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12월의 열대야’를 통해 본 현대사회의 모습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드라마 ‘12월의 열대야’를 통해 본 현대사회의 모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까지 살펴본 이 드라마는 가족의 가치, 남녀의 애정, 물질만능주의의 배척과 같은 것을 옹호 하는 듯이 보인다. 하지만 내가 결과적으로 이 드라마에서 볼 수 있게 된 것은 개인주의의 발견을 통한 억압과 불평등한 구조에서의 해방 즉 자유의 획득이다.
주인공 영심은 지금까지의 가족이라는 규범적 가치에 묶여 있는 존재로 볼 수. 그런데 정우라는 인물을 통해서 이 울타리를 스스로 벗어나게 된다. 이렇게 되는 과정에서 영심은 과거 자신이 가장 중시하던 가치, 가족이라는 것 보다 자기 자신의 행복을 우선시하는 것이다. 즉 정우를 만나기전의 영심이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가족의 평화 즉 전체의 안정을 위해 불평등하고 억압적인 구조와 관계를 참고 있었다. 자기 자신보다 가족 즉 전체의 가치를 더 우선시하는 인물이었다면 정우를 만난후에 가족의 울타리를 스스로 떠나는 영심은 과거와 다른 새로운 인물이라 할 수 있겠다.
이 드라마는 시종일관 영심과 정우로 대표되는 사회적 약자의 모습을 통해 현대 사회의 부조리를 비판한다고 할 수 있다. 결국 드라마에서 영심과 정우가 만나는 것은 유부녀와 외간남자의 만남이라는 점에서 사회적으로 비난받고 용인될 수 없는 행동을 저지르는 것이지만 드라마는 그런 영심과 정우를 비판한 다기 보다 사회의 억압된 구조에서 비롯된 것이라 하고 둘의 일탈행위를 사회적 약자의 해방과 같이 묘사하였다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정해진 틀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영심과 정우의 잠시지만 행복한 모습을 보여주므로 해서 그 틀 속에서 벗어나 보는 것은 어떠냐? 하고 말해주고 싶은 것 같다.
-끝-

키워드

12월,   드라마,   현대사회,   일탈,   가족,   관계,   불륜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7.23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22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