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의
2. 역학적 특성
2.1 사망양상
〔그림 1〕 성별 뇌졸중 사망률 추이
2.2 이환양상
2.3 위험요인
〔그림 2〕 수축기혈압에 의한 뇌졸중의 상대위험도
〔그림 3〕 혈중 콜레스테롤에 의한 뇌졸중의 상대위험도
2.4 예방 및 관리
3. 분석내용
4. 유병실태와 관련요인
4.1 유병률
〈표 1〉 인구학적 특성별 뇌졸중 유병률
〔그림 4〕 연령별 뇌졸중 유병률 변화 양상
〈표 2〉 사회경제적 특성별 뇌졸중 유병률
4.2 인지 및 치료 특성
〈표 3〉 뇌졸중 환자의 인지 및 치료 상태
4.3 건강행태 특성
〈표 4〉 뇌졸중 여부별 행태
4.4 관련요인
〈표 5〉 일반적 특성과 뇌졸중과의 관련성
〈표 6〉 신체계측 특성과 뇌졸중과의 관련성
〈표 7〉 생화학적 검사치와 뇌졸중과의 관련성
〈표 8〉 가족력과 뇌졸중과의 관련성
〈표 9〉 식이섭취와 뇌졸중과의 관련성
2. 역학적 특성
2.1 사망양상
〔그림 1〕 성별 뇌졸중 사망률 추이
2.2 이환양상
2.3 위험요인
〔그림 2〕 수축기혈압에 의한 뇌졸중의 상대위험도
〔그림 3〕 혈중 콜레스테롤에 의한 뇌졸중의 상대위험도
2.4 예방 및 관리
3. 분석내용
4. 유병실태와 관련요인
4.1 유병률
〈표 1〉 인구학적 특성별 뇌졸중 유병률
〔그림 4〕 연령별 뇌졸중 유병률 변화 양상
〈표 2〉 사회경제적 특성별 뇌졸중 유병률
4.2 인지 및 치료 특성
〈표 3〉 뇌졸중 환자의 인지 및 치료 상태
4.3 건강행태 특성
〈표 4〉 뇌졸중 여부별 행태
4.4 관련요인
〈표 5〉 일반적 특성과 뇌졸중과의 관련성
〈표 6〉 신체계측 특성과 뇌졸중과의 관련성
〈표 7〉 생화학적 검사치와 뇌졸중과의 관련성
〈표 8〉 가족력과 뇌졸중과의 관련성
〈표 9〉 식이섭취와 뇌졸중과의 관련성
본문내용
않았다. 이 결과는 박종구 등(2001)16의 연구에서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뇌졸중 위험이 증가하였던 것과 비교하면 연령의 영향이 개재된 것으로 생각된다. 여자는 25미만에 비하여 25.0-29.9와 30이상이 2.33, 2.64로 체질량지수가 증가하면 뇌졸중 위험이 증가하였다.
수축기혈압과의 관계를 보면, 남자는 120mmHg 미만에 비하여 140mmHg 이상의 뇌졸중 오즈비가 2.68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여자는 120~139mmHg와 130mmHg 이상의 뇌졸중 오즈비가 2.59 및 6.20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완기혈압과의 관계를 보면, 남자는 80mmHg 미만에 비하여 90mmHg 이상의 뇌졸중 오즈비가 2.65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여자는 80~89mmHg와 90mmHg 이상의 뇌졸중 오즈비가 3.63 및 4.60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JNC-6의 기준에 의한 고혈압과의 관계를 보면, 남자는 적정혈압에 비하여 고혈압의 뇌졸중 오즈비가 2.91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여자는 고도정상과 고혈압의 뇌졸중 오즈비가 2.94 및 6.18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표 6).
〈표 6〉 신체계측 특성과 뇌졸중과의 관련성
위험요인
남자
여자
유병률
(%)
오즈비
(95% 신뢰구간)
유병률
(%)
오즈비
(95% 신뢰구간)
체질량지수(㎏/㎡)
< 25
1.67
1.0
0.72
1.0
25.0~29.9
0.67
0.40(0.15-1.03)
1.65
2.33(1.15-4.76)
≥ 30
0
-
1.87
2.64(0.60-11.59)
SBP(mmHg)
<120
0.81
1.0
0.40
1.0
120~139
1.33
1.70(0.76-3.80)
1.34
2.59(1.12-5.99)
≥140
2.30
2.68(1.11-6.50)
3.06
6.20(2.83-13.57)
DBP(mmHg)
<80
0.83
1.0
0.48
1.0
80~89
1.39
1.74(0.78-3.89)
2.04
3.63(1.72-7.65)
≥90
2.28
2.65(1.16-6.05)
2.68
4.60(1.97-10.70)
고혈압여부
적정혈압
0.88
1.0
0.33
1.0
고도정상
0.83
0.99(0.39-2.50)
1.33
2.94(1.23-7.00)
고혈압
2.53
2.91(1.29-6.58)
2.72
6.18(2.72-14.05)
다. 생화학적 검사결과와의 관계
혈중 총콜레스테롤과의 관계를 보면, 총콜레스테롤치 240㎎/㎗미만에 비하여 240㎎/㎗이상의 오즈비가 남자 1.99, 여자 2.58로 증가하였으나 여자만이 유의하였다. 중성지방은 200㎎/㎗미만에 비하여 200㎎/㎗이상의 뇌졸중 오즈비가 남자 0.99, 여자 2.85로 여자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HDL-콜레스테롤은 40㎎/㎗이상에 비교한 40㎎/㎗미만의 뇌졸중 오즈비가 남녀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공복시 혈당 126㎎/㎗에 비교한 126㎎/㎗이상의 뇌졸중 오즈비도 유의하지 않았다(표 7).
〈표 7〉 생화학적 검사치와 뇌졸중과의 관련성
위험요인
남자
여자
유병률
(%)
오즈비
(95% 신뢰구간)
유병률
(%)
오즈비
(95% 신뢰구간)
총콜레스테롤(㎎/㎗)
< 240
1.20
1.0
0.82
1.00
≥ 240
2.36
1.99(0.76-5.21)
2.09
2.58(1.05-6.34)
중성지질(㎎/㎗)
< 200
1.30
1.0
0.80
1.0
≥ 200
1.29
0.99(0.44-2.21)
2.25
2.85(1.35-6.03)
HDL-C(㎎/㎗)
< 40
1.59
1.42(0.71-2.84)
1.18
1.26(0.56-2.80)
≥ 40
1.12
1.0
0.94
1.0
공복시 혈당(㎎/㎗)
< 126
1.21
1.0
0.86
1.0
≥ 126
1.88
1.57(0.47-5.21)
2.16
2.54(0.88-7.33)
주: HDL-C: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라. 가족력과의 관계
고혈압/뇌졸중 가족력과 심장병 가족력은 남녀 모두에서 뇌졸중과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표 8).
〈표 8〉 가족력과 뇌졸중과의 관련성
가족력
남자
여자
유병률
(%)
오즈비
(95% 신뢰구간)
유병률
(%)
오즈비
(95% 신뢰구간)
고혈압/뇌졸중
없음
1.40
1.0
0.92
1.00
있음
0.80
0.57(0.17-1.87)
1.83
2.00(0.93-4.27)
심장병
없음
1.35
1.0
1.06
1.0
있음
0
-
0.86
0.81(0.11-5.97)
마. 식이와의 관계
식이와 뇌졸중과의 관련성을 보면, 에너지섭취량과 지방섭취량은 뇌졸중과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칼슘은 권장량 대비 섭취량이 75%미만에 비하여 75%이상의 뇌졸중 오즈비가 남자 0.36, 여자 0.16으로 섭취량이 많으면 뇌졸중 위험이 감소하였다. 리보플라빈은 권장량 대비 섭취량이 75%미만에 비하여 75%이상의 뇌졸중 오즈비가 남자 0.34, 여자 0.20으로 남녀 모두 섭취량이 증가하면 뇌졸중 위험이 감소하였다. 비타민C는 권장량 대비 섭취량이 75%미만에 비하여 75%이상의 뇌졸중 오즈비가 남자 0.82, 여자 0.52로 섭취량이 증가하면 뇌졸중 위험이 감소하였으나 여자에서만 유의하였다(표 9).
〈표 9〉 식이섭취와 뇌졸중과의 관련성
위험요인
남자
여자
유병률
(%)
오즈비
(95% 신뢰구간)
유병률
(%)
오즈비
(95% 신뢰구간)
에너지(%)*
< 125
1.47
1.0
1.24
1.0
≥ 125
0.49
0.33(0.10-1.07)
0.48
0.38(0.12-1.25)
지방(%)#
< 30
1.29
1.0
1.20
1.0
≥ 30
1.17
0.90(0.28-2.94)
0
-
칼슘(%)*
< 75
1.77
1.0
1.52
1.0
≥ 75
0.65
0.36(0.17-0.76)
0.25
0.16(0.05-0.52)
리보플라빈(%)*
< 75
1.99
1.0
1.85
1.0
≥ 75
0.69
0.34(0.17-0.67)
0.37
0.20(0.09-0.45)
비타민 C(%)*
< 75
1.50
1.0
1.77
1.0
≥ 75
1.23
0.82(0.39-1.73)
0.94
0.52(0.27-1.00)
주: * 권장량 대비 섭취비율(%), # 지방으로부터의 에너지 섭취비율
수축기혈압과의 관계를 보면, 남자는 120mmHg 미만에 비하여 140mmHg 이상의 뇌졸중 오즈비가 2.68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여자는 120~139mmHg와 130mmHg 이상의 뇌졸중 오즈비가 2.59 및 6.20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완기혈압과의 관계를 보면, 남자는 80mmHg 미만에 비하여 90mmHg 이상의 뇌졸중 오즈비가 2.65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여자는 80~89mmHg와 90mmHg 이상의 뇌졸중 오즈비가 3.63 및 4.60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JNC-6의 기준에 의한 고혈압과의 관계를 보면, 남자는 적정혈압에 비하여 고혈압의 뇌졸중 오즈비가 2.91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여자는 고도정상과 고혈압의 뇌졸중 오즈비가 2.94 및 6.18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표 6).
〈표 6〉 신체계측 특성과 뇌졸중과의 관련성
위험요인
남자
여자
유병률
(%)
오즈비
(95% 신뢰구간)
유병률
(%)
오즈비
(95% 신뢰구간)
체질량지수(㎏/㎡)
< 25
1.67
1.0
0.72
1.0
25.0~29.9
0.67
0.40(0.15-1.03)
1.65
2.33(1.15-4.76)
≥ 30
0
-
1.87
2.64(0.60-11.59)
SBP(mmHg)
<120
0.81
1.0
0.40
1.0
120~139
1.33
1.70(0.76-3.80)
1.34
2.59(1.12-5.99)
≥140
2.30
2.68(1.11-6.50)
3.06
6.20(2.83-13.57)
DBP(mmHg)
<80
0.83
1.0
0.48
1.0
80~89
1.39
1.74(0.78-3.89)
2.04
3.63(1.72-7.65)
≥90
2.28
2.65(1.16-6.05)
2.68
4.60(1.97-10.70)
고혈압여부
적정혈압
0.88
1.0
0.33
1.0
고도정상
0.83
0.99(0.39-2.50)
1.33
2.94(1.23-7.00)
고혈압
2.53
2.91(1.29-6.58)
2.72
6.18(2.72-14.05)
다. 생화학적 검사결과와의 관계
혈중 총콜레스테롤과의 관계를 보면, 총콜레스테롤치 240㎎/㎗미만에 비하여 240㎎/㎗이상의 오즈비가 남자 1.99, 여자 2.58로 증가하였으나 여자만이 유의하였다. 중성지방은 200㎎/㎗미만에 비하여 200㎎/㎗이상의 뇌졸중 오즈비가 남자 0.99, 여자 2.85로 여자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HDL-콜레스테롤은 40㎎/㎗이상에 비교한 40㎎/㎗미만의 뇌졸중 오즈비가 남녀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공복시 혈당 126㎎/㎗에 비교한 126㎎/㎗이상의 뇌졸중 오즈비도 유의하지 않았다(표 7).
〈표 7〉 생화학적 검사치와 뇌졸중과의 관련성
위험요인
남자
여자
유병률
(%)
오즈비
(95% 신뢰구간)
유병률
(%)
오즈비
(95% 신뢰구간)
총콜레스테롤(㎎/㎗)
< 240
1.20
1.0
0.82
1.00
≥ 240
2.36
1.99(0.76-5.21)
2.09
2.58(1.05-6.34)
중성지질(㎎/㎗)
< 200
1.30
1.0
0.80
1.0
≥ 200
1.29
0.99(0.44-2.21)
2.25
2.85(1.35-6.03)
HDL-C(㎎/㎗)
< 40
1.59
1.42(0.71-2.84)
1.18
1.26(0.56-2.80)
≥ 40
1.12
1.0
0.94
1.0
공복시 혈당(㎎/㎗)
< 126
1.21
1.0
0.86
1.0
≥ 126
1.88
1.57(0.47-5.21)
2.16
2.54(0.88-7.33)
주: HDL-C: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라. 가족력과의 관계
고혈압/뇌졸중 가족력과 심장병 가족력은 남녀 모두에서 뇌졸중과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표 8).
〈표 8〉 가족력과 뇌졸중과의 관련성
가족력
남자
여자
유병률
(%)
오즈비
(95% 신뢰구간)
유병률
(%)
오즈비
(95% 신뢰구간)
고혈압/뇌졸중
없음
1.40
1.0
0.92
1.00
있음
0.80
0.57(0.17-1.87)
1.83
2.00(0.93-4.27)
심장병
없음
1.35
1.0
1.06
1.0
있음
0
-
0.86
0.81(0.11-5.97)
마. 식이와의 관계
식이와 뇌졸중과의 관련성을 보면, 에너지섭취량과 지방섭취량은 뇌졸중과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칼슘은 권장량 대비 섭취량이 75%미만에 비하여 75%이상의 뇌졸중 오즈비가 남자 0.36, 여자 0.16으로 섭취량이 많으면 뇌졸중 위험이 감소하였다. 리보플라빈은 권장량 대비 섭취량이 75%미만에 비하여 75%이상의 뇌졸중 오즈비가 남자 0.34, 여자 0.20으로 남녀 모두 섭취량이 증가하면 뇌졸중 위험이 감소하였다. 비타민C는 권장량 대비 섭취량이 75%미만에 비하여 75%이상의 뇌졸중 오즈비가 남자 0.82, 여자 0.52로 섭취량이 증가하면 뇌졸중 위험이 감소하였으나 여자에서만 유의하였다(표 9).
〈표 9〉 식이섭취와 뇌졸중과의 관련성
위험요인
남자
여자
유병률
(%)
오즈비
(95% 신뢰구간)
유병률
(%)
오즈비
(95% 신뢰구간)
에너지(%)*
< 125
1.47
1.0
1.24
1.0
≥ 125
0.49
0.33(0.10-1.07)
0.48
0.38(0.12-1.25)
지방(%)#
< 30
1.29
1.0
1.20
1.0
≥ 30
1.17
0.90(0.28-2.94)
0
-
칼슘(%)*
< 75
1.77
1.0
1.52
1.0
≥ 75
0.65
0.36(0.17-0.76)
0.25
0.16(0.05-0.52)
리보플라빈(%)*
< 75
1.99
1.0
1.85
1.0
≥ 75
0.69
0.34(0.17-0.67)
0.37
0.20(0.09-0.45)
비타민 C(%)*
< 75
1.50
1.0
1.77
1.0
≥ 75
1.23
0.82(0.39-1.73)
0.94
0.52(0.27-1.00)
주: * 권장량 대비 섭취비율(%), # 지방으로부터의 에너지 섭취비율
추천자료
- 한방병원 뇌졸중(CVA) 환자 간호 케이스
- 뇌경색 케이스
- [의학] 『뇌혈관질환(CVA)』에 대하여
- [Case Study] 보건소-성인케이스(뇌졸중,CVA)
- 뇌졸중 관련 국외저널 25개 요약해석본
- 뇌졸중 케이스
- 뇌졸중 케이스
- 뇌졸중케이스
- 뇌졸중(CVA)과 재활
- [간호]Dx - CVA (Lt. Rt. total MCA infarction)
- [간호]Dx - CVA (Lt. Rt. total MCA infarction due to SAH) 중환자실실습
- [지체장애, 지체장애 개념, 지체장애 종류, 지체장애 특징, 지체장애 원인, 지체장애 치료]지...
- 뇌졸중 중 뇌출혈 A+ 받은 케이스입니다.
- 노인간호학 뇌졸중(CVA, Cerebrovascular accident)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