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관계문헌의 개요
Ⅱ. 본 론
1. 개인건강사정
간호력, 신체검진 자료
2. 일반 및 특수 진단검사
3. 치료계획
식이, 특수치료, 외과적 치료, 약물치료
4. 간호과정 적용
가. 간호문제 목록 작성
나. 원인요소를 포함한 간호진단 설정
다. 목표 수립, 계획, 중재, 평가 적용
라. 그 외의 간호진단
5. 대상자의 퇴원교육 및 추후관리
Ⅲ. 결 론
참고문헌 제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관계문헌의 개요
Ⅱ. 본 론
1. 개인건강사정
간호력, 신체검진 자료
2. 일반 및 특수 진단검사
3. 치료계획
식이, 특수치료, 외과적 치료, 약물치료
4. 간호과정 적용
가. 간호문제 목록 작성
나. 원인요소를 포함한 간호진단 설정
다. 목표 수립, 계획, 중재, 평가 적용
라. 그 외의 간호진단
5. 대상자의 퇴원교육 및 추후관리
Ⅲ. 결 론
참고문헌 제시
본문내용
증
#3 외과적 절개부위, 각종 tube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3) 목표 수립, 계획, 중재, 평가 적용
#1. 수술부위의 통증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기도청결
객관적 자료
op day 임
심호흡을 하려고 하거나 inspirometer exrcise를 하려고 할때
얼굴을 찌뿌림
목표
호흡수, 깊이, 리듬이 정상적으로 유지된다
스스로 심호흡과 기침을 할 수 있다
inspirometer를 500ml이상 유지한다
계획 및 수행
호흡 양상을 사정한다.
수술 부위를 지지하고 1시간마다 10회씩 심호흡 하도록 격려함
수술 후 환자 옆에 가습기를 두어 적절한 습도를 유지한다.
흡기보다 호기를 2배 길게 호흡할 수 있도록 돕는다.
수술 후 생길 수 있는 폐 합병증에 대해 대상자에게 교육한다.
2시간마다 체위 변경과 흉부 물리법(타진법, 진동법)으로 객담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가슴을 팽창 시킬 수 있도록 semi-Fowler 체위를 취해준다.
평가
호흡수, 깊이, 리듬이 정상적이다
기침시 묽은 점액이 배출된다
inspirometer 잘함, 700ml까지 가능하다
#2. 외과적 절개부위와 관련된 통증
객관적 자료
5/18일 LAR 수술하심
PCA apply 중으로 10점 numeric scale로 7임
op site medifoam dressing 되어 있으며, oozing 없음
JP drain 1개로 serosanguineous 양상으로 배액되고 있음
foley cath 통해 straw양상의 소변 배액되고 있음
op wound pain 호소하며 진통제 원함
목표
v/s 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op wound pain이 numeric scale로 5이하로 가라앉는다
계획 및 수행
2시간 마다 v/s check
동통 경험에 대해 표현하도록 격려함
semi-fowler\'s position 취하고 A/C&D/B 격려함
O2 2l/min mask (FM) inhalation함
가습기 제공함
prn 처방에 따라 pethidine 50mg + ns 50ml mix IV함
환자에게 통증의 원인, 지속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통증으로 인한 불안을 감소시킨다
평가
진통제 투여후 op wound pain 많이 가라앉았다고 함(scale 4)
AC/DB/CH 잘함
걷거나 앉는데 조금 땡기지만 참을만 하다고 한다
v/s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3. 외과적 절개부위, 각종 tube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객관적 자료
5/18일 LAR 수술하심
op wound에 medifoam dressing 되어 있으며, oozing 없음
JP drain 1개로 serosanguineous 양상으로 배액되고 있음
지속적인 미열 (37.2℃~37.1℃)
foley cath 통해 straw양상의 소변 배액되고 있음
목표
체온이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감염을 나타내는 증상, 징후가 없다
계획 및 수행
AC/DB/CH 방법 교육한다
조기이상과 호흡기 간호의 중요성 강조한다
inspirometer 방법 교육 및 시범한다
활력징후를 2hr마다 사정한다
매일 감염증상 및 징후를 관찰한다
매일 foley cath, JP drain을 무균적으로 소독한다
모든 간호처치 및 환자 접촉시 철저한 무균법을 준수한다
처방에 의한 수액을 공급하고 I/O를 관찰한다
기도 내 개방성을 유지하고 구강 간호를 적용한다
필요시 CBC, 소변검사 및 균 도말 배양검사를 시행한다
평가
체온이 점차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37.1℃)
AC/DB/CH 잘함
op wound, jp site에 redness없음
4) 그 외의 간호진단
유치도뇨관 제거와 관련된 배뇨장애 위험성
질병 및 치료과정과 관련된 지식부족
입원과 자신의 질병에 대한 무지와 관련된 자존감 저하
5. 대상자의 퇴원교육 및 추후관리
교육내용 및 간호
약물복용
처방된 약물을 규칙적으로 복용하도록 한다.
식이
수술 후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섭취가 가장 중요하다. 수술 후 6~8주까지는 장벽이 부어있고 일부식품은 순응도가 떨어질 수 있지만 어느 정도의 회복기간이 지나면 대부분 수술 전 또는 건강인과 거의 동일한 식사를 할 수 있다. 새로운 식품을 섭취 할 때는 한번에 한 가지씩만 섭취하며, 식사조절은 개인의 적응도에 따라 달라진다.
운동
무리한 운동을 삼가고 개인에게 맞는 적당한 운동을 실시한다.
병원방문
처음 3년간은 3개월마다 한번 외래 방문
다음 2년간은 6개월마다 한번 외래 방문
필요 시 결장수치검사, 혈액검사, 간기능 검사, 가슴 X-ray촬영, CT, 복부초음파검사, 결장내시경 등의 검사를 받게 된다.
Ⅲ. 결 론
현재 수술실 GS에서 일하면서 항상 수술중의 상황만을 지켜보던 나로써는 이번 case를 통해 수술 전, 후 간호를 살펴볼 수 있어서 뜻깊은 실습이었다. 학생이 아닌 실무에서 일하는 사람이라 어려운 감이 있었지만 조사를 하다보니 다시 학생으로 돌아간듯한 느낌이었다.
환자는 수술전에 여러검사를 시행하며, 간호사는 불안에 대한 지지를 해 주어야 한다. 또한 수술 후 심호흡, inspirometer exercise를 지지 하였고 가습기를 환자 옆에 두어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게 하여 분비물이 잘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rectal ca. 환자의 수술에 참여하면서 전, 후 상황을 알기에 좀더 폭넓은 간호를 행할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병동 간호사들은 이 수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직접 참여하여 관찰한다면 자신 뿐만 아니라 환자, 보호자에게도 더욱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 참고문헌 제시
1. 고성희 외(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2. 서문자 외(2000). 성인간호학, 수문사
3. 강경자 외(1996).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4. 최정신 외(2002). 성인 내외과 간호학, 형설출판사
5. 전시자 외(1993). 성인간호학, 현문사
6. 김조자 외(2002). 성인간호학, 현문사
7. 전시자 외. 간호과정, 현문사
8. 약물정보 www.kimsonline.co.kr / www.druginfo.co.kr
9. 기타 웹사이트- 네이버 백과사전
#3 외과적 절개부위, 각종 tube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3) 목표 수립, 계획, 중재, 평가 적용
#1. 수술부위의 통증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기도청결
객관적 자료
op day 임
심호흡을 하려고 하거나 inspirometer exrcise를 하려고 할때
얼굴을 찌뿌림
목표
호흡수, 깊이, 리듬이 정상적으로 유지된다
스스로 심호흡과 기침을 할 수 있다
inspirometer를 500ml이상 유지한다
계획 및 수행
호흡 양상을 사정한다.
수술 부위를 지지하고 1시간마다 10회씩 심호흡 하도록 격려함
수술 후 환자 옆에 가습기를 두어 적절한 습도를 유지한다.
흡기보다 호기를 2배 길게 호흡할 수 있도록 돕는다.
수술 후 생길 수 있는 폐 합병증에 대해 대상자에게 교육한다.
2시간마다 체위 변경과 흉부 물리법(타진법, 진동법)으로 객담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가슴을 팽창 시킬 수 있도록 semi-Fowler 체위를 취해준다.
평가
호흡수, 깊이, 리듬이 정상적이다
기침시 묽은 점액이 배출된다
inspirometer 잘함, 700ml까지 가능하다
#2. 외과적 절개부위와 관련된 통증
객관적 자료
5/18일 LAR 수술하심
PCA apply 중으로 10점 numeric scale로 7임
op site medifoam dressing 되어 있으며, oozing 없음
JP drain 1개로 serosanguineous 양상으로 배액되고 있음
foley cath 통해 straw양상의 소변 배액되고 있음
op wound pain 호소하며 진통제 원함
목표
v/s 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op wound pain이 numeric scale로 5이하로 가라앉는다
계획 및 수행
2시간 마다 v/s check
동통 경험에 대해 표현하도록 격려함
semi-fowler\'s position 취하고 A/C&D/B 격려함
O2 2l/min mask (FM) inhalation함
가습기 제공함
prn 처방에 따라 pethidine 50mg + ns 50ml mix IV함
환자에게 통증의 원인, 지속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통증으로 인한 불안을 감소시킨다
평가
진통제 투여후 op wound pain 많이 가라앉았다고 함(scale 4)
AC/DB/CH 잘함
걷거나 앉는데 조금 땡기지만 참을만 하다고 한다
v/s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3. 외과적 절개부위, 각종 tube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객관적 자료
5/18일 LAR 수술하심
op wound에 medifoam dressing 되어 있으며, oozing 없음
JP drain 1개로 serosanguineous 양상으로 배액되고 있음
지속적인 미열 (37.2℃~37.1℃)
foley cath 통해 straw양상의 소변 배액되고 있음
목표
체온이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감염을 나타내는 증상, 징후가 없다
계획 및 수행
AC/DB/CH 방법 교육한다
조기이상과 호흡기 간호의 중요성 강조한다
inspirometer 방법 교육 및 시범한다
활력징후를 2hr마다 사정한다
매일 감염증상 및 징후를 관찰한다
매일 foley cath, JP drain을 무균적으로 소독한다
모든 간호처치 및 환자 접촉시 철저한 무균법을 준수한다
처방에 의한 수액을 공급하고 I/O를 관찰한다
기도 내 개방성을 유지하고 구강 간호를 적용한다
필요시 CBC, 소변검사 및 균 도말 배양검사를 시행한다
평가
체온이 점차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37.1℃)
AC/DB/CH 잘함
op wound, jp site에 redness없음
4) 그 외의 간호진단
유치도뇨관 제거와 관련된 배뇨장애 위험성
질병 및 치료과정과 관련된 지식부족
입원과 자신의 질병에 대한 무지와 관련된 자존감 저하
5. 대상자의 퇴원교육 및 추후관리
교육내용 및 간호
약물복용
처방된 약물을 규칙적으로 복용하도록 한다.
식이
수술 후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섭취가 가장 중요하다. 수술 후 6~8주까지는 장벽이 부어있고 일부식품은 순응도가 떨어질 수 있지만 어느 정도의 회복기간이 지나면 대부분 수술 전 또는 건강인과 거의 동일한 식사를 할 수 있다. 새로운 식품을 섭취 할 때는 한번에 한 가지씩만 섭취하며, 식사조절은 개인의 적응도에 따라 달라진다.
운동
무리한 운동을 삼가고 개인에게 맞는 적당한 운동을 실시한다.
병원방문
처음 3년간은 3개월마다 한번 외래 방문
다음 2년간은 6개월마다 한번 외래 방문
필요 시 결장수치검사, 혈액검사, 간기능 검사, 가슴 X-ray촬영, CT, 복부초음파검사, 결장내시경 등의 검사를 받게 된다.
Ⅲ. 결 론
현재 수술실 GS에서 일하면서 항상 수술중의 상황만을 지켜보던 나로써는 이번 case를 통해 수술 전, 후 간호를 살펴볼 수 있어서 뜻깊은 실습이었다. 학생이 아닌 실무에서 일하는 사람이라 어려운 감이 있었지만 조사를 하다보니 다시 학생으로 돌아간듯한 느낌이었다.
환자는 수술전에 여러검사를 시행하며, 간호사는 불안에 대한 지지를 해 주어야 한다. 또한 수술 후 심호흡, inspirometer exercise를 지지 하였고 가습기를 환자 옆에 두어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게 하여 분비물이 잘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rectal ca. 환자의 수술에 참여하면서 전, 후 상황을 알기에 좀더 폭넓은 간호를 행할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병동 간호사들은 이 수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직접 참여하여 관찰한다면 자신 뿐만 아니라 환자, 보호자에게도 더욱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 참고문헌 제시
1. 고성희 외(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2. 서문자 외(2000). 성인간호학, 수문사
3. 강경자 외(1996).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4. 최정신 외(2002). 성인 내외과 간호학, 형설출판사
5. 전시자 외(1993). 성인간호학, 현문사
6. 김조자 외(2002). 성인간호학, 현문사
7. 전시자 외. 간호과정, 현문사
8. 약물정보 www.kimsonline.co.kr / www.druginfo.co.kr
9. 기타 웹사이트- 네이버 백과사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