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약간호(전반적 내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투약간호(전반적 내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본 론
■ 투약간호의 목적
■ 투약간호의 일반적 원칙
■ 약물투여경로
Ⅰ. 경구 투약
Ⅱ. 비경구 투약
1. 근육 주사
2. 특수 근육주사
1) 공기마개 기법(Air lock technique)
2) Z-Track 기법
3. 정맥 주사
4. 피하주사(Subcutaneous injection)
5. 피내주사(Intradermal injection)
6. 국소적 약물 투여
1) 눈에 약 넣는 법(안 세척과 점적 투여)
2) 귀에 약 넣는 법
3) 코에 약 넣는 법
4) 피부에 약 바르는 법
5) 질강에 약 넣는 법
6) 직장에 약 넣는 법
Ⅲ. 인슐린 요법
1. 인슐린 주사법
2. 인슐린 펜
3. 저혈당 관리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약 후에 평가될 수 있다.
본론에서는 약물을 안전하게 준비하고 투약하기 위한 투약규칙을 설명하고, 각 주사방법에 따른 목적, 장단점, 부위, 놓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본 론
투 약 간 호
■ 목적 : 약물을 경구 혹은 비경구 방법으로 투여하여 건강유지 및 증진, 질병예방, 진단 및 치료를 하기 위함이다.
■ 일반적 원칙 - 대상자의 안전을 위해 5가지 정확성을 지킨다.
정확한 약(right drug), 정확한 양(right dose), 정확한 대상자(right patient), 정확한 경로 (right route), 정확한 시간(right time)
■ 약물투여경로
Ⅰ. 경구 투약
1. 목적 - 약물을 소화관으로부터 흡수시켜 혈행을 통해 작용하기 위함이다.
약물을 소화관 자체 또는 소화관 내용물에 작용시키기 위함이다.
2. 준비물품
- 흰색 투약카드, 약품, 투약 운반차 또는 트레이, 물컵(필요시 빨대)
3. 방법
1) 흰색 투약카드를 작성하고 확인한다(5R) - 호실, 횟수, 시간, 종결날짜, 기타사항
2) 투약준비를 한다 - 손을 씻는다.
3) 약 카드와 약을 대조한다(1차 확인).
4) 약 봉투의 표기와 약 카드의 지시 내용과 비교 확인해보고 적합하지 않으면 투약 지시 를 재확인한다.
5) 병에서 정제나 캡슐을 꺼낼 경우 병 뚜껑에 필요한 수만큼 쏟은 다음 약포지에 옮겨서 준비한다.
(1) 액체 약을 준비할때는 뚜껑을 열어 뚜껑의 위가 바닥으로 가도록 놓은 다음 label이 손바닥 쪽에 오도록 잡아 내용물이 흐르더라도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2) 약 컵을 눈높이로 놓은 다음 원하는 선만큼 따른다.
(3) 1회용 포장 약(unit dose)은 그대로 준비한다.
6) 투약 중에 맥박측정, 호흡수, 혈압 측정 등 특별한 사정을 요하는 것은 다른 것과 구 분하여 놓는다.
7) 준비한 약을 투약 운반차에 놓는다.
8) 약 봉투의 표지를 다시 한번 확인한 다음 약병, 약봉투를 제자리에 갖다 놓는다.
9) 약 준비가 끝나면 준비된 투약 운반차를 침상가로 가져가서 약 카드와 침상에 있는 이 름표를 비교해 본후 대상자에게 이름을 말하도록 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10) 대상자에게 투약의 목적과 기대되는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11) 대상자를 앉도록 도와준다. 앉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측위를 취하도록 돕는다(이 체위 들이 연하를 돕고, 흡인을 방지해준다).
12) 필요한 사정을 한다 - 맥박은 digitalis 투여 전
혈압은 항고혈압제 투여 전
호흡수 관찰은 최면제 투여 전에 측정한다.
13) 약물이 치아의 에나멜이나 구내 점막을 자극하는 경우는 빨대를 사용하고 투약 후 물을 마시게 한다(예 : 액체 철분제재)
14) 대상자가 전에 먹던 약과 다르다고 하는 경우에는 투약지시를 확인하고 투약한다.
15) 불쾌한 맛을 지닌 약은 투여 전에 대상자에게 얼음조각을 빨게 하거나 허용된 음료 를 함께 준다.
16) 위장계 점막에 자극을 주는 약은 음식과 함께 복용하도록 한다.
17) 약을 전부 삼킬때까지 대상자 곁에 머문다.
18) 투약 후 약 카드와 대조하면서 투약 시간과 대상자의 반응을 기록하고 서명한다. 투 약하지 못한 경우는 사실을 기록하고 간호기록지에 그 이유를 기록한다.
Ⅱ. 비경구 투약
1. 근육 주사
1) 목적 - 경구 투약이 불가능할 때나 금식중인 대상자에게 소화에 의해 파괴되는 약물, 피하나 정맥 주사를 할 수 없는 약물을 조직으로 투여하여 신속한 효과를 내기 위함이 다.
2) 준비물품 - 노란색 투약카드, 주사약멸균증류수, 멸균주사기, 알콜솜, 트레이
3) 방법
(1) 노란색 투약카드의 약명과 약병의 이름을 비교 확인한다.
(2) 손을 씻는다.
(3) 투약카드와 비교하여 정확한 약과 양을 준비한다.
(4) 병실로 가서 대상자에게 이름을 말하도록 하며 확인한다.
(5) 대상자에게 투약 목적과 기대되는 효과, 방법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다.
(6)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고 적합한 체위를 취하게 한 후 주사부위를 충분히 노출시킨다.
(7) 가능한 주사부위를 선정하되 피부는 멍들거나 찰과상 감염이 없어야 하며 근육의 크 기는 주사용량에 적합해야 한다.
예) 잘 발달된 이두박근 0.5cc-2cc, 중둔근 1.5cc까지 흡수 가능
(8) 알코올 솜으로 주사부위를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직경 5cm 정도 원을 그리며 닦아낸 다.
(9) 투약카드를 보고 약을 확인한다.
(10) 주사기의 공기를 뺀 후 왼손으로 주사부위를 팽팽하게 잡고 90도 각도로 찌르고 약을 주입하기 전에 주사기 내관을 살짝 뒤로 당겨 혈액이 나오지 않으면 약물을 천천히 주입한다(만약 혈액이 역류되면 주사약을 버리고 새 약을 다시 준비한다).
(11) 알코올 솜을 주사부위에 대고 빨리 주사바늘을 뽑고 문질러주되 출혈이 있을 때는 1-2분 정도 압박한다.
(12) 대상자를 편안하게 해준다.
(13) 주사바늘을 분리수거통에 따로 버린다.
(14) 부작용에 대한 증상을 알려주고 이상증상이 생기면 곧 알리도록 한다.
(15) 사용한 물품을 제자리에 정리한다.
(16) 손을 씻는다.
(17) 투약카드와 대조하면서 투약기록지에 기록한다. 이상사항이 나타나면 관찰사항을 기록하고 주치의에게 보고한다.
※ 참조 : 주사부위
1) 둔부의 배면부위(Dorsogluteal site)
a. 체위 : 복위를 취하고 발끝을 안으로 향한 자세, 측위를 취하면서 무릎을 구부린 자 세
b. 부위 선정 : 좌골 신경과 혈관이 인접되어 있으므로 주의하고 걷기 전 소아는 배둔근 이 발달되지 않아 위험하므로 대퇴부위가 권장된다.
c. 주사 방법 : 엄지와 검지로 피부를 팽팽히 잡고 90°각도로 주사
2) 둔부의 복면부위(Ventrogluteal site) : 측둔근 부위
a. 체위 : 측위로 무릎을 약간 구부리게 한다.
b. 부위 선정 : 신생아, 어린이, 성인에게 모두 적합
c. 주사 방법 : 엄지와 검지르 피부를 팽팽히 잡고 75-90°각도로 주사한다.
3) 외측 광근 부위(Vastus lateralis site) : 대퇴부위
a. 체위 : 앉은 자세나 누운 자세
b. 주사 방법 : 엄지와 검지로 피부를 팽팽히 잡고 90°혹은 약간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7.12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03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