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주가지수 선물거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주가지수 선물거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옵션의 개념 및 옵션거래
2. 옵션 용어 설명
3. 옵션거래의 종류
4. 옵션의 가격결정요인
5. 옵션거래의 가격 결정방법
6. 옵션거래 vs 현물거래, 옵션거래 vs 선물거래
7. 옵션 효용
8. 옵션 전략
9. 우리나라 지수 옵션 거래 및 주식 옵션거래
10. 옵션 거래 현황과 전망
11. 옵션 거래 사례

Ⅲ. 결론
* 2007년 거래 전망

본문내용

· 선물간 가격차이가 왜곡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후장 단일가매매 개시시점인 14시 50분 (토요일 11시 20분)에 마감된다.
▶ 최종거래일
장시간 : 09:00 ~ 14:50
현물시장이 여타 이유로 인해 매매거래가 중단될 경우 선물시장과 옵션시장의 거래도 중단된다. 매매 재개시에는 원칙적으로 10분간 동시호가를 접수하여 단일가 매매처리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전일의 약정수량이 가장 많은 종목의 가격이 상한가·하한가로 1분간 지속되는 경우 모든 옵션종목의 매매거래가 5분간 중단되며 중단 후 10분간 동시호가 접수 후 단일가로 매매거래를 재개한다. (단, 이러한 중단이 당일 중 이미 발생하였거나 평일 14시 20분 이후, 후장이 없는 경우 10시 50분 이후는 중단하지 않음)
마. 가격제한폭
옵션거래에서는 가격제한폭이 없다. 옵션은 기초자산(KOSPI200지수)자체를 매매하지 않고 권리 즉, 프리미엄을 매매하는 것이므로 다수의 옵션종목별 프리미엄의 가격변동이 대상자산의 가격변동과 선형적인 관계를 갖지 않는다. 종목별로 가격변동의 방향 및 폭이 서로 상이하므로 가격제한폭을 두기가 어렵고, 인위적으로 가격제한폭을 두는 경우 이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실무상 착오로 인한 손실방지를 위하여, 주가지수가 전일대비 15% 변동할 경우 옵션이론가격을 기준으로 2호가 범위를 벗어나는 호가는 접수가 거부된다.
바. 매매의 중단
선물거래가 중단되면 옵션거래도 동시에 중단되며 거래재개 또한 선물거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재개된다.
사. 옵션거래대금의 수수
옵션을 신규로 매수하거나 환매한 경우 옵션매수자는 익일에 옵션대금을 지불하며, 옵션을 신규로 매도하거나 전매한 옵션매도자는 익일에 옵션매도대금을 수령한다.
아. 권리행사일 및 신고
각 종목의 최종거래일이며 최종거래일이 도래하지 아니한 옵션에 대해서는 권리행사를 할 수 없다. 권리행사의 신고는 최종거래일이 도래한 종목에 대하여 권리행사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당해종목의 매매거래종료 후 90분 이내로 증권회사에 신고를 해야 하지만, 권리행사로 인해 0.05P 이상의 행사이익이 발생하는 종목에 대하여는 권리행사의 신고가 없어도 자동으로 권리행사가 되며, 권리행사로 손실이 발생하는 종목에 대해서는 권리행사 신고를 할 수 없다.
자. 옵션매매대금 및 권리행사차금의 수수
결제금액이 발생한 다음날(휴장일인 경우는 순차적으로 연기) 12:00까지 증권회사를 통해 수수해야 한다.
차. 결제 및 수탁제도
주가지수옵션의 결제 및 수탁제도는 주가지수선물과 거의 같다.
- 옵션계좌의 개설 : 선물계좌를 개설하면 선물옵션 거래 모두가 가능.
- 기본예탁금 : 옵션거래를 하고자 할 경우 1,500만원을 예탁해야 함.
- 위탁증거금 납부 : 옵션매수의 경우에는 위탁증거금은 없으며 옵션가격(프리미엄)을 매수 대금으로 거래소에 납부해야 함. 옵션매도의 경우에는 프리미엄을 수취하는 대신 매도옵 션, 위탁증거금(당일중 동 종목의 최대이론가격에서 전일 종가를 차감한 가격에 매도수 량과 100,000원을 곱한 금액)을 납부하여야 주문이 가능함.
- 최대이론가격 : KOSPI200 지수가 전일종가 대비 15% 불리하게 변동할 경우를 전제로 계산된 이론가격.
옵션계약의 증거금은 계약이행을 위한 보증금 성격인 금액을 의미한다. 따라서 옵션의 매수자는 증거금의 납부가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옵션 매입자는 프레미엄을 전액 납부하고 옵션을 구입하게 되므로 추가적으로 돈이 더 들어갈 일이 없게 되기 때문이다. 옵션매수자의 손실은 본인이 매입한 옵션 프리미엄으로 한정되는데, 이는 복권을 매입하는 사람의 경우 복권이 낙첨이 되면 복권값만큼 손해를 보는 것이지 복권값 이상으로 손해를 보지는 않는다는 점에 비유될 수 있다. 반면, 옵션 매도자는 자신이 발행한 옵션이 내가격상태가 될 경우 옵션의 매수자가 청구하는 당첨금 전액을 책임지고 지불해야 한다. 즉, 행사가격 이상으로 기초자산지수가 상승할 경우 이에 대한 모든 책임을 져야할 의무가 발생한다. 따라서 거래소는 옵션 매도자에게 일정공식에 의한 증거금을 요구하게 되므로 매도자는 이 증거금이상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부하여야 한다.
카. 추가증거금 납부
투자자는 매매거래 후 자신의 계좌의 예탁총액(현금 및 대용증권)에 익일 결제금액을 가감한 금액이 당일 장 종료 후 선물 옵션 미결제약정에 대한 유지증거금에 미달하는 경우 동금액과 미결제약정의 위탁증거금으로 산출되는 금액의 차액을 다음날 12:00까지 증권회사에 추가로 납부해야 한다.
타. 결제방법
주가지수를 대상으로 하는 주가지수옵션의 경우에는 기본자산이 주식과 같이 실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추상적인 지수이므로 현금을 통한 차금결제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옵션거래는 만기시 권리행사 또는 권리포기, 그리고 만기전의 전매나 환매를 통해 결제를 할 수 있다.
권리행사
권리행사는 옵션의 매수자가 권리관계를 종결짓기 위한 방법의 하나다. 권리행사를 할 것인지 여부는 옵션매수자의 자유이며 옵션매도자는 거래의 이행을 청구할 수 없다. 따라서 권리행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은 통상 옵션의 매수자에게 이익이 될 경우에 한 해진다. 반대로 권리행사는 옵션의 매도자에게는 손실이 발생하는 행위가 된다.
권리포기
반면 만기일까지 옵션의 매수자가 권리행사나 전매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한이 넘게 되어 권리가 소멸된다. 이를 권리포기라 한다. 이 경우 옵션매수자와 매도자 간에는 새로이 금전수수가 일어나지 않는다. 옵션매수자는 거래 개시시에 옵션매도시 지불한 프리미엄을 잃게 된다.
전매·환매
실물결제와 같이 전·환매는 옵션 거래시에 자주 이용되는 결제방법이다. 옵션매수자는 이미 가지고 있는 옵션을 옵션시장에서 매도함으로써 권리의무관계를 종결지을 수 있는데 이것이 전매다. 그리고 옵션매도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매도 포지션에 대해 매수를 취하는 것이 환매이다.
10. 옵션 거래현황과 전망
옵션의 거래량은 선물보다도 더 비약적으로 증가한 것을 <표1>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일평균 약정수량이 옵션시장이 개장된 1997년에는 3만 2천 계약 정도여

키워드

  • 가격3,5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07.07.26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27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