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ial molar volume 분몰부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partial molar volume 분몰부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Purpose

Ⅱ. Theory

Ⅲ.Assignment

Ⅳ. Chemicals & Apparatus

Ⅴ. Procedure

Ⅵ. Data & Results

Ⅶ. Discussion

Ⅷ. Reference

본문내용

00㎖를 물 100㎖에 가하면 최종부피는 182㎖이고 상당량의 열이 발생한다. 황산과 물이 상호작용을 일으켜 황산이 이온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부피는 가감성을 잃는다.
균일한 2성분계 용액의 부피를 V로 나타내자. 부피는 각 성분의 몰수과 및 압력과 온도에 의존하므로
(1)
압력, 온도 및 다른 성분의 조성을 일정하게 하였을 때, 성분 i의 몰수에 대한 V의 편미분을 분 몰랄 부피라 하고 로 나타낸다.
(2)
첨자는 성분 i를 제외한 다른 모든 성분의 몰수가 일정함을 의미한다. 이 정의를 말로 표현하면,는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용액에 무한소 량의 i성분을 가하여 일어나는 i성분 몰당의 부피변화이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무한대 량의 용액에 i성분 1몰을 가하여 일어나는 부피 V의 변화이다. 순수한 물질의 분 몰랄 부피는 자기의 몰 부피와 같다. 즉
=
식 (2)로 정의된 분 몰랄 부피를 식 (1)에 대입하고, 온도와 압력이 일정한 경우에 논의를 극한시키면, 다음 결과를 준다.
dV = dn1 +dn2 (3)
이 식은 조성이 일정하면 적분이 가능하다. 조성이 일정할 때 몰 분율 X1과 X2는 일정하고,과도 일정하며 조성이 일정한 용액의 부피에 무관하다. n이 전체 몰수이면,이므로,
(4)
이 관계를 식 (3)에 대입하면
dV = (X1 +X2)dn (5)
괄호 안의 양은 일정하므로 적분하면,
V = (X1 +X2)n + C (6)
이 때 적분상수 C는 0이다. 왜냐하면 n=0일 때 V=0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식 (6)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V =n1 +n2 (7)
주어진 농도에서의 분 몰랄 부피과를 알고 있으면 이 식을 써서 그 농도의 용액 부피 V를 계산할 수 있다.
2성분 계 용액 중의 각 성분에 대한 분 몰랄 부피를 얻으려면, 농도에 따른 용액의 밀도를 측정해야 한다. 분 몰랄 부피는 몇 가지 방법 중의 어느 하나로 계산된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다른 한 성분의 몰수를 일정하게 잡고 나머지 한 성분의 몰수 대 부피의 도표를 만들어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이다.
분 몰랄 양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표법 중의 하나는 절편법이다. 이 방법은【그림】에서처럼 용액 1몰(즉 두 성분을 합하여 1몰)의 부피를 한 성분의 몰 분율에 대하여 도표를 만드는 것이다. 용액의 몰 부피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X1+X2 =+(-)X2 (8)
이 식은 를 써서 얻게 된다.
식 (8)의 두 번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8.10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45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