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환자의상태
2.기구및재료
3.술식
<근관소독제>
<gutta percha cone>
4.근관충전후 치아의 수복
5.환자의 예후
2.기구및재료
3.술식
<근관소독제>
<gutta percha cone>
4.근관충전후 치아의 수복
5.환자의 예후
본문내용
시기 : 환자가 증상이 없을때, 삼출액이 거의 없을때, 근관형성후 적당한 크기로 확대되었을때, 가봉재가 건조되고 변연누출의 흔적이 없을때, 타진반응이 없을때이다
①임시가봉재를 제거한다
②충분히 수세하고 smooth broach로 근관을 완전히 건조시킨다
③sealer를 근관에 잘 흘러 내릴 수 있도록 묽게 혼합한 다음 lentulo spira에 묻혀서 근관벽에 바른다
④근관의 길이에 따른 master cone을 선택하여 알콜솜으로 닦은 후에 sealer를 묻혀 근관장까지 밀어 넣는다 spreader를 master cone옆에 밀어 넣고 들어갈수있는 공간을 마련해주고 측방압을 주어 접착시켜준다
⑤근관에 더 이상 보조콘이 들어갈수 없을때까지 gutta percha cone을 채워넣는다
⑥치수강 내의 gutta percha cone을 Em겁게 달군 stopper로 잘라내고 알콜솜으로 닦은후에 ZOE로 가봉한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반고형제로서 열이나 압력을 가하면 변형이 나타난다
장점 : 삽입후에 용제나 열에 의해 가소성이 나타나지 않는 한 수축이 일어나지 않으며 소족이 쉬우며 세균성장을 촉진하지 않고 방사선 불투과성이며 습기가 스며들지 않고 필요시 제거가 쉽고 독성도 적어 치근단에 자극도 최소이다
단점 : 좁은 근관이나 만곡이 심한 근관에서는 강독 kdjqtdj 삽입하기가 어렵고 sealer오 kgkaRp 사용하지 않으면 근관의 밀폐가 어렵다
12) sealer가 굳는데는 2~3일이 걸리기 때문에 canal filling을 한 2~3일 후에 아말감충전 한다
<근관충전후 치아의 수복>
근관치료후 치아는 상아세관내의 수분 함량이 감소하고 근관와동 형성시 많은 치질 삭제 때문에 치관이 약화되어 깨지기 쉬우므로 완전히 씌워주는 것이 좋다 일주일 정도 후에 하는 것이 예휴가 좋으며 전치부의 경우는 복합레진으로 수복하고 구치부의 경우 치질의 손상이 적으면 아말감으로 수복하고 그 위에 crown을 장착한다 치질의 손상이 크고 지대치로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는 post&core를 형성하고 그 위에 보철물을 씌운다
환자의 예후
환자는 신경치료 후에 치아를 아말감으로 수복하고 구치부이기 때문에 gold crown으로 보철할 것을 결심하였다 아말감 수복후 지대치를 삭제하고 impression 한 후 석고제작을 하였고 기공물을 의뢰하였다 그 후 보철물을 받아 치아에 장착하였다
①임시가봉재를 제거한다
②충분히 수세하고 smooth broach로 근관을 완전히 건조시킨다
③sealer를 근관에 잘 흘러 내릴 수 있도록 묽게 혼합한 다음 lentulo spira에 묻혀서 근관벽에 바른다
④근관의 길이에 따른 master cone을 선택하여 알콜솜으로 닦은 후에 sealer를 묻혀 근관장까지 밀어 넣는다 spreader를 master cone옆에 밀어 넣고 들어갈수있는 공간을 마련해주고 측방압을 주어 접착시켜준다
⑤근관에 더 이상 보조콘이 들어갈수 없을때까지 gutta percha cone을 채워넣는다
⑥치수강 내의 gutta percha cone을 Em겁게 달군 stopper로 잘라내고 알콜솜으로 닦은후에 ZOE로 가봉한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반고형제로서 열이나 압력을 가하면 변형이 나타난다
장점 : 삽입후에 용제나 열에 의해 가소성이 나타나지 않는 한 수축이 일어나지 않으며 소족이 쉬우며 세균성장을 촉진하지 않고 방사선 불투과성이며 습기가 스며들지 않고 필요시 제거가 쉽고 독성도 적어 치근단에 자극도 최소이다
단점 : 좁은 근관이나 만곡이 심한 근관에서는 강독 kdjqtdj 삽입하기가 어렵고 sealer오 kgkaRp 사용하지 않으면 근관의 밀폐가 어렵다
12) sealer가 굳는데는 2~3일이 걸리기 때문에 canal filling을 한 2~3일 후에 아말감충전 한다
<근관충전후 치아의 수복>
근관치료후 치아는 상아세관내의 수분 함량이 감소하고 근관와동 형성시 많은 치질 삭제 때문에 치관이 약화되어 깨지기 쉬우므로 완전히 씌워주는 것이 좋다 일주일 정도 후에 하는 것이 예휴가 좋으며 전치부의 경우는 복합레진으로 수복하고 구치부의 경우 치질의 손상이 적으면 아말감으로 수복하고 그 위에 crown을 장착한다 치질의 손상이 크고 지대치로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는 post&core를 형성하고 그 위에 보철물을 씌운다
환자의 예후
환자는 신경치료 후에 치아를 아말감으로 수복하고 구치부이기 때문에 gold crown으로 보철할 것을 결심하였다 아말감 수복후 지대치를 삭제하고 impression 한 후 석고제작을 하였고 기공물을 의뢰하였다 그 후 보철물을 받아 치아에 장착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