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목차
1장 학교문법의 성격과 역사
2장 학교문법의 내용체계
3장 언어와 국어
4장 음운론
5장 형태론
6장 어휘론
7장 문장론
8장 의미론
9장 화용론
10장 중세국어문법
11장 국어사
12장 국어어문규정
13장 바른 국어생활
14장 국어사랑
2장 학교문법의 내용체계
3장 언어와 국어
4장 음운론
5장 형태론
6장 어휘론
7장 문장론
8장 의미론
9장 화용론
10장 중세국어문법
11장 국어사
12장 국어어문규정
13장 바른 국어생활
14장 국어사랑
본문내용
서술어 이외에 다른 문장 성분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국어에 문장 성분 간의 관계를 나나내주는 조사가 발달되어 있기 때문이다. 특히 부사어의 이동이 자유로운 특징이 있다.
②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온다는 특징이 있다.
③주어와 목적어가 중복되어 출현할 수 있다.
④국어의 높임법은 세계 언어 가운데 가장 발달되어 있다. 선어말어미, 종결어미, 특수 어휘 등을 통해서 실현되고, 또 ‘-께서, -님’등과 같은 조사나 접미사를 통해서도 실현되기 때문에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을 띤다. 사실 높임법은 문장 자체뿐만 아니라 발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통사적 특성이 아닌 화용적 특성이라고 하는 게 더 타당할 것이다. 화용적 특성으로 하나 더 국어에서는 주어가 없는 문장이 많이 쓰인다는 점이다.
⑤또 화자의 심리를 잘 나타내주는 보조사나 보조 용언이 발달되어 있는 것을 특성으로 들 수 있다.
제 4 장 음운론
4.1 음성과 음운
음성 : 인간의 발음기관을 통해서 나오는 물리적인 소리
㉮음향과의 차이점: 음향이 자연의 소리로 비분절적임에 비해 음성은 인간이 내는 분절적인 소리임.
㉯음향과의 공통점: 둘 다 소리라는 점과 의미와는 전혀 관련이 없음.
음운 : 음운은 의미의 차이를 내는 최소의 문법 단위로 같은 음운이라도 환경에 따라서 다른 음성으로 발음될 수 있다. 음성이 구체적 소리임에 비해 음운은 추상적 인식단위임.
예) 고→무성음/k/ , 기→유성음/g/
변이음 : 하나의 음운이 여러 가지 음성으로 나타나는데 이와 같이 동일 음운이면서 서로 다른 음성으로 실현된 것.
㉮분절음운 : 정확히 소리마디의 경계를 그을 수 있음.
㉯비분절음운 : 정확히 소리마디의 경계를 그을 수 없음.
※음성은 인간의 발음기관을 통해서 만들어지는 소리이기 때문에 전세계 언어가 모두 동ㅇ리하다. 그러나 음운은 추상적으로 인식하는 단위이기 때문에 그 수가 언어에 따라 다를 수가 있다. 현대 국어 표준어의 음운으로는 단모음 10개, 이중모음 11개, 자음19개로 전체 40개가 인정되고 있다.
4.2.음운체계
4.2.1.모음체계
자음: 소리를 낼 때 목 안 또는 입 안의 어떤 자리가 완전히 막히거나 공기가 간신히 지나갈 만큼 좁혀지거나 하는 장애를 받고 나오는 소리
모음: 장애가 없이 나는 소리
㉮단모음: 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이나 혀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아 처음과 끝이 통일한 소리를 냄.
㉯이중모음 : 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이나 혀가 움직여서 처음과 끝이 소리가 다름.
㉮전설모음 : 입천장의 중간점을 기준으로 하여 혀가 그 앞부분에 있을 때 발음되는 보음
㉯후설모음 : 뒷부분에서 발음되는 모음
㉮고모음 : 발음할 때에 입이 조금 열려서 혀의 위치가 높은 모음.
㉯중모음 : 그보다는 입이 더 열려서 혀의 위치가 중간인 모음
㉰저모음 : 입이 크게 벌려서 혀의 위치가 낮은 모음
㉮원순모음 : 발음할 때에 입술을 둥글게 오므려 내는 모음
㉯평순모음: 입술이 둥글지 않은 모음
◈단모음 체계
혀의 높이/혀의 앞뒤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ㅣ
ㅟ
ㅡ
ㅜ
중모음
ㅔ
ㅚ
ㅓ
ㅗ
저모음
ㅐ
ㅏ
◈이중모음체계
㉮ ㅑ, ㅕ, ㅛ, ㅠ, ㅒ, ㅖ
㉯ ㅘ, ㅙ, ㅝ, ㅞ
㉰ ㅢ
반모음 : 본래 모음을 발음할 때보다 혀를 입천장에 더 접근시키면서도 자음을 발음할 때만큼은 접근 시키지 않고 내는 소리를 뜻한다. 모음과 자음의 중간적 성격을 가진 음으로서 반자음이라 불러도 되고 분류에 있어서도 자음 속에 넣어도 상관없는 음이다. 반자음은 독자적으로 소리 낼 수는 없다. 모든 모음은 소리가 날 때 성대가 울리기 때문에 울림소리 유성음에 해당한다.
4.2.2 자음체계
울림소리 : 성대가 울리는 소리
안울림소리 : 성대가 울리지 않는 소리
◈조음방법 - ①파열음 :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를 일단 막았다가 그 막은 자리를 터트리면서 내는 소리
②마찰음 : 입 안이나 목청 사이의 통로를 좁히고 공기를 그 좁은 틈 사이로 내보내어 마찰을 일으키면서 내는 소리
③파찰음 : 막았다가 서서히 터트리는 소리로 파열음과 마찰음의 두 가지 성질을 다 가지는 소리
④비음 : 연구개와 목젖을 내려 입 안의 통로를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
⑤유음 : 혀끝을 잇몸에 가볍게 대었다가 떼거나 혀끝을 잇몸에 댄 채 공기를 그 양 옆으로 흘려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
⑥탄설음 : ‘ㄹ’이 음절 초성에 올 때 나는 소리로 혀끝이 윗잇몸에 가볍게 닿았다가 떨어지면서 나는 소리
⑦설측음: ‘ㄹ’이 종성에 올 때 나는 소리로 혀가 입천장에 닿아 혀 옆으로 공기가 지나가면서 소리가 나는 것을 뜻함.
◈자음위치 - ①입술소리 : 두 입술 사이에서 나는 소리
②혀끝소리 : 혀끝과 윗잇몸이 맞닿아 나는 소리
③센입천장소리: 혓바닥과 경구개, 굳은 입천장 사이에서 나는 소리
④여린입천장소리 : 혀의 뒷부분과 연구개 사이에서 나는 소리
⑤목청소리 : 목청 사이에서 나오는 소리
※국어의 분절음운의 숫자는 모음이 21개, 자음이 19개 모두 40개, 연구개음 ‘ㅇ’은 종성에서만 사용되고 초성에서는 발음되지 않는다.
조음위치
조음방법
입술소리
혀끝소리
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장소리
목청소리
두 입술
윗잇몸
센입천장
여린입천장
목청사이
안울림소리
파열음
예사소리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ㅋ
ㄲ
된소리
거센소리
파찰음
예사소리
ㅈ
ㅉ
ㅊ
된소리
거센소리
마찰음
예사소리
ㅅ
ㅆ
ㅎ
된소리
울림소리
비음
ㅁ
ㄴ
ㅇ
유음
ㄹ
4.2.3. 비분절음운
정확히 그 경계 마디를 나타낼 수는 없지만 의미를 변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
①음절소리의 장단
말:(言 ) - 말(馬)
②단어와 단어 사이에서 실현될 수 있는 연접
난 + 운다 - 나눈다
③문장의 어조 곡선을 나타내는 억양
밥 먹어↘ (평서문) 밥먹어↗(의문문) 밥먹어→(명령문)
4.3 음절구조
음운이 최소 의미 변별 단위임에 비해 음절은 한 번에 낼 수 있는 소리마디를 나타내는 문법 단위이다. 음절은 의미와 전혀 관계가 없는 음성학적 문법 단위일 뿐이다.
음절구조
용례
ㄱ
모음
아, 에, 예, 와
ㄴ
자음+모음
가, 게, 녜, 과
ㄷ
모음+모음
악, 엑, 엘, 왈
ㄹ
자음+모음+자음
각,
②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온다는 특징이 있다.
③주어와 목적어가 중복되어 출현할 수 있다.
④국어의 높임법은 세계 언어 가운데 가장 발달되어 있다. 선어말어미, 종결어미, 특수 어휘 등을 통해서 실현되고, 또 ‘-께서, -님’등과 같은 조사나 접미사를 통해서도 실현되기 때문에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을 띤다. 사실 높임법은 문장 자체뿐만 아니라 발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통사적 특성이 아닌 화용적 특성이라고 하는 게 더 타당할 것이다. 화용적 특성으로 하나 더 국어에서는 주어가 없는 문장이 많이 쓰인다는 점이다.
⑤또 화자의 심리를 잘 나타내주는 보조사나 보조 용언이 발달되어 있는 것을 특성으로 들 수 있다.
제 4 장 음운론
4.1 음성과 음운
음성 : 인간의 발음기관을 통해서 나오는 물리적인 소리
㉮음향과의 차이점: 음향이 자연의 소리로 비분절적임에 비해 음성은 인간이 내는 분절적인 소리임.
㉯음향과의 공통점: 둘 다 소리라는 점과 의미와는 전혀 관련이 없음.
음운 : 음운은 의미의 차이를 내는 최소의 문법 단위로 같은 음운이라도 환경에 따라서 다른 음성으로 발음될 수 있다. 음성이 구체적 소리임에 비해 음운은 추상적 인식단위임.
예) 고→무성음/k/ , 기→유성음/g/
변이음 : 하나의 음운이 여러 가지 음성으로 나타나는데 이와 같이 동일 음운이면서 서로 다른 음성으로 실현된 것.
㉮분절음운 : 정확히 소리마디의 경계를 그을 수 있음.
㉯비분절음운 : 정확히 소리마디의 경계를 그을 수 없음.
※음성은 인간의 발음기관을 통해서 만들어지는 소리이기 때문에 전세계 언어가 모두 동ㅇ리하다. 그러나 음운은 추상적으로 인식하는 단위이기 때문에 그 수가 언어에 따라 다를 수가 있다. 현대 국어 표준어의 음운으로는 단모음 10개, 이중모음 11개, 자음19개로 전체 40개가 인정되고 있다.
4.2.음운체계
4.2.1.모음체계
자음: 소리를 낼 때 목 안 또는 입 안의 어떤 자리가 완전히 막히거나 공기가 간신히 지나갈 만큼 좁혀지거나 하는 장애를 받고 나오는 소리
모음: 장애가 없이 나는 소리
㉮단모음: 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이나 혀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아 처음과 끝이 통일한 소리를 냄.
㉯이중모음 : 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이나 혀가 움직여서 처음과 끝이 소리가 다름.
㉮전설모음 : 입천장의 중간점을 기준으로 하여 혀가 그 앞부분에 있을 때 발음되는 보음
㉯후설모음 : 뒷부분에서 발음되는 모음
㉮고모음 : 발음할 때에 입이 조금 열려서 혀의 위치가 높은 모음.
㉯중모음 : 그보다는 입이 더 열려서 혀의 위치가 중간인 모음
㉰저모음 : 입이 크게 벌려서 혀의 위치가 낮은 모음
㉮원순모음 : 발음할 때에 입술을 둥글게 오므려 내는 모음
㉯평순모음: 입술이 둥글지 않은 모음
◈단모음 체계
혀의 높이/혀의 앞뒤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ㅣ
ㅟ
ㅡ
ㅜ
중모음
ㅔ
ㅚ
ㅓ
ㅗ
저모음
ㅐ
ㅏ
◈이중모음체계
㉮ ㅑ, ㅕ, ㅛ, ㅠ, ㅒ, ㅖ
㉯ ㅘ, ㅙ, ㅝ, ㅞ
㉰ ㅢ
반모음 : 본래 모음을 발음할 때보다 혀를 입천장에 더 접근시키면서도 자음을 발음할 때만큼은 접근 시키지 않고 내는 소리를 뜻한다. 모음과 자음의 중간적 성격을 가진 음으로서 반자음이라 불러도 되고 분류에 있어서도 자음 속에 넣어도 상관없는 음이다. 반자음은 독자적으로 소리 낼 수는 없다. 모든 모음은 소리가 날 때 성대가 울리기 때문에 울림소리 유성음에 해당한다.
4.2.2 자음체계
울림소리 : 성대가 울리는 소리
안울림소리 : 성대가 울리지 않는 소리
◈조음방법 - ①파열음 :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를 일단 막았다가 그 막은 자리를 터트리면서 내는 소리
②마찰음 : 입 안이나 목청 사이의 통로를 좁히고 공기를 그 좁은 틈 사이로 내보내어 마찰을 일으키면서 내는 소리
③파찰음 : 막았다가 서서히 터트리는 소리로 파열음과 마찰음의 두 가지 성질을 다 가지는 소리
④비음 : 연구개와 목젖을 내려 입 안의 통로를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
⑤유음 : 혀끝을 잇몸에 가볍게 대었다가 떼거나 혀끝을 잇몸에 댄 채 공기를 그 양 옆으로 흘려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
⑥탄설음 : ‘ㄹ’이 음절 초성에 올 때 나는 소리로 혀끝이 윗잇몸에 가볍게 닿았다가 떨어지면서 나는 소리
⑦설측음: ‘ㄹ’이 종성에 올 때 나는 소리로 혀가 입천장에 닿아 혀 옆으로 공기가 지나가면서 소리가 나는 것을 뜻함.
◈자음위치 - ①입술소리 : 두 입술 사이에서 나는 소리
②혀끝소리 : 혀끝과 윗잇몸이 맞닿아 나는 소리
③센입천장소리: 혓바닥과 경구개, 굳은 입천장 사이에서 나는 소리
④여린입천장소리 : 혀의 뒷부분과 연구개 사이에서 나는 소리
⑤목청소리 : 목청 사이에서 나오는 소리
※국어의 분절음운의 숫자는 모음이 21개, 자음이 19개 모두 40개, 연구개음 ‘ㅇ’은 종성에서만 사용되고 초성에서는 발음되지 않는다.
조음위치
조음방법
입술소리
혀끝소리
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장소리
목청소리
두 입술
윗잇몸
센입천장
여린입천장
목청사이
안울림소리
파열음
예사소리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ㅋ
ㄲ
된소리
거센소리
파찰음
예사소리
ㅈ
ㅉ
ㅊ
된소리
거센소리
마찰음
예사소리
ㅅ
ㅆ
ㅎ
된소리
울림소리
비음
ㅁ
ㄴ
ㅇ
유음
ㄹ
4.2.3. 비분절음운
정확히 그 경계 마디를 나타낼 수는 없지만 의미를 변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
①음절소리의 장단
말:(言 ) - 말(馬)
②단어와 단어 사이에서 실현될 수 있는 연접
난 + 운다 - 나눈다
③문장의 어조 곡선을 나타내는 억양
밥 먹어↘ (평서문) 밥먹어↗(의문문) 밥먹어→(명령문)
4.3 음절구조
음운이 최소 의미 변별 단위임에 비해 음절은 한 번에 낼 수 있는 소리마디를 나타내는 문법 단위이다. 음절은 의미와 전혀 관계가 없는 음성학적 문법 단위일 뿐이다.
음절구조
용례
ㄱ
모음
아, 에, 예, 와
ㄴ
자음+모음
가, 게, 녜, 과
ㄷ
모음+모음
악, 엑, 엘, 왈
ㄹ
자음+모음+자음
각,
추천자료
[국어교과평가]초등학교1학년 국어과교육평가, 초등학교2학년 국어과교육평가, 초등학교3학년...
[교육평가][초등교육평가]초등학교1학년 국어교육평가, 초등학교2학년 국어교육평가, 초등학...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국어교육)의 목표와 실태,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국어교육) 지도중점...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특성과 접근법,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지도계획, 초등학...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내용체계,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문학수용양상, 초등학교 ...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영재교육과정,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문집, 초등학교 국어과...
초등학교 1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목표, 초등학교 2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목표, 초등학교 3...
국어과(국어교육) 교육성격과 교육방향, 초등학교 3학년 국어과(국어교육) 실태, 초등학교 3...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일반적 성격,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목표, 초등학교 국어과(...
국어과(국어교육) 특성과 교육중점,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운소지도, 초등학교 국어과(...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총체적언어교육과 독해교육,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독서...
[국어교육학][기업교육학][교과교육학][학교교육학][교육학][국어교육][기업교육][교과교육][...
[지식기반사회][정보문해][평생학습][학교교육][직업교육][수학교육]지식기반사회의 정보문해...
[생태, 생태적 교육, 생태적 소비교육, 생태적 학교공동체, 생태적 지식관, 생태적 개입, 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