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corticosteroid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cyclosporine이나 colchincine는 또한 심한 질병에서 매우 유용하다. colchicine과 thalidomide는 표피점막과 소화관계 증상에 매우 유용하다. 전신적인 corticosteroid는 치료의 주된 요소로 남아있고, 특별히 면역억제제가 효과를 발휘하기 전까지 질병을 빠르게 조절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plasmapheresis는 또한 응급상황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전신적 치료에 의해 적절하지 않게 조절된 구강 점막 병변은 RAS의 분야로 설명되어지는 지배적인 병소에 도포나 병변내로의 스테로이드 처리로 치료할수 있다.
재발성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감염
구강의 재발성 헤르페스 감염은 이전에 헤르페스 심플렉스 감염을 겪었거나 다른 외인적인 일차 감염에 대한 혈청 항체를 지닌 사람에게서 발생한다. 만약 건강한 사람이 아니라면, 재발성 감염은 피부와 점막의 막에 국소적인 부분에만 제한된다. 재발성 헤르페스는 재감염이 아닌 복제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증상 발현 사이에 신경 조직에 잔존해있던 바이러스의 재활성화이다. 헤르페스 심플렉스는 인간 사체의 삼차 신경절에서 발견되고, 재발성 헤르페스 병변은 일반적으로 수술후 연관된 신경절에서 나타난다. 재발성 헤르페스는 또한 입술의 외상, 열, 태양광선에 의한 화상, 면역억제 그리고 월경에 의해서 활성화 되기도 한다. 바이러스는 신경체 아래로 표피를 감염시키기 위해 이동하며 세포로부터 세포로 병소를 유발하기 위해 퍼져나간다.
출판되어진 각종 근거들은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구강내 부위의 재발성 헤르페스 감염은 점막이 아닌 오직 입술에만 발생한다고 믿게 만드는 헤르페스바이러스에 의해 RAS가 유발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는 틀린것으로 보여진다. RAS와 헤르페스 병소는 둘다 구강 밖에서 존재할수 있으며 두개의 분리되고 감별되어지는 병적 과정을 지닌다.
일차성 헤르페스 감염을 경험한 모든 환자들이 재발성 헤르페스를 겪는것은 아니다. 계속하여 재발성 HSV 감염을 경험한 일차성 HSV 성기 감염의 병력이 있는 환자들의 수는 대략 15퍼센트 정도이다. 구강 HSV1 감염의 재발율은 대략 20에서 40퍼센트 정도로 추정된다.
연구들은 잔존한 HSV의 재활성화에 대한 몇가지 기전을 제안하였는데, 낮은 혈청 IgA, 감소된 세포 매개 면역성, 감소된 타액 헤르페스저항성, ADCC(antibody-dependent cell-medicated cytotoxicity)의 감소와 프로스타글란딘에 의해 피부에서 발생하는 인터루킨-2를 들수있다.
에이즈나 조직이식, 혹은 항암치료에 의한 T 림프구 결핍 환자에서 큰 만성 병소로 발전할수도 있다. 혹은 드물게, HSV 감염이 넓게 전이되는 경우도 있다.
임상 소견
RHL는 일반적으로 cold sore나 fever blister를 지니는데, 열, 월경, 자외선, 그리고 아마 정서적인 스트레스에 의해서 갑자기 생겨나게 되는듯 하다. 병소들은 따끔거리는 듯하고 타는 듯한 전구 증상 기간에 의해 진행되어진다. 이는 병소에 존재하는 부종에 의해 일어나게 되며, 작은 수포들의 군집 형성에 뒤따라서 나타난다. 각각의 수포들은 1~ 3mm정도의 직경을 가지며, 군집의 크기는 1~2cm 정도를 이룬다. 때때로, 병소의 직경은 수센티미터까지 될수도 있으며, 불편감과 흉한 모습을 띄게 된다. 이 커다란 병소는 면역 억제된 환자에서 보다 일반적이다. 재발의 빈도는 다양하다.
일반적인 환자에 있어서 RIH는 표면상 RHL 병소와 유사하게 보이지만, 수포가 터져 빠르게 궤양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비록 RIH병소가 때때로 다른 점막표면을 침범할지라도, 병소는 전형적으로 작은 수포나 궤양의 군집이며, 1~2 mm의 직경을 지니고, 치은, 구개, 치조의 과각화된점막의 작은 부분에 군집을 이룬다. 대조적으로 RAS는 보다 커지고 점막의 넓은 부위로 퍼지며 보다 덜 과각화된 협점막, 입술점막, 혹은 구강저에 편중된다.
진단
만약 실험적 검사가 요구된다면, RIH는 RAS와 새로운 병소의 기저로부터 얻어진 세포학적 smear에 의해 구분될수 있다. gerpetic 병소로 부터 얻어진 smear들은 ballooning degeneration과 다핵성거대세포를 동반하는 세포를 보이며, RAS는 그러하지 못하다. 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위해, 세포학적 smear는 형광학적 HSV 항원을 사용한 HSV 검사를 해야한다. 바이러스의 배양은 또한 헤르페스 심플렉스를 다른 바리러스성 병소 특히 바리셀라 조스터 감염으로부터 감별하는데 사용된다.
치료
입술과 구강의 재발성 헤르페스 감염은 불편감 그 이상의 정도로 일반적인 사람에게 나타나지 않으며 그 처치도 증상완화를 위한 처치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잦은 빈도의 크고 고통스럽거나 흉측한 병소를 지닌 환자들에게는 전문적인 협진이 필요할 수도 있다. 임상가들은 첫번째로 명확한 trigger를 최소하하기 위한 시도를 해야 한다. 몇몇 재발들은 태양광에 도출되어 있는 동안 이를 차단해 줌으로 제거할수도 있다.
약제는 새 재발 병소의 치유 시간을 줄이고 형성을 억제하는데 유용하다. 오리지날 항헤르페스성 약물인 Acyclovir는 안정성과 효과 모두를 보여왔다. 새로운 항바이러스성 약제인 cyclovir의 전구 약물인 valaclovir, penciclovir의 전구 약물인 famciclovir는 acyclovir보다 더 큰 생체 안정성을 지니고 있으나 잔존하는 HSV의 제거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마우스 모델에서, famciclovir는 HSV의 잠복을 줄였다. 사람의 HSV 감염에서 이러한 발견의 임상적 중요성은 알려져있지 않다. 성기 HSV의 재발 예방을 위한 이러한 항헤르페스성 약물의 효과가 널리 연구되고 있다. 400mg의 acyclovir를 하루 두번, valacyclovir 250mg을 하루에 두번, famciclovir 250mg이 성기 병소 재발 예방에 매우 높은 효과를 각각 보였다.
일반적 개인에서 RHL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항헤르페스성 nucleoside analogue의 사용은 아직 논쟁중이다. 전
corticosteroid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cyclosporine이나 colchincine는 또한 심한 질병에서 매우 유용하다. colchicine과 thalidomide는 표피점막과 소화관계 증상에 매우 유용하다. 전신적인 corticosteroid는 치료의 주된 요소로 남아있고, 특별히 면역억제제가 효과를 발휘하기 전까지 질병을 빠르게 조절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plasmapheresis는 또한 응급상황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전신적 치료에 의해 적절하지 않게 조절된 구강 점막 병변은 RAS의 분야로 설명되어지는 지배적인 병소에 도포나 병변내로의 스테로이드 처리로 치료할수 있다.
재발성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감염
구강의 재발성 헤르페스 감염은 이전에 헤르페스 심플렉스 감염을 겪었거나 다른 외인적인 일차 감염에 대한 혈청 항체를 지닌 사람에게서 발생한다. 만약 건강한 사람이 아니라면, 재발성 감염은 피부와 점막의 막에 국소적인 부분에만 제한된다. 재발성 헤르페스는 재감염이 아닌 복제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증상 발현 사이에 신경 조직에 잔존해있던 바이러스의 재활성화이다. 헤르페스 심플렉스는 인간 사체의 삼차 신경절에서 발견되고, 재발성 헤르페스 병변은 일반적으로 수술후 연관된 신경절에서 나타난다. 재발성 헤르페스는 또한 입술의 외상, 열, 태양광선에 의한 화상, 면역억제 그리고 월경에 의해서 활성화 되기도 한다. 바이러스는 신경체 아래로 표피를 감염시키기 위해 이동하며 세포로부터 세포로 병소를 유발하기 위해 퍼져나간다.
출판되어진 각종 근거들은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구강내 부위의 재발성 헤르페스 감염은 점막이 아닌 오직 입술에만 발생한다고 믿게 만드는 헤르페스바이러스에 의해 RAS가 유발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는 틀린것으로 보여진다. RAS와 헤르페스 병소는 둘다 구강 밖에서 존재할수 있으며 두개의 분리되고 감별되어지는 병적 과정을 지닌다.
일차성 헤르페스 감염을 경험한 모든 환자들이 재발성 헤르페스를 겪는것은 아니다. 계속하여 재발성 HSV 감염을 경험한 일차성 HSV 성기 감염의 병력이 있는 환자들의 수는 대략 15퍼센트 정도이다. 구강 HSV1 감염의 재발율은 대략 20에서 40퍼센트 정도로 추정된다.
연구들은 잔존한 HSV의 재활성화에 대한 몇가지 기전을 제안하였는데, 낮은 혈청 IgA, 감소된 세포 매개 면역성, 감소된 타액 헤르페스저항성, ADCC(antibody-dependent cell-medicated cytotoxicity)의 감소와 프로스타글란딘에 의해 피부에서 발생하는 인터루킨-2를 들수있다.
에이즈나 조직이식, 혹은 항암치료에 의한 T 림프구 결핍 환자에서 큰 만성 병소로 발전할수도 있다. 혹은 드물게, HSV 감염이 넓게 전이되는 경우도 있다.
임상 소견
RHL는 일반적으로 cold sore나 fever blister를 지니는데, 열, 월경, 자외선, 그리고 아마 정서적인 스트레스에 의해서 갑자기 생겨나게 되는듯 하다. 병소들은 따끔거리는 듯하고 타는 듯한 전구 증상 기간에 의해 진행되어진다. 이는 병소에 존재하는 부종에 의해 일어나게 되며, 작은 수포들의 군집 형성에 뒤따라서 나타난다. 각각의 수포들은 1~ 3mm정도의 직경을 가지며, 군집의 크기는 1~2cm 정도를 이룬다. 때때로, 병소의 직경은 수센티미터까지 될수도 있으며, 불편감과 흉한 모습을 띄게 된다. 이 커다란 병소는 면역 억제된 환자에서 보다 일반적이다. 재발의 빈도는 다양하다.
일반적인 환자에 있어서 RIH는 표면상 RHL 병소와 유사하게 보이지만, 수포가 터져 빠르게 궤양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비록 RIH병소가 때때로 다른 점막표면을 침범할지라도, 병소는 전형적으로 작은 수포나 궤양의 군집이며, 1~2 mm의 직경을 지니고, 치은, 구개, 치조의 과각화된점막의 작은 부분에 군집을 이룬다. 대조적으로 RAS는 보다 커지고 점막의 넓은 부위로 퍼지며 보다 덜 과각화된 협점막, 입술점막, 혹은 구강저에 편중된다.
진단
만약 실험적 검사가 요구된다면, RIH는 RAS와 새로운 병소의 기저로부터 얻어진 세포학적 smear에 의해 구분될수 있다. gerpetic 병소로 부터 얻어진 smear들은 ballooning degeneration과 다핵성거대세포를 동반하는 세포를 보이며, RAS는 그러하지 못하다. 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위해, 세포학적 smear는 형광학적 HSV 항원을 사용한 HSV 검사를 해야한다. 바이러스의 배양은 또한 헤르페스 심플렉스를 다른 바리러스성 병소 특히 바리셀라 조스터 감염으로부터 감별하는데 사용된다.
치료
입술과 구강의 재발성 헤르페스 감염은 불편감 그 이상의 정도로 일반적인 사람에게 나타나지 않으며 그 처치도 증상완화를 위한 처치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잦은 빈도의 크고 고통스럽거나 흉측한 병소를 지닌 환자들에게는 전문적인 협진이 필요할 수도 있다. 임상가들은 첫번째로 명확한 trigger를 최소하하기 위한 시도를 해야 한다. 몇몇 재발들은 태양광에 도출되어 있는 동안 이를 차단해 줌으로 제거할수도 있다.
약제는 새 재발 병소의 치유 시간을 줄이고 형성을 억제하는데 유용하다. 오리지날 항헤르페스성 약물인 Acyclovir는 안정성과 효과 모두를 보여왔다. 새로운 항바이러스성 약제인 cyclovir의 전구 약물인 valaclovir, penciclovir의 전구 약물인 famciclovir는 acyclovir보다 더 큰 생체 안정성을 지니고 있으나 잔존하는 HSV의 제거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마우스 모델에서, famciclovir는 HSV의 잠복을 줄였다. 사람의 HSV 감염에서 이러한 발견의 임상적 중요성은 알려져있지 않다. 성기 HSV의 재발 예방을 위한 이러한 항헤르페스성 약물의 효과가 널리 연구되고 있다. 400mg의 acyclovir를 하루 두번, valacyclovir 250mg을 하루에 두번, famciclovir 250mg이 성기 병소 재발 예방에 매우 높은 효과를 각각 보였다.
일반적 개인에서 RHL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항헤르페스성 nucleoside analogue의 사용은 아직 논쟁중이다. 전
추천자료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 관한 연구
정신분석적 이론
[프로이드][정신분석][정신분석 치료][꿈의해석][방어기제]프로이드의 정신분석과 정신분석 ...
대장암수술전후간호
내분비계진단검사
프로이트-영혼의 해방을 위하여
생리학 요약정리 1장~7장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비판,심리성욕발달단계,정신분석모델,정신분...
[인간과심리A]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하여 논하시오
프로이드 생애, 정신분석 이론, 심리성적 발달단계, 비판적 검토, 시사점, 현대 정신분석학적...
공중 보건학 요약 - 4주차 영양과 운동 & 5주차 식품위생
[청소년교육과] [가족상담및치료] 정신분석이론의 전제와 주요 개념, 가족상담 및 치료 영역...
[정신분석상담] 정신분석상담의 주요개념, 정신분석적 상담이론의 상담과정 및 상담기법
A+ 크론병 케이스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