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끝나지 않은 전쟁 6.25의 비극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쟁]끝나지 않은 전쟁 6.25의 비극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끝나지 않은 전쟁 6.25를 생각하며...
(1950년 6월 25일 ― 1953년 7월 27일)

1. 한국전쟁이란?

2. 한국전쟁의 배경

3. 한국전쟁의 원인

4. 북한의 전쟁준비

5. 한반도의 주변정세

6. 한국전쟁의 경과
1) 제1단계
2) 제2단계
3) 제3단계
4) 제4단계

7. 한국전쟁으로 인한 피해

8. 한국전쟁이 오늘날까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본문내용

피해
한국전쟁의 3년간에 걸친 결과는 남북한을 막론하고 전국토를 폐허로 만들었으며, 막대한 인명피해를 내었다. 전투 병력의 손실만 해도 유엔군이 한국군을 포함하여 18만 명이 생명을 잃었고, 공산군측에서는 북한군 52만 명, 중공군 90만 명의 병력을 잃었다. 또한 전쟁기간 중 대한민국의 경우 99만 명의 민간인이 목숨을 잃거나 부상을 입었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남한지역을 북한군이 점령하고 있는 동안 인민재판 등의 무자비한 방법에 의하여 '반동계급'으로 몰려 처형당한 억울한 희생이었다.
또 전쟁기간 중 북한은 8만 5000명에 달하는 각계각층의 지도급 인사들을 대한민국으로부터 납치해 갔다. 이 가운데에는 국회의원을 비롯한 정치인들과 저명한 학자 ·종교인 ·공무원 들이 상당수 포함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북한지역으로부터는 300만 명 이상의 주민들이 공산학정을 탈출, 자유로운 생활을 찾기 위해 고향과 가족, 친척들을 북에 둔 채 남한으로 월남하여 대한민국에서 삶의 터전을 마련하였다. 1950년 당시 북한지역 인구는 1200만 명 정도로 추정되었는데, 그 가운데 1/4 정도가 북한을 떠나 월남하였다.
8. 한국전쟁이 오늘날까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일단 6.25전쟁으로 인해 남북의 이산가족들이 생겨났으며 그 이산가족들의 고통은 오늘날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그리고 한반도의 통합적 상태에서의 잠재적인 발전 가능성들이 전쟁으로 인한 분단 때문에 묻혀지고 있으며 남북의 분단 상태 유지가 국익과 직결되는 주변 강대국들의 입김도 아직까지 계속되고 있으며 분단의 시간이 계속됨에 따라 민족정서가 점점 이질화 되고 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7.15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07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