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의 주차문제 및 교통안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도시의 주차문제 및 교통안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대도시의 주차문제
1-1. 주차장
가. 주차장의 개념 및 종류
나. 주차정책
1-2. 주차시설 현황 및 문제점
가. 주차 시설 관련 법, 제도
나. 주차시설의 관리 운영
다. 주차와 관련된 문제점
1-3. 주차문제의 해결방안
가. 공영 노외주차장 공급방안
나. 민영 노외주차장 공급방안
다. 노상주차장 공급방안
라. 부설주차장의 공급방안
마. 역세권 주차장 정비방안
바. Park and Bus Ride 주차장의 도입
사. 주거지 주차시설 공급방안
아. 주차수요 억제 방안
2. 교통안전
2-1. 교통사고 발생현황
가. 인명피해
나. 도로교통 사고비용
2-2. 선진외국의 교통사고 감소대책
가. 일 본
나. 영 국
다. 미 국
2-3. 교통안전 방안

Ⅲ. 결 론

본문내용

편의증진과 쾌적한 승차감을 위한 버스의 고급화 (고출력, 냉방화) 및
다양화 (도시형버스, 좌석버스, 마을버스, 지역순환버스) 추진
* 공공적 성격이 강한 버스업의 지원 육성과 서비스 개선
- 노선표지판 설치, 안내방송 시설, 승차대 설치, 회수권버스카드 충전소확대
* 지하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수단간 연계성 확보를 위한 노선체계 개편 및 환승 기능(버스 공영차고지) 조성.
* 안심하고 쉽게 탈 수 있는 고급 교통수단으로서의 택시기능 정립
- 운전자 제복착용, 택시운전 자격시험 강화, 택시 호출시설 설치
대중교통 수단의 다양화, 고급화로 쾌적성을 유지하고 정시성, 신속성이 보장된다면 승용차 이용수요가 감소되므로 도심 주차수요는 줄어들 것이다. 대중교통 수단의 개선
3)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
우리가 처한 심각한 교통 문제를 살펴볼 때 앞으로 교통정책은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사회(environmently substainable society)를 구축하기 위한 방향으로 설정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도 도시계획, 도시교통정비 기본계획, 도로계획 등에 자전거 교통을 내재화시켜 네트워크, 노선, 부대시설, 교차점 처리 방안들을 체계적으로 구체화한 자전거 이용 시설의 정비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자전거도로는 이용자들의 기준에 부응하는 것은 물론 타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편익과 비 편익 사이에도 어느 정도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지방자치 단체에서는 자전거 이용 우선 정책을 시행하여야 한다. 시민들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자전거 도로망을 개설, 버스와 지하철에 연계시켜 보완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요즘 자전거 이용이 예전에 비해 많이 늘었지만 아직 보편화되었다고 말하기 힘든 수준에 그치고 있다.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로 자동차 중심교통을 자전거 중심으로 전환하면 심각한 도심 교통문제인 승용차의 교통 수요를 줄일 수 있고 쾌적한 생활 공간을 만들 수 있으며 환경오염 문제도 크게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시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 활동을 강화하는 것도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를 위해 좋은 전략이 될 것이다.
2.교통안전
2-1.교통사고 발생현황
가. 인명피해
1).우리 나라는 최근 10년간(1989~1998) 교통사고로 인하여 12만명이 사망하고 340만명이 중경상을 당하였는데, 이는 매일 33명이 사망하고 930명이 부상당하는 엄청난 인적피해가 발생하였다.
2). 우리 나라의 차량 1만대당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지난해의 경우에 8.7명인바 미국 2.08명, 프랑스 2.96명, 독일 1.52명, 일본 1.58명, 영국 1.39명에 비하면 매우 높으며 경제협력기구(OECD) 가입 29개국중 최하위를 나타내고 있다.
3). 또한 이러한 교통사고는 사회적으로 커다란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바, 최근 10년간 모두 2만 4천여 가정이 어린 자녀를 잃었고, 6만여 가정이 부모중 한명 또는 모두를 잃은 아픔을 겪었다.
< 표 1 > 국가별 교통사고 자료현황
국 가
인구(천인)
자동차대수(천대)
발생건수(건)
사망자수(인)
1만대당(인)
부상자(인)
비 고
한국
46,991
10,467
239,721
9,057
8.7
340,564
1998
프랑스
58,027
23,820
132,726
8,543
3.6
180,832
1994
남아프리카
32,589
5,108
433,027
9,443
18.5
118,297
1993
스위스
6,908
3,117
83,379
723
2.3
28,210
1993
미국
260,292
201,763
9,701,040
40,676
2.0
5,215,930
1994
독일
80,975
50,000
2,345,396
9,949
2.0
505,591
1993
일본
125,090
67,465
729,457
10,649
8.5
881,723
1994
스웨덴
8,815
3,912
15,950
564
1.4
21,061
1994
영국
58,258
25,161
230,376
3,621
1.4
44,818
1995
※ ‘98년도에 발생한 교통사고 사망, 부상자수 35만명은 매년 평택시의 인구가 사망, 부상을 당하는 수치이고, 또한 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오늘 출생한 어린이는 예상되는 평균수명 80년 동안 교통사고로 사망할 확률이 2.0%, 부상당할 확률은 58.6%에 달하는 놀라운 수치에 해당하고, 2002년 월드컵기간동안 우리 나라를 방문예정인 외국인 관광객 33여만명중 교통사고로 4명이 숨지고 105명이 부상당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음
나. 도로교통 사고비용
1).교통개발연구원 연구에 의하면 지난 ‘97년도에 총 24만 6천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1만 1천 6백명이 사망하고 약 34만 3천명이 부상 당하여 화폐적 가치로 환산한 사고비용이 11조 1천억원에 달하고 당해 연도 GDP대비 2.64%를 차지하고 있다,
2).총 교통사고 비용 11조 1천억원을 인명사고 유형별로는 이중 중상사고 비용이 53.8%로 가장 높고, 사망사고 33%, 경상사고 8.5%의 순이며, 내용별로는 고통비용 36.6%, 손실생산비용 27.9%, 의료비용 21.6%, 차량손실비용 11% 등임.
< 표 2 > 총 교통사고 비용(1997)
구 분
비 용(천만원)
비 율(%)
사 망 사 고
중 상 사 고
경 상 사 고
부상신고사고
단순물피사고
366,733
507,733
94,691
1,781
50,336
33.0%
53.8%
8.5%
0.2%
4.5%
총 계
1,111,273
100.0
3).교통사고로 인한 피해비용을 시도별로 보면 경기도가 약 1조9천5백억원으로 가장 많고 서울시가 1조 3천억원, 경북이 1조 6백억원이며, 반면에 광주시와 제주도는 각각 1천 4백억원, 1천억원의 사고비용이 산출되었다.
4).우리 나라의 교통사고 발생비용을 GDP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2.64%를 차지하고 있으나, 연도별차를 감안하더라도 미국 2.17%, 영국 1.83%에 비하여 매우 높은 수준
구 분
한 국(‘97)
미 국(‘94)
영 국(‘95)
인구수(천인)
43,170
260,292
58,258
자동차(천
  • 가격5,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08.02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36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