때(다량의 단백질이 필요로 하기때문)
고령의 환자 (동맥경화증이 있어 혈관확보 여려움)
당뇨, 심혈관계에 이상 있는 경우
(1) 복막투석의 원리와 종류
환산 - 노폐물과 독성물질이 제거됨.
삼투작용 - 체내 과잉수분이 제거됨.
투석액내에 포도당을 첨가하여 혈액보다 삼투압을 높여줌으로써 혈중의 수분을 제거.
지속성 외래복막투석(CAPD) - 투석액을 하루에 3~5회 교환해줌.
지속성 순환기 보조 복막투석(CCPD) - 밤에 자동순환기를 이용하여 4~5회 교환해줌.
간헐적 복막 투석(IPD) - 일주일에 4일을 하루에 10시간씩 30분마다 교환해 줌.
(2) 복막투석 방법
투석액을 주입하고 일정시간동안 의 복강내 저류한 후 투석액을 배출하는 과정.
교환조작은 1회 30~40분이 소요됨.
투석액의 주입과 배액은 중력의 힘에 의해 이루어짐
투석액은 37℃ 정도로 가온하여 사용함
→ 환자의 추위를 방지해주고 복막혈관을 확장시켜 물질의 교환을 촉진시킴.
(3) 복막 투석의 합병증
복막염, 카테터관련 합병증, 복막투석 관련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음.
복막염의 증상 - 발열, 오심, 복부통증, 혼탁한 투석액의 배출
→ 항생제를 쓰거나 투석액에 섞여 투여함.
카테터 관련 합병증 - 카테터의 변위, 페색, 카테터 출구 부위 감염, 투석액 누출등
통증 - 투석액의 빠른 주입, 투석액의 산도가 부적당 할 때.
공기가 들어가면서 횡경막을 따라 모여 어깨 통증 유발
복강내 압력이 증가하여 탈장이나 요통이 발생할 수 있음.
투석중 포도당이 체내로 흡수되어 비만이나 고지혈증을 유발.
(4) 복막 투석 환자의 간호
활력징후와 체중, 부종, 투석배액의 색깔과 혼탁도를 관찰.
수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수분섭취와 배설량을 사정, 혈액검사수치 사정함.
합병증 여부와 카테터 출구부위를 매일 깨끗이 소독함.
복막투석액으로 단백질 손실이 있으므로 단백질 섭취를 해야함.
복막염 예방을 위한 청결한 몸 관리와 투석액 교환시의 환경 관리(무균적)
※ 참고문헌
서문자외(2004) 성인간호학 하 네 번째판 수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