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자 아 실 현 의 개 념 과 속 성
2.‘소 유’ 냐 ‘존 재’ 냐
3.인 간 과 사 회 : 나 와 남 의 관 계 에 서 정 립
4.성 경 에 서 의 자 원 봉 사
(1)구 약 성 경 에 서 의 자 원 봉 사-십 일 조
(2)신 약 성 경 에 서 의 자 원 봉 사-봉 사 활 동 사 례
5.개 인 봉 사 활 동 사 례
2.‘소 유’ 냐 ‘존 재’ 냐
3.인 간 과 사 회 : 나 와 남 의 관 계 에 서 정 립
4.성 경 에 서 의 자 원 봉 사
(1)구 약 성 경 에 서 의 자 원 봉 사-십 일 조
(2)신 약 성 경 에 서 의 자 원 봉 사-봉 사 활 동 사 례
5.개 인 봉 사 활 동 사 례
본문내용
한 역할에 따라 행동하고 생각하도록 훈련받는다.
*역할 : 사회가 사람에게 요구하고 기대하는 일정한 양식.
ex)성(性), 나이, 직업..
◎나와 남의 관계 정립(사회성)
① 자각을 통한 관계 정립
소크라 테스
너 자신을 알라
-> 자각에 대해서 알게 됨
-> 자기성찰에 대해서 노력이 가능하게 됨
탈무드
-> 자신의 무지를 스스로 깨우침.
선현의 말씀(行必有必有俄師 ; 공자)
셋 이상 모이면 그중에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
-> 인간은 사회적으로 \"상호가르침(Interteaching)\" 관계에 있다.
[배영기, 『인간을 어떻게 볼 것인가: 그 본질적 규명을 위해서』(서울: 세화, 1987), p6]
②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의 관계 정립
토마스 아퀴나스
-> 인간은 본래 사회적인 동물
뒤르껭, 미르, 고프만의 이론, 밀즈의 사회학적 상상력
-> 인간에게 사회성이 스며 있다.
[양창삼, 『자아실현론』(서울: 성광문화사, 1982), p123~124. ]
◎타자와의 관계정립은 수직 관계, 수평관계를 동시에 해결해야 한다.
① 종교의 경우 :
-> 수직 관계에만 치중하는 믿음을 강요하면 안됨(신과 인간)
-> 수평 관계도 강조(인간과 인간 사이의 사랑)
② 예수그리스도
\"네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행한 것이 곧 내게 행한 것\"
->수평, 수직을 동시에 해결하라는 명령으로 간주
[양창삼, 『자아실현론』(서울: 성광문화사, 1982), p131~132. ]
4. 성경에서의 자원봉사
① 구약성경에서의 자원봉사
우선 성서에서 사회봉사라는 가르침을 알기 위하여서는 먼저 사회에 대한 성서적 개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창세기에서 등장하는 족장들을 중심으로 한 사람들의 모임, 예를 들면 족속이나 지파, 씨족, 종족, 부족 등이며, 다른 의미로서는 야훼신앙을 중심으로 한 데 뭉친 사람들의 모임인 이스라엘을 말한다고 하며, 이를 종합하여 생각하면 사회란 \'서 로 협력하여 공동생활을 하는 신앙공동체의 생활\'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사회와는 달리 봉사에 해당되는 개념은 구약성서의 여러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봉사의 다른 말은 섬김 이라는 말이며, 이는 히브리말로 \"아받\"이 되며, 이것에는 \'섬기는 사람\' 즉 \'종\'을 의미 하는 \"에벧\"이 나온다. 구약성서에서 \'섬기다\' 라는 동사는 271번이 나오고 \'종\'이라는 명사는 800번이나 나온다. 따라서 구약에서의 사회봉사라는 말은 \'가난한 이웃에 대한 사 랑의 표현\'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박동현, 교회사회봉사총람, 1994:114)
이러한 사회봉사에 대한 표현에 의거하여 나타난 구체적인 행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전지역 교회의 사회봉사 프로그램 개발, 1997:16~19)
구약성서에 나타난 가장 가련하고 불쌍한사람은 고아와 과부이었다. 하나님은 당신의 백 성인 고아와 과부를 학대하여서는 안 된다 (출애굽기 22장 22,23절) 라고 하고 있다.
이들은 가난하고 의지할 곳 없고 보호해 줄 사람이 없기 때문에 학대받기 쉬웠다. 따라서 하나님은 이들을 결코 학대할 수 없음을 명령한 것이다. 만약 이들을 학대하게 되면 학대 한 자의 아내는 과부가 되고 학대한 자의 자식은 고아가 된다. (출애굽기 22장 23절)
구약 성서 가운데에는 가난한자 즉 빈민에 대한 하나님의 긍휼이 가득 들어 있다. 가난한 자에 대한 하나님의 긍휼이 구약 율법의 모체라고 할 수 있다.
즉 \'가난한 자에게 돈을 꾸어 주면 채권자 행세를 하면서 거드름을 피거나 이자를 받 아서는 안 된다.(출애굽기 22장 25절)
담보로 잡은 겉옷은 해가 지기 전에 반드시 돌려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그 옷이 밤의 추 위를막을 유일한 덮을 것이기 때문이다. (출애굽기 22장 26,27절)
밭에서 나는 소출은 7년이 되는 해에는 소출을 베어 그 자리에 그대로 두어야 한다. 왜냐 하면 그것이 극빈자들의 먹을 양식이기 때문이다. (출애굽기 23장 10,11절)
매년 밭의 네 모퉁이에 있는 곡식은 주인이 베면 안 된다. 그 곡식은 가난한자의 것이다. (레위기 19장 9,10절)\' 라고 규정을 하고 있다.
또 3년마다 거두어들인 십입조를 레위인과 떠돌이 나그네이었다가 이스라엘 사회에 정착 한 사람과 고아와 과부에게 주라고 하고 있으며, 십계명 중의 하나인 안식일 계명도 사회 적 관점에서 볼 수 있는데 즉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키는 내용으로서 집안의 가족들은 말 할 것도 없고 종들과 나그네들과 짐승까지도 쉬게 하여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배려를 구 체적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박동현, 교회사회봉사총람, 1994:118~119)
따라서 이 구약에서의 사회봉사가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 구약성서에서 나오는 사회적 약자 즉 나그네, 고아, 과부, 가난한 자, 날품팔이 들, 종들은 지금도 우리들의 주변에서 볼 수 있다는 면에서 오늘날의 사회적 약자가 사회 봉사의 중요한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 이러한 사회봉사는 동시에 총체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다. 즉 떠돌이 나그네, 고아, 과부, 가난한 사람, 날품팔이 등은 일상생활에서 다른 사람들로부터 업신여김을 당하고, 외면당하고, 짓눌리는 경우가 줄어들도록 하는 소극적인 계몽 차원의 일은 두 말할 것도 없이 이들이 경제, 정치, 법률, 문화적인 일들로 인하여 억울하게 괴로움을 당하고 있을 때 이들 편에 서서 그들의 권리를 찾아주는 일도 해야 한다.
-> 기독교는 사회적 약자 뿐 만이 아니라 모든 사회 구성원들의 삶을 좋게 만드는 일을 찾 아 해 나아감으로써 보다 넓고 적극적인 의미의 사회봉사를 할 수 있음을 구약성서에서 배울 수 있다 라고 말하고 있다. (박동현, 교회사회봉사총람, 1994:120~121)
십일조 제도
신명기 14장
22. 너는 마땅히 매년에 토지소산의 십일조를 드릴 것이며
23. 네 하나님 여호와 앞 곧 여호와께서 그 이름을 두시려고 택하신 곳에서 네 곡식과 포 도주와 기름의 십일조를 먹으며 또 네 우양의 처음 난 것을 먹고 네 하나님 여호와 경외하기를 항상 배울 것 이니라
24. 그러나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 이름을 두시려고 택하신 곳이 네게서 너무
*역할 : 사회가 사람에게 요구하고 기대하는 일정한 양식.
ex)성(性), 나이, 직업..
◎나와 남의 관계 정립(사회성)
① 자각을 통한 관계 정립
소크라 테스
너 자신을 알라
-> 자각에 대해서 알게 됨
-> 자기성찰에 대해서 노력이 가능하게 됨
탈무드
-> 자신의 무지를 스스로 깨우침.
선현의 말씀(行必有必有俄師 ; 공자)
셋 이상 모이면 그중에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
-> 인간은 사회적으로 \"상호가르침(Interteaching)\" 관계에 있다.
[배영기, 『인간을 어떻게 볼 것인가: 그 본질적 규명을 위해서』(서울: 세화, 1987), p6]
②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의 관계 정립
토마스 아퀴나스
-> 인간은 본래 사회적인 동물
뒤르껭, 미르, 고프만의 이론, 밀즈의 사회학적 상상력
-> 인간에게 사회성이 스며 있다.
[양창삼, 『자아실현론』(서울: 성광문화사, 1982), p123~124. ]
◎타자와의 관계정립은 수직 관계, 수평관계를 동시에 해결해야 한다.
① 종교의 경우 :
-> 수직 관계에만 치중하는 믿음을 강요하면 안됨(신과 인간)
-> 수평 관계도 강조(인간과 인간 사이의 사랑)
② 예수그리스도
\"네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행한 것이 곧 내게 행한 것\"
->수평, 수직을 동시에 해결하라는 명령으로 간주
[양창삼, 『자아실현론』(서울: 성광문화사, 1982), p131~132. ]
4. 성경에서의 자원봉사
① 구약성경에서의 자원봉사
우선 성서에서 사회봉사라는 가르침을 알기 위하여서는 먼저 사회에 대한 성서적 개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창세기에서 등장하는 족장들을 중심으로 한 사람들의 모임, 예를 들면 족속이나 지파, 씨족, 종족, 부족 등이며, 다른 의미로서는 야훼신앙을 중심으로 한 데 뭉친 사람들의 모임인 이스라엘을 말한다고 하며, 이를 종합하여 생각하면 사회란 \'서 로 협력하여 공동생활을 하는 신앙공동체의 생활\'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사회와는 달리 봉사에 해당되는 개념은 구약성서의 여러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봉사의 다른 말은 섬김 이라는 말이며, 이는 히브리말로 \"아받\"이 되며, 이것에는 \'섬기는 사람\' 즉 \'종\'을 의미 하는 \"에벧\"이 나온다. 구약성서에서 \'섬기다\' 라는 동사는 271번이 나오고 \'종\'이라는 명사는 800번이나 나온다. 따라서 구약에서의 사회봉사라는 말은 \'가난한 이웃에 대한 사 랑의 표현\'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박동현, 교회사회봉사총람, 1994:114)
이러한 사회봉사에 대한 표현에 의거하여 나타난 구체적인 행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전지역 교회의 사회봉사 프로그램 개발, 1997:16~19)
구약성서에 나타난 가장 가련하고 불쌍한사람은 고아와 과부이었다. 하나님은 당신의 백 성인 고아와 과부를 학대하여서는 안 된다 (출애굽기 22장 22,23절) 라고 하고 있다.
이들은 가난하고 의지할 곳 없고 보호해 줄 사람이 없기 때문에 학대받기 쉬웠다. 따라서 하나님은 이들을 결코 학대할 수 없음을 명령한 것이다. 만약 이들을 학대하게 되면 학대 한 자의 아내는 과부가 되고 학대한 자의 자식은 고아가 된다. (출애굽기 22장 23절)
구약 성서 가운데에는 가난한자 즉 빈민에 대한 하나님의 긍휼이 가득 들어 있다. 가난한 자에 대한 하나님의 긍휼이 구약 율법의 모체라고 할 수 있다.
즉 \'가난한 자에게 돈을 꾸어 주면 채권자 행세를 하면서 거드름을 피거나 이자를 받 아서는 안 된다.(출애굽기 22장 25절)
담보로 잡은 겉옷은 해가 지기 전에 반드시 돌려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그 옷이 밤의 추 위를막을 유일한 덮을 것이기 때문이다. (출애굽기 22장 26,27절)
밭에서 나는 소출은 7년이 되는 해에는 소출을 베어 그 자리에 그대로 두어야 한다. 왜냐 하면 그것이 극빈자들의 먹을 양식이기 때문이다. (출애굽기 23장 10,11절)
매년 밭의 네 모퉁이에 있는 곡식은 주인이 베면 안 된다. 그 곡식은 가난한자의 것이다. (레위기 19장 9,10절)\' 라고 규정을 하고 있다.
또 3년마다 거두어들인 십입조를 레위인과 떠돌이 나그네이었다가 이스라엘 사회에 정착 한 사람과 고아와 과부에게 주라고 하고 있으며, 십계명 중의 하나인 안식일 계명도 사회 적 관점에서 볼 수 있는데 즉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키는 내용으로서 집안의 가족들은 말 할 것도 없고 종들과 나그네들과 짐승까지도 쉬게 하여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배려를 구 체적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박동현, 교회사회봉사총람, 1994:118~119)
따라서 이 구약에서의 사회봉사가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 구약성서에서 나오는 사회적 약자 즉 나그네, 고아, 과부, 가난한 자, 날품팔이 들, 종들은 지금도 우리들의 주변에서 볼 수 있다는 면에서 오늘날의 사회적 약자가 사회 봉사의 중요한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 이러한 사회봉사는 동시에 총체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다. 즉 떠돌이 나그네, 고아, 과부, 가난한 사람, 날품팔이 등은 일상생활에서 다른 사람들로부터 업신여김을 당하고, 외면당하고, 짓눌리는 경우가 줄어들도록 하는 소극적인 계몽 차원의 일은 두 말할 것도 없이 이들이 경제, 정치, 법률, 문화적인 일들로 인하여 억울하게 괴로움을 당하고 있을 때 이들 편에 서서 그들의 권리를 찾아주는 일도 해야 한다.
-> 기독교는 사회적 약자 뿐 만이 아니라 모든 사회 구성원들의 삶을 좋게 만드는 일을 찾 아 해 나아감으로써 보다 넓고 적극적인 의미의 사회봉사를 할 수 있음을 구약성서에서 배울 수 있다 라고 말하고 있다. (박동현, 교회사회봉사총람, 1994:120~121)
십일조 제도
신명기 14장
22. 너는 마땅히 매년에 토지소산의 십일조를 드릴 것이며
23. 네 하나님 여호와 앞 곧 여호와께서 그 이름을 두시려고 택하신 곳에서 네 곡식과 포 도주와 기름의 십일조를 먹으며 또 네 우양의 처음 난 것을 먹고 네 하나님 여호와 경외하기를 항상 배울 것 이니라
24. 그러나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 이름을 두시려고 택하신 곳이 네게서 너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